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성 치경 마찰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성 치경 마찰음(有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다. 조음 방법을 세분화하여 치찰음인 유성 치조 마찰음과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으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정보 종류, 치 ...
간략 정보 z, 그림 ...

조음 방법

  • 혀끝과 치조 간의 간격을 좁힌다.
  • 좁혀진 혀끝과 치조사이를 강하게 마찰시킨다.
  • 혀끝을 내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특징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치찰음

  • IPA 기호 z는 기류가 이빨 쪽으로 빠져나가는 치찰음을 의미한다.
  •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을 위한 공식 IPA 기호는 없지만,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가 가능하다.

발음의 예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