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성 치경 마찰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성 치경 마찰음(有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다. 조음 방법을 세분화하여 치찰음인 유성 치조 마찰음과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으로 나눌 수 있다.
조음 방법
- 혀끝과 치조 간의 간격을 좁힌다.
- 좁혀진 혀끝과 치조사이를 강하게 마찰시킨다.
- 혀끝을 내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특징
치찰음
발음의 예
- 영어, 스와힐리어, 슬로베니아어, 슬로바키아어, 헝가리어, 아제르바이잔어, 폴란드어, 하우사어, 밤바라어, 체코어, 우즈베크어, 튀르키예어, 라트비아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네덜란드어: z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몰타어: ż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현대 히브리어: ז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랍어: ز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이탈리아어: 유성음 앞에 오는 s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세르보크로아트어: 키릴 문자 표기의 з, 라틴 문자 표기의 z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독일어: 장애음 뒤가 아니면서 모음 앞에 오는 s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러시아어,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벨라루스어: з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일본어: ざ(ザ), ず(ズ), ぜ(ゼ), ぞ(ゾ)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눠쑤어: 라틴 문자 표기의 ss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총가어: z와 zw에서 이 소리가 난다. zw는 순음화 자음이다.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