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4년 일본 시리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4년 일본 시리즈(일본어: 2024年の日本シリーズ, 영어: 2024 Japan Series) 또는 SMBC 일본 시리즈 2024(SMBC日本シリーズ2024)는 2024년 10월 26일부터 11월 3일까지 열린 제75회 일본 프로 야구 일본 시리즈 경기이다.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총 6차례의 접전을 펼친 끝에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누르고 4승 2패의 성적을 기록, 1998년 이후 26년 만에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
Remove ads
개요
요약
관점
2014년부터 10년 연속으로 NPB 파트너인 미쓰이스미토모 은행을 타이틀 스폰서로서 ‘SMBC 일본 시리즈 2024’(SMBC日本シリーズ2024)라는 이름으로 개최됐다.[2]
금년도 일본 시리즈는 정규 시즌 3위를 차지하여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우승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 같은 해 퍼시픽 리그 정규 시즌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연거푸 우승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의한 맞대결이 성사됐다. DeNA는 7년 만의 4번째, 소프트뱅크는 4년 만에 21번째로 출전하게 됐다(모두 전신 구단 시절을 포함). 이로써 소프트뱅크의 출장 횟수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 나란히 요미우리 자이언츠(36번째)의 뒤를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이 두 팀에 의한 맞대결은 2017년(그해 소프트뱅크는 4승 2패) 이후 두 번째가 된다. 또 레이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일본 시리즈에 출전하지 못한 구단은 센트럴 리그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퍼시픽 리그에서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지바 롯데 마린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등이 있다.
더욱이 정규 시즌 2위 이하의 팀이 일본 시리즈에 진출한 사례는 2019년 소프트뱅크(정규 시즌 2위로부터 1위 팀이던 세이부를 꺾음) 이후 5년 만에 7번째로, 센트럴 리그에서는 3위 팀으로서 두 번째로 일본 시리즈에 진출한 것은 DeNA가 처음이다. 전회 2017년 소프트뱅크와의 맞대결도 DeNA는 정규 시즌 3위 팀으로서 출전한 바가 있다.
DeNA는 시즌 승률이 0.507로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의 0.520을 밑돌았다. 한 시즌 통산 최저 승률로 일본 시리즈에 출전하게 됐다.[주 1][3]
이 해엔 2004년 이후 20년 만에 우천이 취소되는 일이 발생했다.[주 2]
경기 일정
- 1차전 : 10월 26일(요코하마 스타디움)
- 2차전 : 10월 27일(요코하마 스타디움)
- 3차전 : 10월 29일(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4차전 : 10월 30일(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5차전 : 10월 31일(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6차전 : 11월 3일(요코하마 스타디움)
- ※어느 팀이 4승을 올린 시점에서 일본 시리즈는 종료한다.
- ※5차전 이전에 취소됐을 경우에는 5차전과 6차전 사이의 이동일은 마련하지 않는다.
- ※퍼시픽 리그 홈경기(3~5차전)에서는 지명 타자 제도를 채택한다.
- ※금년도 예고 선발은 개최 요항 발표 시점에서 실시됐다.
개최 구장
개시 시간
- 요코하마 스타디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1차전은 18시 30분, 2·6차전은 모두 18시에 시작. 더 나아가 6차전은 11월 2일에 개최됐을 경우엔 1차전과 같은 18시 30분에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당일 우천으로 순연됐기 때문에 6차전 개시 시간도 변경됐다. 또한 7차전이 열릴 경우에도 18시에 시작할 예정이었다.[4]
-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3차전과 4차전은 18시 30분, 5차전은 18시에 시작.
클라이맥스 시리즈 경기 결과
클라이맥스 시리즈 1st |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 일본 선수권 시리즈 | ||||||||
(6전 4선승제〈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 도쿄 돔 | ||||||||||
요미우리 자이언츠(CL 우승) | ☆●●●○○● | |||||||||
(3전 2선승제) 한신 고시엔 구장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 | |||||||||
한신 타이거스(CL 2위) | ●● | |||||||||
(7전 4선승제) 요코하마 스타디움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CL 3위) | ○○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CL CS 우승) | ●●○○○○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PL CS 우승) | ○○●●●● | |||||||||
(6전 4선승제〈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PL 우승) | ☆○○○ | |||||||||
(3전 2선승제) 에스콘 필드 HOKKAIDO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 ★●●●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PL 2위) | ●○○ | |||||||||
지바 롯데 마린스(PL 3위) | ○●● | |||||||||
- ☆·★=클라이맥스 시리즈·파이널의 어드밴티지 1승 1패분
Remove ads
출장자 명단
Remove ads
경기 기록
일본 시리즈 경기 결과
1차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소프트뱅크 | 0 | 2 | 0 | 0 | 0 | 0 | 0 | 0 | 3 | 5 | 9 | 1 | |||||||||||||
DeNA | 0 | 0 | 0 | 0 | 0 | 0 | 0 | 0 | 3 | 3 | 9 | 1 | |||||||||||||
승리 투수: 아리하라 고헤이(1-0) 패전 투수: 안드레 잭슨(0-1) |
타순
투수
2차전
- 10월 27일 - 요코하마 스타디움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소프트뱅크 | 2 | 0 | 3 | 1 | 0 | 0 | 0 | 0 | 0 | 6 | 9 | 0 | |||||||||||||
DeNA | 0 | 0 | 0 | 0 | 2 | 0 | 1 | 0 | 0 | 3 | 9 | 1 | |||||||||||||
승리 투수: 리반 모이넬로(1-0) 패전 투수: 오누키 신이치(0-1) 세이브: 로베르토 오수나(1S) 홈런: 소프트뱅크 – 야마카와 호타카(1회 2점) |
타순
투수
3차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DeNA | 1 | 0 | 0 | 0 | 2 | 0 | 0 | 1 | 0 | 4 | 6 | 0 | |||||||||||||
소프트뱅크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10 | 0 | |||||||||||||
승리 투수: 아즈마 가쓰키(1-0) 패전 투수: 오쓰 료스케(0-1) 세이브: 모리하라 고헤이(1S) 홈런: DeNA – 구와하라 마사유키(5회 1점) |
타순
투수
4차전
- 10월 30일 -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DeNA | 0 | 0 | 0 | 1 | 0 | 0 | 4 | 0 | 0 | 5 | 11 | 0 | |||||||||||||
소프트뱅크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 | |||||||||||||
승리 투수: 앤소니 케이(1-0) 패전 투수: 이시카와 슈타(0-1) 홈런: DeNA – 타일러 오스틴(4회 1점), 미야자키 도시로(7회 1점) |
타순
투수
5차전
- 10월 31일 -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DeNA | 0 | 0 | 1 | 3 | 0 | 0 | 0 | 0 | 3 | 7 | 13 | 0 | |||||||||||||
소프트뱅크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0 | |||||||||||||
승리 투수: 안드레 잭슨(1-1) 패전 투수: 오제키 도모히사(0-1) 홈런: DeNA – 마키 슈고(4회 3점) |
타순
투수
6차전
- 11월 3일 - 요코하마 스타디움
타순
투수
DeNA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관한 기록·사항
- 정규 시즌 3위로 진출해서 일본 시리즈에 우승한 사례: 2010년의 지바 롯데 마린스 이후 두 번째. 센트럴 리그에서는 최초.
- 센트럴 리그 구단의 일본 시리즈 연속 우승: 2002년 이후 22년 만의 기록(2000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1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02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의한 3년 간).
- 일본 시리즈 우승 구단의 리그전 최소 저금 기록: 저금 2(71승 3무 69패). 지금까지는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의 저금 5가 최소 기록이었다.[7]
- 일본 시리즈 우승 구단의 리그전 최저 승률 기록: 5할 7리. 지금까지는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의 5할 2푼이 최소 기록이었다.[7]
- DeNA는 리그 3위 팀으로서 일본 시리즈 챔피언이 됐기 때문에 처음으로 리그 우승 횟수보다 일본 시리즈 우승 횟수가 많은 구단이 됐다.
- 이 해의 DeNA는 2군에서도 팜 일본 선수권에서 소프트뱅크를 꺾고 처음으로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8] 1군·2군에서의 일본 시리즈, 팜 일본 선수권에서의 동시 우승은 모두 2005년의 지바 롯데 마린스(대 한신 타이거스) 이후가 된다.
- 호크스는 난카이, 다이에 호크스 시절을 포함하여 일본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요미우리 이외의 구단에게 일본 시리즈 챔피언 자리를 빼앗기게 됐다. 더 나아가 운영 모체인 소프트뱅크로 인수된 이후 일본 시리즈 패배는 처음이었다.
- DeNA가 이번 대회에서 일본 시리즈 챔피언 자리에 오르게 됨으로써 21세기 및 CS 도입 후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지 않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유일한 구단으로 남게 됐다.
Remove ads
수상 선수
- MVP
- 구와하라 마사유키(DeNA)
- 타율 0.444(27타수 12안타) 1홈런 9타점을 기록하여 2차전부터 5경기 연속 타점(일본 시리즈 신기록). 3차전에서 일본 시리즈 첫 홈런, 전 경기에서 안타를 치는 활약으로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DeNA의 MVP 수상은 전신인 다이요, 요코하마 시절을 포함해 1998년 스즈키 다카노리 이후 세 번째이며 우타자로서는 구단 역사상 최초이다.[주 3]
- 감투상
- 이마미야 겐타(소프트뱅크)
- 타율 0.375(24타수 9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1차전에서 적시 2루타를 날리는 등의 활약을 보였다.
- 우수 선수상
- 쓰쓰고 요시토모(DeNA)
- 타율 0.286(22타수 6안타) 1홈런 6타점을 기록했다. 3차전에서 추가점이 되는 희생 플라이, 우승을 결정지은 6차전에서 자신의 일본 시리즈에서 7년 만의 홈런이 되는 선제 솔로 홈런과 5회에 주자 만루 상황에서 적시 2루타를 날리는 등 4타점의 활약을 보여 생애 첫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게 됐다.
- 앤소니 케이(DeNA)
- 4차전 선발로 나서 7이닝 동안 피안타 4개, 7탈삼진, 무실점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됐다.
- 안드레 잭슨(DeNA)
- 1차전과 5차전에 선발로 나서 1승 1패, 평균 자책점 1.54(11과 2/3이닝, 2자책점)를 기록했는데. 5차전에서는 7이닝 3피안타, 8탈삼진, 무실점의 호투로 일본 시리즈 첫 승리 투수가 됐다.
- 협찬특별상(SMBC 모두의 성원상)
- 마키 슈고(DeNA)
- 타율 0.222(27타수 6안타) 1홈런 5타점을 기록했는데 낮은 타율이지만 5차전에서 홈런을 날리는 활약을 보였다.
Remove ads
어록
요약
관점
일본 시리즈라는 큰 무대에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다시 경기를 할 수 있다는 것에 매우 기쁨을 느끼고 있다. … 역시 이겨서 팬들과 함께 기쁨을 나누고 싶다.… (소프트뱅크는) 숫자로도 보여주듯이 강팀이라고 생각한다. 흐름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CS에서 얻은 기세를 가진 채로 임하고 싶다.
— 미우라 다이스케(DeNA 감독), 팀 연습 후에 가진 기자 회견에서[9]
지금 야구계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정규 시즌, CS보다 일본 시리즈에서 더 분위기를 띄워 팬들이 즐길 수 있는 경기를 제공하고 싶습니다.
— 미우라 다이스케(DeNA 감독), 일본 시리즈 감독 회의에서[9]
월드 시리즈와 (일정이) 겹치기 때문에 시선이 분산되기가 쉽지만 일본의 대표로서 DeNA와 함께 일본 국민들을 기쁘게 할 수 있는 그런 시리즈로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 고쿠보 히로키(소프트뱅크 감독), 일본 시리즈 감독 회의에서[9]
교류전에서 동점 3점 홈런을 내준 것이 가장 인상에 남았다. 장타가 많은 타선이라고 생각한다. … (올 시즌) 교류전에서는 3경기 밖에 치르지 않았고, 투구를 하지 않은 상대 투수도 있다.
— 고쿠보 히로키(소프트뱅크 감독), 일본 시리즈 감독 회의를 마친 뒤 기자 회견에서 DeNA의 4번 타자 타일러 오스틴을 꼽으며[9]
평소에 들어설 일이 없는 타석이었지만 어떻게든 해보자는 마음 뿐이었습니다. 어쨌든 선제 적시타를 때려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아리하라 고헤이(소프트뱅크), 1차전 2회초에 선제 적시타를 때려냈을 때[10]
세 번을 질 수 있는 것이 일본 시리즈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한 경기, 한 경기씩 치르도록 나가겠습니다.
— 고쿠보 히로키(소프트뱅크 감독), 1차전 종료 후 승리 감독 인터뷰에서[10]
치는 순간 어떨까 했는데 타구가 관중석에까지 닿았거든요. 선제적인 홈런과 최고의 모양새가 되면서 너무 좋았습니다.
— 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 2차전 1회초에 2점 홈런을 기록했을 때[11]
좋은 타이밍에 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지만, 그저 이기고 싶을 뿐이다.
— 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 2차전 MVP로 선정된 뒤에 가진 히어로 인터뷰에서[11]
흐름을 바꾸는 투구를 하고 싶다.
— 아즈마 가쓰키(DeNA), 3차전 선발 투수로 낙점되면서 포부를 밝혔을 때[12]
선두니까 일단 출루하는 걸 의식하고 있었습니다. 쳤을 때 느낌은 좋았는데 솔직히 정면 관중석에까지 닿을 줄은 전혀 생각도 못하고 있었습니다.
— 구와하라 마사유키(DeNA), 5회초에 선제 솔로 홈런을 기록했을 때[12]
뭐니뭐니 해도 아즈마가 경기의 흐름을 잃지 않는 좋은 투구를 선보였다.
— 미우라 다이스케(DeNA 감독), 3차전 종료 후 승리 감독 인터뷰에서[12]
몸이 안좋은 상황에서 설마 7회까지 던질 줄은 몰랐는데 팀에 기여할 수 있어서 기쁩니다.
— 아즈마 가쓰키(DeNA), 3차전 MVP로 선정된 뒤에 가진 히어로 인터뷰에서[12]
항상 그렇지만 평소에도 강한 타구를 만들어내는 걸 의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타석은 몰리고 있었으므로 중심에 맞추는 상상을 강하게 갖고 있었습니다. 선제점을 따게 돼서 다행이었습니다.
— 타일러 오스틴(DeNA), 4차전 4회초에 선제 솔로 홈런을 기록했을 때[13]
선두 타자니까 일단은 출루하는 걸 생각하며 타석에 섰는데 최고의 결과가 나오게 돼서 좋았습니다.
— 미야자키 도시로(DeNA), 4차전 7회초에 솔로 홈런을 기록했을 때[13]
팀 전체가 그 날의 경기를 구성원 모두가 온 힘을 다 쏟아 부으면서 최선을 다하자고 매일 임하고 있습니다.
— 미우라 다이스케(DeNA 감독), 4차전 종료 후 승리 감독 인터뷰에서[13]
위기에 몰렸지만, 잘 잡아낼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연이어 만들어 준 기회에서 주자를 홈으로 돌려보낼 수 있어 기쁩니다.
— 쓰쓰고 요시토모(DeNA), 5차전 3회초에서 선제 적시타를 기록했을 때[14]
쓸데없는 생각은 하지 않고, 우선 잡아내는 것에만 집중했다. 추가득점을 얻게 돼 기쁘다.
— 마키 슈고(DeNA), 5차전 4회초에 3점 홈런을 쳤을 때[14]
다시 홈인 요코하마에서 한 경기 한 경기, 모두가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팬 여러분과 힘을 합쳐 전력을 다해 싸워 나가겠습니다.
— 미우라 다이스케(DeNA 감독), 5차전 종료 후 승리 감독 인터뷰에서[14]
한 점만 더, 한 점만 더 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다음 타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타석에 들어섰습니다. 아직은 긴장을 늦추지 않고 힘을 내겠습니다!
— 구와하라 마사유키(DeNA), 6차전 2회말에 2점 적시타를 기록했을 때[15]
여러 생각들이…. 98년에 우승을 하고 나서 좀처럼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도 다시 한 번만이라는 마음으로, 현역 시절에는 우승하지 못했는데 감독으로서 우승할 수 있어서 정말 기쁩니다.
— 미우라 다이스케(DeNA 감독), 우승 감독 인터뷰에서[15]
한 경기, 한 경기 팀을 이끌고 나간다는 마음이 있었기에 기쁩니다.
— 구와하라 마사유키(DeNA), 일본 시리즈 MVP로 선정된 후에 가진 히어로 인터뷰에서[15]
Remove ads
기록
요약
관점
신기록
- 최다 연속 승리 : 소프트뱅크(14연승) ※2018년 3~6차전, 2019년 1~4차전, 2020년 1~4차전, 2024년 1·2차전
- 연속 경기 타점 : 구와하라 마사유키(DeNA, 5경기) ※2~6차전
- 최다 연속 이닝 무득점 : 소프트뱅크(29이닝)※3차전 2회~6차전 3회
타이 기록
- 최다 연속 타자 탈삼진 : 안드레 잭슨(DeNA, 5탈삼진, 1차전 2~4회) ※역대 3명째(3번째)
- 이닝 최다 탈삼진 : 3탈삼진 ※과거 다수
- 안드레 잭슨(DeNA, 1차전 3회, 5차전 1회)
- 다윈존 에르난데스(소프트뱅크, 1차전 8회)
- 오누키 신이치(DeNA, 2차전 1회)
- C. 스튜어트 주니어(소프트뱅크, 3차전 3회)
- 앤소니 케이(DeNA, 4차전 1회)
- 오가타 슈토(소프트뱅크, 6차전 4회)
- 최다 연속 경기 두 자릿수 안타 : DeNA(3경기)
- (4~6차전) ※2022년 야쿠르트(1~3차전) 이후 16번째
- 연속 3경기 합계 최소 득점 : 소프트뱅크(1득점)
- (3차전: 1, 4차전: 0, 5차전: 0) ※1992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후 3번째
- 연속 2경기 합계 최소 득점 0 : 소프트뱅크(4, 5차전) ※1999년 주니치 드래건스 이후 7번째
- 경기 최다 사구 합계(양팀) 4 (소프트뱅크: 1, DeNA: 3) ※2008년 2차전 이후 3번째
- 첫 등판, 첫 번째 타자에게 피홈런 : 오쓰 료스케(소프트뱅크, 3차전 5회에 상대 타자 구와하라 마사유키) ※2015년 3차전에서 센가 고다이(소프트뱅크) 이후 15번째
- 6경기제로 치른 일본 시리즈 기록
- 최다 타점 : 구와하라 마사유키(DeNA, 9타점) ※1985년 랜디 바스(한신 타이거스) 이후 3명째(3번째)
- 팀 최소 득점 : 소프트뱅크(14 득점) ※2012년 닛폰햄 이후 3번째
- 최다 2루타 : DeNA(16개) ※1998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이후 2번째
- 최소 홈런 : 소프트뱅크(2개) ※1952년 난카이 호크스 이후 2번째
- 최다 사구 : DeNA(6개)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 이후 2번째
- 최소 3루타 0 : DeNA, 소프트뱅크 ※과거 다수
- 일본 시리즈 최소 완투 합계(양팀) 0 : DeNA 0, 소프트뱅크 0 ※2022년 오릭스 버펄로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이후 18번째
- 2루수 최다 보살 : 마키 슈고(DeNA, 26개) ※1985년 오카다 아키노부(한신 타이거스) 이후 2명째(2번째)
Remove ads
시구식
- 1차전 : 곤도 히로시(전 요코하마 감독)
- 2차전 : 가미지 유이(프로 휠체어 테니스 선수, 2024년 하계 패럴림픽 단식·복식 금메달리스트, 대회 스폰서인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소속)
- 3차전 : Ami(2024년 하계 올림픽 브레이킹 여자 금메달리스트)
- 4차전 : 야마시타 미즈키(배우, 전 노기자카46 멤버, 미쓰이스미토모 카드 CM 출연)
- 5차전 : 후쿠시마 시호미(펜싱 선수, 2024년 하계 올림픽 펜싱 여자 사브르 단체전 동메달리스트)
- 6차전 : 나카하타 기요시(초대 DeNA 감독)
- ※7차전이 열렸을 경우엔 시구자로서 알렉스 라미레스(전 DeNA 감독, 전회(2017년) 일본 시리즈 출전 당시에 팀을 지휘)가 나올 예정이었다.
주해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