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로키산메뚜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로키산메뚜기(Rocky Mountain locust, 학명: Melanoplus spretus 멜라노플루스 스프레투스[*])는 19세기까지 많은 숫자가 미국 서부의 절반과 캐나다 서부 일부 지대에 걸쳐 살았던 멸종한 메뚜기 가운데 하나이다. 그 어떤 이주성 메뚜기 종들보다도 매우 많은 숫자로 무리지어 날아다니는 광경이 자주 목격되었는데, 이 중 가장 유명한 목격 사례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1875년에 발견된 것으로, 그 크기는 198,000 제곱마일 (510,000 km2)(캘리포니아주보다 면적이 크다)에 달하며 총 무게는 2750만 톤에 달했고 총 12조 5천억 마리의 개체 수가 기록되어 여지껏 기록된 동물 밀집도 중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한다.[2]
그 후 3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완전히 멸종하게 되었다. 살아있는 개체에 대한 마지막 관찰 기록은 1902년으로 캐나다 서부에서였다.[3] 이렇게 널리 퍼져 있는 생물이 멸종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표본이 거의 수집되지 않았다.(그럼에도 일부 보존된 흔적이 와이오밍주의 나이프 포인트 빙하와 몬태나주의 메뚜기 빙하에서 발견되었다.)[4]
로키산메뚜기는 봄 이주 중인 멸종위기에 처해 있거나 멸종에 가까운 에스키모쇠부리도요(Numenius borealis)의 먹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 메뚜기의 멸종이 도요새 감소의 요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Remove ads
분류
종명은 1866년에 월시(Benjamin Dann Walsh)에 의해 라틴어 학명인 Caloptenus spretus로 공식 발표되었으며, 이는 울러(Philip Reese Uhler)가 명명한 것으로, "'spretus'라는 이름은 '무시받다'는 뜻이며, 지금까지 곤충학자들에게 무시당하거나 간과되어 온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5] 월시는 암컷 성충의 날개 길이와 생물·생태·방제의 일부 측면을 제외하고는 종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다.일부 곤충학자들은 Caloptenus spretus를 C. 토마스(Cyrus Thomas)가 명명한 것으로 믿지만,[6] 선취권원칙에 어긋난다.[7][8] 빗살무늬미주메뚜기속에 대한 방제가 1878년 빗살무늬메뚜기속에 따른 논의가 새뮤얼 스커더(Samuel Hubbard Scudder)의 논문에서 시작되었는데, 좀 더 정확하게 연구된 칼립테누스속(Calliptenus)으로 알려진 칼롭테누스속(Caloptenus)과 빗살무늬메뚜기속 사이의 차이점을 지적한 사람이었다.[9][10][11]
로키산메뚜기는 로키 산맥에서 엄청난 숫자가 특정 연도에만 프레리로 내려간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서풍의 흐름에 따라 건기에 많이 발생했다. 창궐 기간은 보통 2년을 이어 지속되었다. 창궐 연도에 프레리에서 산란을 많이 했지만, 이 알에서 부화한 개체는 이후 제대로 번성하지 못했는데, 이는 로키산메뚜기가 프레리 서식지에 적응을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12]
Remove ads
분포와 서식지

로키산메뚜기는 록키 산맥의 양쪽과 대부분의 프레리 지역에서 창궐했다. 모래 지대에서 번식하며 온난건조한 환경에서 번성하는 이 메뚜기가 건조한 시기에 프레리에 서식하는 키가 큰 식물에 의존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프레리 서식지의 파괴와 농사 및 새로운 동식물의 침입이 이 메뚜기가 멸종하게 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13] 로키 산맥에 있는 메뚜기 빙하(Grasshopper Glacier)는 엄청난 수의 로키산메뚜기가 얼음 아래에 파묻혀 있다.[4] 가장 초기의 것으로 알려진 화석은 이 로키산메뚜기가 현재까지 14,305-14,067년 전(기원전 약 12,100년 이상)으로 보정된 플라이스토세 후기 이후의 네바다주에 존재했음을 가리킨다.[14]
역사
요약
관점
19세기에 로키산메뚜기는 농업지대가 메뚜기의 선호 서식지가 있는 서쪽 방향으로 확대되면서 더 큰 문젯거리가 되었다. 1828년·1838년·1846년·1855년에 다양한 심각도의 창궐이 일어나 서부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 발생은 1856년~1857년과 1865년에 다시 미네소타주를 덮쳤으며, 네브라스카주는 1856년에서 1874년 사이에 반복적인 침입을 겪었다.[15]
마지막 대발생 (1873년~1877년)
로키산메뚜기의 마지막 대발생은 콜로라도주, 캔자스주, 미주리주, 네브라스카주, 미네소타주 및 기타 여러 주에서 2억 달러의 농작물 피해를 입힌 1873년에서 1877년 사이에 일어났다. 한 농부는 로키산메뚜기들의 날개가 햇빛을 반사시켜 하얀 증기가 모인 구름으로 착시를 일으켜 "거대하고 하얀 반짝이는 구름처럼 보인다"고 보고했다. 또 다른 사람은 이 경험을 "대기가 거대한 크기의 얇은 조각들로 가득 찬 큰 눈보라"로 설명했다.[15] 이 메뚜기들은 풀과 귀중한 농작물뿐만 아니라 가죽, 나무, 양털, 심지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사람들의 등에 벗겨진 옷까지 먹어치웠다. 기차의 경우 때때로 철도 위에 메뚜기들이 넘쳐나 이 때문에 미끄러져 멈춰서기도 했다.[16][13] 메뚜기 떼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어가자, 농부들은 화약과 불(때때로 가능한 한 수많은 메뚜기들을 불태우기 위해 구덩이를 파내기도 했다.)을 이용해 방제를 시도하였으며, 액상 독이나 연료가 담긴 냄비로 뛰어오른 메뚜기들을 기절시키는 방패를 가졌고 말이 끄는 일종의 쟁기인 '호퍼도저'(hopperdozer)로 문질렀고, 심지어는 진공 청소기를 닮은 특이한 장치로 빨아들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모든 수단으로는 결국 메뚜기 떼를 막는 데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농부들은 마침내 이 무리의 파괴력에 강력하게 대응했다. 1877년 네브래스카 법에 따르면 16세에서 60세 사이의 주민은 부화한 메뚜기를 제거하기 위해 최소 이틀 이상 일해야 하거나 10달러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같은 해 미주리주에서는 3월에 채집한 메뚜기에 대해 부셸당 1달러, 4월에 부셸당 50센트, 5월에 25센트, 6월에 10센트의 현상금을 지급했다. 다른 대평원 주에서도 비슷한 현상금을 지급했다.[15]
미주리주의 곤충학자, 찰스 라일리(Charles Valentine Riley)는 로키산메뚜기를 소금과 후추로 양념해 버터로 튀긴 요리법을 생각해냈다. 이 요리법은 팔렸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 끔찍한 생물을 먹느니 차라리 굶는 게 낫다"이라고 말했다.[15]
멸종
1880년대에 농부들은 오하이오주의 홍수 이재민들에게 옥수수 한 다발을 보낼 수 있을 정도로 메뚜기로 인한 피해로부터 충분히 회복되었다. 또한 로키산메뚜기가 이주해오기 이전인 초여름에 여무는 겨울밀 같은 회복이 빠른 작물들로 전환했다.[15]
1902년에 살아있는 개체를 본 것이 마지막이었다.[3]
로키산메뚜기는 2014년에 IUCN에 의해 공식적으로 멸종이 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 명분에는 2004년 DNA 조사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1] 현재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에스키모쇠부리도요의 경우, 봄 이동 중 주요 먹이로 삼았던 로키산메뚜기의 멸종이 사냥과 초원 서식지를 농업지대로 전환한 것에 더해져 이미 감소 중인 에스키모쇠부리도요의 개체수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켰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7][18]
멸종에 대한 가설
농작물의 변화
겨울밀은 메뚜기의 먹이원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15] 알팔파도 메뚜기 개체 수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진 또다른 사례이다.[19]
번식지 파괴
주민들이 쟁기질과 관개 작업을 벌이고 로키 산맥의 개울과 강 근처에서 소와 농장의 다른 동물들이 땅을 짓밟고 다녀 로키산메뚜기들이 계속해서 살던 지역에서 알들이 파괴되어 결국 멸종으로 이어졌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20] 예를 들어, 이 당시의 보고서에 따르면 농부들은 쟁기질·써레질·침수시키며 평방 인치당 150개 이상의 알을 죽였다고 한다.[20]:11–12
로키산메뚜기는 무리짓는 해에만 일시적으로 프레리에서 번식하면 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크기가 작고 로키 산맥에서 훨씬 더 멀리 무리지어 다닌 반면,[21] 영구 번식지는 로키 산맥의 하천 근처에 있는 사토 지대가 3 ~ 3,000 제곱마일 (7.8 ~ 7,770.0 제곱킬로미터) 범위로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보였는데, 이는 정착민들이 개척한 경작지 및 목축지와 일치했다.[20]
들소 무리
들소 무리 및 아메리카 원주민의 인구 감소가 로키산메뚜기들의 개체 감소에 한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 제기되었다.[19]
비멸종
로키산메뚜기는 개체군이 높은 밀도에 도달할 때 나타나는 메뚜기류의 한 형태로 이동 메뚜기의 '은둔형' 개체가 적절한 환경 조건이 주어지면 로키산메뚜기로 변해 멸종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9]
Remove ads
근연종
로키산메뚜기는 붉은다리메뚜기(M. sanguinipes)의 이동형과 외형상 닮아있으며 두 종이 자매군 (근연종)인 것으로 추정된다.[19]
2004년에 미토콘드리아 DNA의 네 가지 부위가 여러 박물관에 수장된 로키산메뚜기의 표본과 냉동된 빙하 퇴적물에 보존된 파편에 남아있는 염기서열로부터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빗살무늬미주메뚜기속의 다른 북미 종들과 비교했으며 이 속에 배치된 것을 확인했다. 이 네 부위 중 불충분한 계통 분류 때문에 로키산메뚜의 별개 종으로서의 지위가 크게 입증되지 않았는데, 이는 해당 종의 샘플이 해당 연구의 계통수에서 단계통군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같은 부분이 구분점에 의문을 던지기에 확신이 되지 않는 붉은다리메뚜기, M. mexicanus, 브루너메뚜기(M. bruneri), 녹슨다리메뚜기(M. femurrubrum) 및 빗살무늬미주메뚜기(M. borealis) 이 다섯 종에게서도 보인다. 로키산메뚜기의 모든 구성원에 대한 최근 공통 조상의 중심점이 여덟 종(전술한 다섯 종과 M. devastator, 허클베리메뚜기(M. fasciatus), M. madeleineae 및 가스페메뚜기(M. gaspesiensis))으로 분기되는데, 이는 이 여덟 종 중 어느 종이 로키산메뚜기에 가장 가까운지에 대한 정보를 계통수 자체가 제공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혹자들에 따르면 브루너메뚜기가 추가 통계 분석에서 더 가능성이 높은 자매군으로 나타난다고 언급한다.[19]
Remove ads
문화
요약
관점

미네소타주 콜드스프링 (Cold Spring)에 있는 성모승천 예배당은 독일계 미국인 가톨릭 개척농민들이 아마도 1850년대와 1870년대에 그들이 겪었던 것과 비슷한 미래의 메뚜기 창궐을 막기 위해 1877년에 기독교 순례 성소(독일어: Wallfahrtsort)로 건립되었다.[23] (독일어: Gnadenkapelle)[24][25] 퓌센의 성 마그누스(St. Magnus of Füssen) 축일인 9월 6일은 퓌센의 성 마그누스는 남독일에서 오래전부터 병해충의 창궐과 뇌우로부터 농민들을 지켜주는 수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지역에서 '메뚜기의 날'(Grasshopper Day)로 기념한다.[26]
미네소타주 세인트오거스타 인근의 세인트보니페이스에 봉헌된 1877년 순례 예배당은 같은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정확히 같은 사유로 지어졌다.[27] 영국 베네딕토회 선교사이자 주교이고 독일인의 기독교화의 계기가 되는 순교자이며, 독일어권 및 독일인계의 수호성인인 '독일의 사도'로 여전히 외경하는 성 보니페이스의 축일인 6월 5일에 성소를 순례하는 비슷한 지역 전통이 있다.[28]
1870년대에 로키산메뚜기가 일으킨 황폐화에 대한 반허구적 묘사는 로라 잉걸스 와일더(Laura Ingalls Wilder)의 반자전 소설, 《플럼 크릭 만에서》(On the Banks of Plum Creek)에서 찾을 수 있다. 그녀의 책에서의 묘사는 1874년과 1875년 여름 동안 미네소타주 서부에서 로키산메뚜기가 가족이 일구어 놓은 밀밭을 파괴한 실제 사건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29]
로키산메뚜기의 습격에 대한 또 다른 생생한 묘사는 자신의 경험과 아내 가족의 경험을 일부분 바탕으로 한 올 에드바르트 뢸바그(Ole Edvart Rølvaag)의 《땅의 거인》(Giants in the Earth)에서 찾을 수 있다.[30]
2018년에는, 로키산메뚜기를 다룬 실내 오페라 《로커스트: 오페라》(Locust: Opera)가 미국의 와이오밍주에서 초연을 진행하였다. 이 오페라의 대본은 교수이자 작가인 제프리 록우드(Jeffrey Lockwood)가 쓴 것으로, 그의 저서 『로커스트: 미국 국경을 형성한 곤충의 파괴적인 부상과 신비로운 실종』(Locust: the Devastating Rise and Mysterious Disappearance of the Insect that Shaped the American Frontier)을 각색한 것이다.[31][32]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