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MBC 가요대제전
문화방송의 연말 가요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MBC 가요대제전》은 대한민국의 방송사 MBC 예능본부에서 주최하는 연말 특집 가요 프로그램으로, 매년 12월 31일 밤에 생방송으로 열린다.
역사
요약
관점
1966년 12월 2일 문화방송 창사 5주년을 기념해 《10대 가수 청백전》이라는 이름으로 MBC 라디오를 통해 지금의 세종문화회관의 전신인 서울시민회관에서 생방송되었다. 당년에 왕성하게 활동한 10명의 가수를 선정한 뒤 그중 한 가수를 뽑아 '10대 가수왕'으로 시상하는 행사였다. 1969년 8월 텔레비전 방송 개국 이후 1970년 12월 2일부터는 라디오와 TV로도 방송되기 시작했다.
1972년 행사 직후 서울시민회관이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전소되자,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정동에 있었던 문화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1974년에는 방송 프로그램 이름이 《10대 가수 가요제》로 바뀌고 10월의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렸으나, 1975년에 한하여 문화방송이 경향신문과 합병된 것을 기념해 합병 기념일인 11월 1일에 열렸다. 1979년에는 10월의 마지막 토요일인 10월 27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10.26사건으로 인해 그해 12월 31일로 연기된 것이 계기가 되어 그 후 매년 12월 31일에 열리게 되었다.
한때 1987년에는 《87 MBC 한국가요대제전》 1988년에는 《88 MBC 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기도 했었다. 그 이유는 대상 수상자의 불참 때문이었다. 예외로 1988년에는 시상식 형태로 진행되었다. 특히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장충체육관에서 방송했다.
1989년 국회에서는 제5공화국 시절의 각종 비리를 규명하기 위한 청문회가 개최되었으며, 이는 전 국민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중대한 사안으로 부상하였다. 이에 따라 주요 지상파 방송사들은 청문회 중계를 편성의 최우선 순위에 두었고, 그 여파로 인해 예년과 같이 연말에 생방송으로 진행되던 《10대 가수 가요제》는 방송 일정이 조정되어, 1990년 신년 연휴 기간 중 녹화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2005년 10대 가수로 선정된 대부분의 출연 예정 가수들이 불참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10대 가수 가요제가 사실상 38년 만에 폐지되었고, 가수들에 대한 경합 시상이 없는 축제 형식으로 변경됨과 함께 《MBC 가요대제전》으로 명칭을 대체하여 12월 31일에 방송되었다. 2006년에는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개최되었으며, 2007년부터는 일산 MBC 드림센터에서, 2014년부터 상암 MBC 2원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지상파 방송 3사에서 가요대상 폐지 결정을 내려서 앞으로 이런 형태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선정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공정성 시비를 비롯한 많은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10대 가수 가요제를 폐지하고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MBC 한국가요제전》이라는 이름으로[1],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MBC 한국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다. '93년에는 청백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94년 최고 인기 가요상은 김건모의 〈핑계〉가, '95년 최고 인기 가요상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컴백홈이 차지하였다. '96년에는 6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대중가요 및 통일 노래 베스트 5를 소개하였고, '97년에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98년에는 《98 MBC 가요제전》이라는 이름으로 30세 이상, 30세 미만으로 구분하여 최고 인기 가수상을 시상하였다. 30세 이상 최고 인기 가수상은 김종환이, 30세 미만 최고 인기 가수상은 H.O.T.가 차지하였다.
1993년부터 신년전야 카운트다운이 포함되기 시작했으며, 매년 제야의 종 타종 실황을 생방송 도중에 중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부터 1993년까지는 잠실실내체육관에서,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KBS 88체육관에서, 1996년에는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1997년부터 1998년까지는 장충체육관에서 방송하였으며, 1999년에는 잠실학생체육관에서 방송하였고, 2000부터 2005년까지는 장충체육관에서 방송하였으며, 2011년에는 광명스피돔에서 방송하였다.
2024년 가요대제전은 방송 이틀 전에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해 생방송이 아닌 녹화방송으로 대체되었으며, 이후 2025년 1월 29일과 1월 30일에 녹화 방송으로 편성되었다.
Remove ads
역대 MC
1976년 ~ 2005년
2006년 이후
Remove ads
역대 최고 인기상 수상자
MBC 10대 가수 청백전 (1966~1973)
MBC 10대 가수 가요제 1기 (1974~1992)
- 1988년은 'MBC 가요대제전'으로 개최하였다.
MBC 한국가요제전 (1993~1997)
- 1993년에는 청백전 형식으로 진행[2]
- 1996년에는 'MBC 한국가요대제전'이라는 명칭으로 축제 형식으로 진행 (방송 70년을 맞아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대중가요 소개 및 통일 노래 설문조사)[3]
- 1997년에는 'MBC 한국가요대제전'이라는 명칭으로 축제 형식으로 진행
MBC 가요제전 (1998) / MBC 10대 가수 가요제 2기 (1999~2004)
- 1998년부터 2001년까지 30대 이상 및 이하 최고 인기 가요상으로 시상
-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최고 인기 가수상으로 시상하였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 MBC 가요대제전으로 개최하고있다.
MBC 가요대제전 (2005~현재)
- 2006년부터 시상식이 폐지되었다.
역대 출연진
타이틀 변천사
현재 타이틀은 2022년 기준으로 한다.
현장 실황 중계
이원 생중계로 진행되었다.[4]
보신각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영동대로 코엑스앞
- 2016년 김초롱
잠실 롯데월드타워 야외광장
- 2019년 미상
광화문 세종대로
- 2023년 미상
상암동 글로벌미디어센터
자체 지역방송
- 2010년대 ~ 현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달구벌타종 (대구문화방송)
Remove ads
신년전야 카운트다운 쇼
매년 신년전야를 맞아, 1993년(오는 1994년)부터 1998년(오는 1999년)까지 카운트다운이 진행되었으며, 1999년(오는 2000년)에는 《2000 투데이》가 편성되었다. 이후 2000년(오는 2001년)부터 2023년(오는 2024년)까지 다시 카운트다운이 이어졌으나, 2024년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의 여파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특선영화와 특선다큐멘터리가 대체 편성되면서 카운트다운 없이 방송되었다. 그러나 1년 만인 2025년(오는 2026년)부터 다시 카운트다운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밤 11시 59분부터 시작되어, 출연진과 관객이 함께 "5, 4, 3, 2, 1!"을 외치며, 새로운 년을 맞이했다. 무대에는 대형 시계 그래픽과 함께 폭죽, 종소리, 환호성이 어우러져 축제 분위기를 자아냈다. 자정 정각 이후, 진행자와 함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불렀다.
- 1993년 첫 공식 카운트다운 시행. 제야의 종 타종 실황과 연계해 전국 생방송.
- 1995년 HD 방송 시스템 도입 준비로 무대 연출 확장.
- 2000년 밀레니엄 특별 무대 진행. 전 출연자 대합창과 함께 대형 LED 숫자 타이머 사용.
- 2002년 한일 월드컵 해의 마지막 방송으로 축제 분위기 고조. (필체)
- 2007년 3D 그래픽 효과 도입. 카운트다운 연출의 기술적 진화 시작.
- 2010년 K-POP 붐과 함께 아이돌 중심의 축제 분위기 강화.
- 2013년 20주년 기념 연출. 역사적 영상 클립 삽입.
- 2015년 SNS 실시간 반응 중계와 함께 시청자 참여형 카운트다운 도입.
- 2018년 초대형 LED 무대와 함께 360도 카메라 도입. 관객 몰입감 상승.
- 2020년 코로나19 무관중 비대면 진행. 온라인 카운트다운 시도.
- 2022년 아이돌 중심 무대 + 팬들과 온라인 동시 카운트다운 진행. (론진 마스터콜렉션)
- 2023년 팬 라이브 응원석 도입, 현장 참여자와 공동 카운트다운.
Remove ads
참고 사항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