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메살라진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항염증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메살라진(mesalazine) 또는 메살라민(mesalamine),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6] 입이나 직장을 통해 투여한다.[6] 두 제제 모두 비슷한 효과를 나타낸다.[7]
흔한 부작용에는 두통, 구역, 복통, 발열이 있다.[6] 심각한 부작용에는 심낭염, 간 질환, 신부전이 있다.[6][7] 임신이나 수유 중에 사용해도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설파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 투여 시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6] 메살라진은 아미노살리실산의 일종으로 항염증제로서의 효과를 보인다.[6][7] 창자에 직접 접촉하여 작용한다.[6]
1987년 미국에서는 메살라진의 의학적 사용을 승인했다.[6][2]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8]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며 전 세계에서 여러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9][6] 2019년 기준 미국에서 200만 건 넘게 처방되어 229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기록되었다.[10][11]
Remove ads
의학적 사용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대장 질환에만 효과적)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된다.[6] 경구 투여와 직장 투여를 이용한다.[6] 두 투여 방식의 효과는 비슷하게 나타난다.[7]
부작용
임산부의 사용에 대한 데이터는 없지만 메살라진이 태반을 가로질러 모유로 분비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2세 이하의 어린이,[1] 신부전 환자,[1] 아스피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사용해서는 안된다.[1]
부작용은 주로 위장관계에 나타나지만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위장관계 부작용에는 구역, 설사, 복통이 있다. 경구 제제를 사용했을 때 골수억제로 인한 문제(백혈구감소증, 호중구감소증, 무과립구증, 재생불량성빈혈, 혈소판감소증)나 탈모, 말초신경증, 췌장염, 간 질환, 심근염, 심낭염, 알레르기성이나 섬유성의 폐 부작용, 홍반성 루푸스 유사 반응, 발진(두드러기 등), 약물성 발열, 간질성신염, 신증후군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약물 투여를 중단하면 보통 정상으로 돌아온다. 매우 드물게 메살라진 사용이 대장염,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다형 홍반의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1]
Remove ads
화학
페살라진은 설파살라진의 활성 성분으로, 설파살라진은 설파피리딘과 메살라진으로 대사된다.[12] 또한 전구약물인 발살라지드나 비활성 상태의 운반체 분자인 4-아미노벤조일-베타-알라닌의 활성 성분이기도 하다.[13] 메살라진은 항류마티스제(DMARDs)에 속한다.[14]
작용 기전
명확한 작용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고리형 산소화효소와 지질산소화효소 경로의 염증 반응을 조절하여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의 합성을 감소시킨다고 여겨진다.[15] 대장 점막에 국소적으로 작용한다.[16]
사회와 문화
상품명
메살라진은 아프리소(Apriso), 아사콜(Asacol), 아사콜 HD, 카나사(Canasa), 델지콜(Delzicol), 피바사(Fivasa), 로와사(Rowasa), 스프로와사(Sfrowasa) 등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17][18]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