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You Gotta Go There to Come Back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You Gotta Go There to Come Back
Remove ads

You Gotta Go There to Come Back》는 웨일스얼터너티브 록 밴드 스테레오포닉스의 네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켈리 존스가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2003년에 V2에서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밴드의 세 번째 연속 영국 음반 차트 1위 음반이 되었고, 발매 첫 주에만 101,946장이 판매되었다.

간략 정보 스테레오포닉스의 정규 음반, 발매일 ...

이것은 또한 2003년 9월에 해고되기 전, 오리지널 드러머 스튜어트 케이블이 참여한 마지막 스테레오포닉스 음반이다. 음반의 제목은 여덟 번째 트랙 〈I'm Alright (You Gotta Go There to Come Back)〉에서 따왔다.

Remove ads

녹음

켈리 존스는 밴드 공연의 "분위기"를 포착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직접 이 음반을 프로듀싱했다. 그는 "매우 거칠고 즉흥적이지만, 세부적인 요소와 질감, 그리고 층위를 가득 담은 음반을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우리는 이전에 가보지 않았던 많은 영역에서 스스로를 몰아붙였다."[3]

그는 이후 이 음반의 녹음이 "오랫동안 밴드가 경험한 최고의 녹음 경험이었다"고 회상하며 이렇게 덧붙였다. "모든 스태프가 방 안에 있었고, 모든 여자친구들이 방 안에 있었고, 밴드 모두가 함께 있었다. 그건 최고의 녹음 세션이었다. 그냥 정말 말도 안 되게 좋은 시간처럼 느껴졌다."[4]

평가

자세한 정보 총 점수, 출처 ...

《You Gotta Go There to Come Back》은 전반적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주요 평론가들의 리뷰를 100점 만점의 가중 평균으로 환산한 결과,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평균 60점을 기록했다.[5]

상업적 성과

《You Gotta Go There to Come Back》은 발매와 동시에 이전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영국 음반 차트 1위에 올랐다. 2004년 2월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된 재발매반이 발매되었으며, 영국 음반 차트에서 35위로 다시 진입했고, 같은 해 9월에는 16위까지 재진입했다. 이 음반은 2003년 영국에서 28번째로 많이 판매된 음반이었다.

수록곡 〈Maybe Tomorrow〉는 밴드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로, 아카데미상 수상 영화 《크래쉬》 (2004년)의 엔딩 크레딧과 영화 《당신이 사랑하는 동안에》 (2004년)의 오프닝 장면에 사용되었다. 또한 《원 트리 힐》 시즌 1의 한 에피소드와 《참드》 첫 번째 사운드트랙에도 수록되었다.

곡 목록

모든 곡들은 켈리 존스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12]

자세한 정보 #, 제목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