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육행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육행관
Remove ads

6행관(六行觀)은 3계9지(三界九地)의 각각의 (地)에서 수혹(修惑)을 끊기 위하여 유루지(有漏智)로써 닦는 관찰 수행을 말한다.[1][2] 행관(行觀)에서 (行)은 진취(進趣) 즉 '나아가서 다다름'을 뜻하고 (觀)은 관찰을 뜻하며, 따라서 행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관찰로 나아가서 관찰에 다다른다는 것으로, 관찰 수행을 행하는 것 즉 비파사나 수행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3]

대비바사론》 제64권과 제163권 그리고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 각각의 (地)의 무간도(無間道)에서 자지(自地)와 그것의 바로 다음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에 대해 (麤) · (苦) · (障)이라고 하여 그 결과 하지(厭: 싫어함)하고, 해탈도(解脫道)에서 자지(自地)의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에 대해 (靜) · (妙) · (離)라고 하여 상지(欣: 좋아함, 즐거이 구함)한다. 이와 같이 6가지로 관찰하여 하지(厭)하고 상지(欣)함으로써 '자지(自地)의 번뇌' 즉 '자지(自地)의 수혹'을 끊기 때문에 6행관이라고 한다.[1][2][4][5][6][7] 이들 중 첫 번째의 (麤)는 (粗)라고도 한다.[2][8][9]

6행관(六行觀)을 염흔관(厭欣觀) · 흔염관(欣厭觀) 또는 6묘행(六妙行)이라고도 한다.[2][10][11]

《대비바사론》 제64권과 《구사론》 제24권에서는 6행관의 각각을 추행상(麤行相) · 고행상(苦行相) · 장행상(障行相) · 정행상(靜行相) · 묘행상(妙行相) · 리행상(離行相)이라 부르고 있다.[4][6][7]

선바라밀차제법문(禪波羅蜜次第法門)》 제5권과 일여 등의 《삼장법수(三藏法數)》에서는 6행관의 각각을 염고관(厭苦觀) · 염추관(厭麤觀) · 염장관(厭障觀) · 흔승관(忻勝觀) · 흔묘관(忻妙觀) · 흔출관(忻出觀)이라 부르고 있다.[2][10][12]

Remove ads

9지의 수혹과 6행관

대비바사론과 구사론의 6행관

요약
관점

무간도

추행상(麤行相)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6][7]

(麤)는 비적정(非寂靜) 즉 적정(寂靜)하지 않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은 오직 커다란 노력[大劬勞]에 의해서만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고행상(苦行相)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6][7]

(苦)는 비미묘(非美妙) 즉 미묘(美妙)하지 않다는 것, 즉 (美)하거나 (妙)하지 않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추중(麤重), 즉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온갖 번뇌, 즉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유루법(有漏法), 또는 '자지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의 온갖 번뇌 또는 유루법의 거칠고 무거움'이 능히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장행상(障行相)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6][7]

(障)은 비출리(非出離) 즉 출리(出離)가 아니라는 것을 뜻하며, 또한 자지(自地)와 그 바로 아래의 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능히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처럼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장애한다는 것을 뜻한다.

해탈도

정행상(靜行相)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6][7]

(靜)은 적정(寂靜)하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은 오직 커다란 노력[大劬勞]에 의해서만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묘행상(妙行相)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6][7]

(妙)는 미묘(美妙)하다는 것, 즉 (美)하고 (妙)하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능히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리행상(離行相)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6][7]

(離)는 출리(出離)를 뜻하며,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有漏法)이 마치 감옥의 두터운 벽과 같은 자지(自地)를 벗어나는 것을 능히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Remove ads

선바라밀차제법문의 6행관

무간도

염고관(厭苦觀)

염추관(厭麤觀)

염장관(厭障觀)

해탈도

흔승관(忻勝觀)

흔묘관(忻妙觀)

흔출관(忻出觀)

같이 보기

참고 문헌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