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3등분 곡선

위키미디어 동음이의어 문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하학에서 3등분 곡선(Trisectrix)은 임의의 각을 3등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자와 컴퍼스와 추가적인 도구로서 사용되는 곡선이다. 이러한 방법은 자와 컴퍼스 작도에서 허용되는 범주를 벗어나므로, 임의의 각을 이러한 종류의 작도로 3등분할 수 없다고 하는 잘 알려진 정리와 모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곡선은 다양하며, 각을 3등분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은 곡선에 따라 다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리마송 3등분 곡선 (일부 자료에서는 이 곡선을 단순히 3등분 곡선이라고 부른다.)
  • 맥클로린의 3등분 곡선
  • 정삼각형 트레포일 (일명 롱샹의 3등분 곡선)
  • 치른하우젠 3차곡선 (일명 카탈란의 3등분 곡선 및 로피탈의 3차곡선)
  • 뒤러의 폴리움
  • 3차 포물선
  • 이심률이 2인 쌍곡선
  • 각진동수가 3분의 1인 사인파로 정의되는 장미곡선
  • 포물선

관련 개념으로는 분할 곡선이 있는데, 이는 임의의 각을 임의의 정수로 나누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곡선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아르키메데스 나선
  • 히피아스의 구적선
  • 맥클로린의 분할 곡선
  • 체바의 분할 곡선
  • 드랑주 분할 곡선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