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0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0년 북대서양 허리케인은 2020년 시기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여러 열대성 저기압 시즌을 통칭한다. 2020년 현재 열대성 저기압이 총 31개가 발생하였는데 그 중 30개가 열대폭풍으로 이름이 붙여졌으며, 그 중 허리케인으로 발전한 것이 13개이며, 메이저 허리케인이 된 예는 총 6개이다. 열대 폭풍의 발생 횟수는 역사상 최대이다. 또한 1년 동안 북대서양에서의 열대성 저기압의 발생 횟수 기록은 타이의 기록이다.
2020년은 21세기 최고 기록이었던 31개의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했던 200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과 타이의 기록을 세운 해로, 준비되었던 21개의 열대성 저기압의 이름 목록이 다 떨어져 그리스 문자를 이용한 임시 명명법을 통해 허리케인 이름이 붙여지고 있다. 임시 명명법으로 허리케인 이름이 붙여지는 일은 역시 2005년 이후 15년만이다.
Remove ads
타임라인
SHSS

설명

- 활동 기간은 미국 날짜로 표시한다.
발생한 허리케인
요약
관점
제1호 열대폭풍 아서
미국 동쪽 고위도에 있던 온대저기압이 열대저기압으로 변질된 후 꾸준히 발달하여 제1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됐다. 그로부터 12시간 후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제2호 열대폭풍 버사
제3호 열대폭풍 크리스토발 (열대폭풍 어맨더 잔해)
제4호 열대폭풍 돌리
제5호 열대폭풍 에드워드
고위도에 있던 열대파동이 저기압을 생성해서 1일 후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제6호 열대폭풍 페이
제7호 열대폭풍 곤잘로
제8호 허리케인 해나
제9호 허리케인 이사이아스
제10호 열대폭풍 조세핀
제11호 열대폭풍 카일
제12호 메이저 허리케인 로라
제13호 허리케인 마르코
제14호 허리케인 나나
동태평양 열대폭풍 줄리오의 발생에 기여했다.
제15호 열대폭풍 오마르
제16호 허리케인 폴레트
제17호 열대폭풍 르네
제18호 허리케인 샐리
제19호 메이저 허리케인 테디
제20호 열대폭풍 비키
제21호 열대폭풍 윌프레드
제22호 아열대폭풍 알파(A)
제23호 열대폭풍 베타(B)
제24호 허리케인 감마(Γ)
제25호 메이저 허리케인 델타(Δ)
제26호 메이저 허리케인 엡실론(E)
제27호 메이저 허리케인 제타(Z)
제28호 메이저 허리케인 에타(H)
제29호 열대폭풍 세타(Θ)
제30호 메이저 허리케인 요타(Ι)
Remove ads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