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FC 서울의 기록과 통계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FC 서울의 구단과 소속 선수, 감독 등의 기록에 관한 문서이다.
대회별 주요 성적
※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통계 원칙에 의거 FC 서울은 전신 구단의 역사와 기록을 승계하고 있다.[1]
※ 별도의 3위 결정전이 없는 토너먼트 대회의 경우 준결승 진출 성적은 공동 3위로 간주한다.
국내 대회
리그
컵
국제 대회
아시아
친선 대회
- ● 3위 (1): 1989
- ● 우승 (1): 2017
더블 우승
Remove ads
팀 기록
시즌별 결과 요약
역대 시즌 통계
- ※ K리그 경기 결과는 정규시즌 결과만 기재하며, 포스트시즌 (1986–2011: 챔피언십, 2013–현재: 승강 플레이오프) 결과는 별도로 기재한다.
- ※ 1993, 1998 1999, 2000 시즌은 무승부 시 승부차기가 시행되었으며, 승부차기를 무승부로 처리하는 규정에 근거한 승무패는 별도로 아래에 "( )" 안에 표기하였다.
- ※ 2004, 2005, 2006 시즌의 리그순위는 전후기리그 통합승점 순위표의 순위이다.
- ※ 아: 아디다스컵, 프: 프로스펙스컵, 필: 필립모리스코리아컵, 대: 대한화재컵, 삼: 삼성 하우젠컵, 피: 피스컵 코리아, 포: 포스코컵를 의미한다.
- 당시 공식 대회명칭은 2001-02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 2002-03 AFC 챔피언스리그로 대회명칭을 개명하고 확대 재출범하였다.
K리그 챔피언십 기록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기록
대회별 통산 전적
※ 2016 시즌 종료 시점 기준
※ 승부차기 결과는 무승부로 계산되었다.
※ 기권승과 기권패도 전적에 포함되었다. K리그와 리그컵의 경우에는 득실도 모두 고려되었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 위너스 컵의 기권승/기권패의 경우에는 득실은 고려하지 않고 승패만 계산되었다.
※ AFC 챔피언스리그 본선 기록에는 198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2001/02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의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비공식 경기로 간주하고 있는 K리그 1986 시즌 챔피언결정전 2경기 (1무 1패, 1득점 2실점), 1992년 리그컵 1992 2경기 (1무 1패, 2득점 4실점) 이렇게 총 4경기의 전적은 기타로 구분하여 합산하였다.
※ 승률은 승리한 경기 수를 전체 경기 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소수점 이하는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하였다.
K리그1 상대구단별 통산 전적
※ 1984–2013 시즌 기준
※ 상무 축구단은 상무에서 선수를 임대해 주는 특수 구단 개념으로 1985년 상무 축구단, 2003-2010년 광주 상무 축구단, 2011년 상주 상무 축구단
이렇게 3개 구단이 각각의 구단으로 기록이 분리되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주관대회 통산 기록
※ 1984–2012 시즌 기준
※ 승부차기 승패를 무승부가 아닌 승패로 환산 처리
※ K리그1과 리그컵의 통산 기록이다
※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비공식경기(이벤트경기)로 간주하고 있는 1986 K리그 챔피언결정전과 1992 리그컵 챔피언결정전의 기록은 포함하지 않았다
최초 기록
최다 득점
최다 득점차
최다 연속 기록
※ 1984–2013 시즌 기준
※ 승부차기 승패를 승패가 아닌 무승부로 환산 처리
※ K리그1과 리그컵의 통산 기록이다
※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비공식경기(이벤트경기)로 간주하고 있는 1986 K리그 챔피언결정전과 1992 리그컵 챔피언결정전의 기록은 포함하지 않았다
주요 승리
※ K리그1과 리그컵의 통산 기록이다
※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비공식경기(이벤트경기)로 간주하고 있는 1986 K리그 챔피언결정전과 1992 리그컵 챔피언결정전의 기록은 포함하지 않았다
주요 득점
※ K리그1과 리그컵의 통산 기록이다
※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비공식경기(이벤트경기)로 간주하고 있는 1986 K리그 챔피언결정전과 1992 리그컵 챔피언결정전의 기록은 포함하지 않았다
Remove ads
선수 기록
요약
관점
- 1984–2021 시즌 기준
- 최다 출장 기록, 최다 득점 기록, 최다 무실점 기록, 최다 실점률 기록은 K리그 통산 기록(정규시즌, 포스트시즌, 리그컵)과 FA컵과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을 합산한 통산 기록이다.
- 친선경기 기록은 제외되었다.
- 최다 도움 기록과 최다 공격포인트 기록은 공식 도움 기록이 제공되는 K리그 통산 기록으로만 계산되었다.
- 기타 대회와 경기수는 다음과 같다
- 1999년 슈퍼컵 1경기와 2001년 슈퍼컵 1경기 (당시 규정에 따라 번외경기로 처리되어 현재 K리그 공식 기록에 합산되지 않았다.)
- 1988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4경기와 1989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3경기
통산 최다 출장 기록
※ 통산 200경기 이상 출장 기록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한다.
※ 매 시즌이 종료될 때마다 업데이트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아래 기록은 2021 시즌이 종료된 2021년 12월 8일 기준이다. 2022 시즌의 기록은 2022 시즌이 종료된 이후에 반영된다.
- (1) 윤상철 통산 출장 기록 관련 주석
- 1988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4경기 중 1경기(결승전) 출장 확인, 3경기(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출장 여부 미확인
- 1989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3경기 중 2경기(8강전, 준결승전) 출장 확인, 1경기(16강전) 출장 여부 미확인
- 정리하자면 기타대회 총 9경기 중 5경기 출장 확인, 4경기 출장 미확인으로 총출장수 최대 4경기 증가 확률 존재
통산 최다 득점 기록 TOP 10
※ 매 시즌이 종료될 때마다 업데이트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아래 기록은 2021 시즌이 종료된 2021년 12월 8일 기준이다. 2022 시즌의 기록은 2022 시즌이 종료된 이후에 반영된다.
- (1) 윤상철 통산 득점 기록 관련 주석
- 1988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4경기 중 1경기(결승전) 출장 및 1득점 확인, 3경기(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출장 여부 미확인 및 무득점 확인
- 1989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3경기 중 2경기(8강전, 준결승전) 출장 확인 및 무득점 확인, 1경기(16강전) 출장 여부 미확인 및 무득점 확인
- 정리하자면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총 7경기 중 3경기 출장 확인, 4경기 출장 미확인이지만 무득점은 확인되어 득점 증가 확율은 없고 총출장수만 최대 4경기 증가 확률 존재
통산 최다 도움 기록 TOP 10
통산 최다 공격포인트 기록 TOP 10
통산 최다 무실점경기 기록 TOP 10
- (1) 차상광 통산 무실점경기 기록 관련 주석
- 1989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3경기 중 16강전 1경기 출장 여부 미확인 (무실점경기수: 없음, 당시 주전이자 8강전과 준결승전에 출장했던 차상광 선수가 미확인된 16강전에서도 출장했을 확률 높음)
- 총출장수 1경기, 무실점경기수 0경기 증가 확률 존재
- (2) 김현태 통산 무실점경기 기록 관련 주석
- 1986년 K리그 챔피언결정전 2경기 중 2경기 출장 확인 (무실점경기수: 없음)
- 1988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4경기 중 결승전 제외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이렇게 3경기 출장 여부 미확인 (무실점경기수: 2경기, 대회 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한 김현태 선수가 나머지 3경기 출장하고 무실점경기 기록했을 확률 높음)
.
- 총출장수 3경기, 무실점경기수 2경기 증가 확률 존재
통산 최소 실점률 기록
※ 통산 50경기 이상 출장 기록 보유 골키퍼만을 대상으로 한다.
- 차상광 선수 통산 실점률 기록 관련 주석
- 1989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3경기 중 16강전 1경기 출장 여부 미확인 (미확인 경기 총실점수: 1실점, 당시 주전이자 8강전과 준결승전에 출장했던 차상광 선수의 기록일 확율 높음)
- 1989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3경기 중 2경기 출장 확인 (2실점)
- 기타대회 총 2경기 출장 확인 (3실점)
- 총출장수 1경기, 1실점 증가 확율 존재
- 김현태 선수 통산 실점률 기록 관련 주석
- 1986년 K리그 챔피언결정전 2경기 중 2경기 출장 확인 (2실점)
- 1988년 전국축구선수권대회 4경기 중 결승전 제외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3경기 출장 여부 미확인 (미확인 경기 총실점수: 2실점, 대회 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한 김현태 선수의 기록일 확율 높음)
- 기타대회 총 2경기 출장 확인 (2실점)
- 총출장수 3경기, 1실점 증가 확율 존재
- 박철우 선수 통산 무실점경기 기록 관련 주석
- 기타대회 총 0경기 출장 확인 (0실점)
- 임종국 선수 통산 무실점경기 기록 관련 주석
- 1992년 리그컵 결승전 2경기 중 1경기 교체 출장 확인 (0실점)
- 1999년 슈퍼컵 1경기 출장 확인 (4실점)
- 기타대회 총 2경기 출장 (5실점)
- 김봉수 선수 통산 무실점경기 기록 관련 주석
- 1992년 리그컵 결승전 2경기 중 2경기 출장 확인 (4실점)
- 기타대회 총 2경기 출장 확인 (4실점)
단일 경기 최다 기록
단일 시즌 최다 기록
대회별 단일 시즌 득점 최다 기록
대회별 단일 시즌 무실점 최다 기록
최다 연속 기록
Remove ads
감독 기록
취임 / 사임 기록
※ 선임은 최초로 공식 영입을 발표한 일자를 의미한다.
※ 취임은 취임식을 가지고 공식 업무를 시작한 일자를 의미한다.
※ 사임은 최초로 공식 사임을 발표한 일자를 의미한다.
감독 경기 기록
※ 2016 시즌 종료 기준
※ 승무패 전적, 골득실, 모든 비율은 K리그 정규리그 (K리그 챔피언십 포함)와 리그컵 기록만으로 계산되었으며 AFC 챔피언스리그와 FA컵 기록은 제외되었다.
※ 1986년 챔피언결정전 2경기, 1992년 리그컵 결승전 2경기, 1999년 슈퍼컵 1경기와 2001년 슈퍼컵 1경기
승무패 기록은 당시 규정에 따라 번외경기로 처리되어 감독 승무패 기록에서도 제외되었다.
※ 승부차기가 시행된 1993, 1998 1999, 2000 시즌의 승무차기 승패는 한국프로축구연맹 통산 기록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처리되었다.
Remove ads
데뷔전 기록
선수 데뷔전
감독 데뷔전
Remove ads
구성원 기록
창단 멤버
- 창단식 (1983-12-22) 이후 합류 멤버
역대 주장단
국제대회 출전 선수
- 서정원은 원래 방위병으로 입대하였으나 월드컵 본선을 앞두고 상무 축구단에 파견 근무 형식으로 배속되어 병역 복무중이었다.
- 최용수는 월드컵 본선 당시 실업리그에 소속된 상무 축구단에서 병역 복무중이었다.
- 주세종은 월드컵 본선 당시 K리그2에 소속된 아산 무궁화 축구단에서 병역 복무중이었다.
- 구단은 2018년 FIFA 월드컵까지 총 22명의 월드컵 본선 출전 선수를 배출하였다.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다음은 FC 서울에 소속되었던 선수로 FIFA 센추리 클럽에 가입한 선수들이다. ※ 2018년 11월까지의 A매치 결과를 반영하며, 굵은 글씨는 현역 선수를 나타낸다.
역대 구단주
Remove ads
관중 기록
요약
관점
총관중과 평균관중 기록
※ 시즌 총관중수는 K리그 정규시즌, K리그 포스트시즌(2004–2011: 챔피언십, 2013–현재: 승강 플레이오프), 리그컵, FA컵, AFC 챔피언스리그의 공식 홈경기 관중수의 총계이며 친선 경기 관중수는 포함하지 않는다.
※ K리그 시즌 총관중수는 K리그 정규시즌, K리그 포스트시즌(2004–2011: 챔피언십, 2013–현재: 승강 플레이오프), 리그컵의 공식 홈경기 관중수의 총계이다.
※ 객단가와 입장수입 자료는 K리그 홈경기만을 대상으로 산출되었다.
FC 서울 보유 관중 신기록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단일 경기 최다 관중 기록 TOP 10
Remove ads
이적료 기록
최고 이적료 수입 Top 20
최고 이적료 지출 Top 20
Remove ads
기타 기록
역대 자매결연 구단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