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CJ그룹

한국의 복합기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CJ그룹
Remove ads

CJ그룹(한국어: 씨제이그룹, 영어: CJ Group)은 대한민국대규모 기업집단이다. 그룹의 모태는 1953년 창업주 호암 이병철 전 삼성 회장이 설립한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이며, 1996년 삼성그룹과 계열 분리되어 제일제당그룹으로 독립 출범하였다. 이후 2002년 사명을 CJ로 변경하였으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소월로2길 12에 위치하고 있다.

간략 정보 창립, 창립자 ...
Remove ads

현황

CJ그룹은 지주회사인 CJ(주)를 중심으로 식품 & 식품서비스, 생명공학, 물류 & 신유통, 엔터테인먼트 & 미디어 등 4개 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 CJ(주)는 순수 지주회사로서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며, 주요 계열사로는 CJ제일제당, CJ대한통운, CJ ENM, CJ프레시웨이, CJ올리브영, 스튜디오드래곤 등이 있다.

역사

CJ그룹은 본래 삼성그룹의 일부였으며, 1953년 설립된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를 전신으로 한다.

1993년 제일제당, 제일제당건설, 제일씨앤씨, 제일냉동식품, 제일선물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다. 1996년 제일제당그룹이 출범하였다. 1998년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CGV를 개관하였다.

2002년 그룹명을 제일제당그룹에서 CJ그룹으로 변경하였다. 2007년 9월 1일 지주회사 체제 전환으로 CJ주식회사는 사업회사(CJ제일제당)와 경영회사(CJ주식회사)로 분리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CJ투자증권과 CJ자산운용을 현대중공업그룹에, 2011년 1월 관계사이자 대원미디어의 자회사인 챔프비전(챔프TV)을 태광그룹에 매각하고 일본의 프라임쇼핑을 계열사로 편입하였다.

2011년 3월에는 CJ엔터테인먼트·CJ미디어·온미디어·엠넷미디어·CJ인터넷·오미디어홀딩스 등 6개 콘텐츠 관련 계열사를 CJ E&M으로 인수 합병하였으며, 2012년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부터 대한통운을 인수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던 CJ GLS와 통합시켜 지금의 CJ대한통운이 되었다.[2][3] 2013년 이재현 회장 구속 후 2012년 2조 9천억원에 달했던 투자 규모가 2014년 1조 9천억원으로 감소했다. 이로 인해 성장이 정체되자 주력사업 M&A를 통해 확장에 나섰는데, 2014년 9월 CJ대한통운이 중국의 룽칭물류를 인수했으며, 동부팜한농코웨이 인수에도 뛰어들었다.[4]

Remove ads

사업 부문

요약
관점

식품 & 식품서비스[1]

CJ제일제당 식품사업 부문은 설탕, 밀가루, 식용유, 조미료, 장류, 육가공식품, 신선식품, 쌀가공식품, 냉동식품, HMR, 건강식품 등을 생산·판매하는 식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로 비비고, 햇반, 스팸, 플랜테이블 등이 있다.) CJ푸드빌은 외식 및 베이커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로 빕스, 뚜레쥬르 등이 있다.) CJ프레시웨이는 농수축산물 및 가공상품을 공급하는 식자재유통사업, 오피스, 산업체, 병원 등 다양한 고객대상의 단체급식 푸드서비스사업, 소스 및 드레싱, 엑기스 등의 제조와 농산물 전처리, 부동산 임대 등의 기타 사업을 하고 있다. CJ씨푸드는 어묵, 김, 생선구이, 유부 등의 수산가공식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생명공학[5]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 부문은 아미노산 등의 생산·판매 사업을 하는 BIO사업을, CJ Feed & Care는 사료·축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BIO 사업은 동물영양(Animal Nutrition)과 Taste & Nutrition 사업 등을 하고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신약개발과 마이크로바이옴 생명정보 분석서비스 및 맞춤형 헬스케어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물류 & 신유통[6]

CJ대한통운은 CL사업, 택배사업, 글로벌사업, 건설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글로벌 사업은 포워딩 사업(해상·항공 포워딩, 국제특송) 등으로 구성됐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IT시스템 구축 및 프로그램 개발(SI),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은 ​건강 및 미용 관련 상품의 판매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CJ ENM 커머스 부문은 TV, 온라인/모바일, 오프라인 매장 등을 통해 국내외 협력사 상품을 위탁 또는 직매입 판매하거나, 기획 상품(PB, LB)을 취급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 미디어[7]

CJ ENM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방송채널, 광고, 티빙 사업 등을 포함한 미디어플랫폼 사업, 콘텐츠 제작·판매를 비롯해 영화사업과 IP 부가사업 등으로 구성된 영화드라마 사업, 음반·음원 제작 및 콘서트, 엠넷 채널 관련 사업이 포함된 음악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방송국과 미디어 플랫폼, 해외시장에 공급하고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하는 방송영상물제작사업을 주사업으로 하고 있다. TVING은 국내 OTT 사업자로서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및 구독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CJ CGV는 멀티플렉스 운영 사업과 기술특별관 및 콘텐츠 플랫폼 사업을 하고 있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