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K이론과의 관계
복소수 벡터 다발의 위상 K군
과 실수 벡터 다발의 위상 K군
은 KR군의 특별한 경우로 주어진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에 항등 함수인 대합
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이 대합 공간 위의 대합 벡터 다발
이 주어졌을 때, 항상 실수 벡터 다발


을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위의 대합 벡터 다발(의 동형류)은
위의 실수 벡터 다발(의 동형류)과 동치이다. 따라서, 이 경우 KR군은 KO군과 같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가 주어졌을 때,
위에 대합

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위의 대합 벡터 다발은
위의 복소수 벡터 다발과 동치이다. 따라서, 이 경우
의 KR군은
의 KU군과 같다.

보트 주기성
일반 위상 K이론과 마찬가지로, 축소 KR군(영어: reduced KR-group)
을 정의할 수 있다.
유클리드 공간
위에 대합

을 부여한 것을
으로 표기하자. 그 속의
차원 공 및 초구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등급을 갖는 (축소) KR군들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분쇄곱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보트 주기성(영어: Bott periodicity)이 성립한다.

즉, KR군은 오직
에만 의존한다. 보통

으로 표기한다. 특히,
은 ‘
차원 초구’로 해석되며, 이를 통하여 음의 차원의 초구를 생각할 수 있다.
실수 · 복소수 K이론의 보트 주기성은 KR이론의 보트 주기성의 특수한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