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국 육군의 사령부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미국 육군에서 옛날에 혹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사령부의 목록이다.

주요사령부

요약
관점

Major Command (MAJCOM)

육군사령부

영어: Army Command (ACOM)

육군근무구성사령부

Army Service Component Command (ASCC)

직접보고부대

Direct Reporting Units (DRU)

Remove ads

지리별

대서양

  • 대서양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Atlantic)
  • 대서양 기지사령부(Atlantic Base Command)
  • 대서양 지역보건사령부(RHC-A)
    • 대서양 공중보건사령부(PHC-A)
    • 대서양 치의보건사령부(DHC-A)
  • 버뮤다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Bermuda)
  • 버뮤다 기지사령부(Bermuda Base Command); 1941년 4월 ~ 1948년, 해체
  • 그린란드 기지사령부(GBC); 1947년 9월 1일 ~ 1950년 10월 19일
  • 뉴펀들랜드 기지사령부(NBC); 1941년 1월 15일 ~ 1950년 10월 1일
  • 아이슬란드 기지사령부(IBC; 1941년 7월 ~ 1947년 3월
  • 트리니다드 기지사령부(TBC); 1941년

아시아-태평양

  • 괌 사령부(Guam Command); 1944년 ~ 1946년
  • 마리아나-보닌 사령부(MARBO); 1946년 ~ 1956년
  • 중앙태평양 기지사령부(CPBC)
  • 서태평양 기지사령부(WPBC)
  • 남태평양 기지사령부(SPBC)
  • 알류샨 열도군; 1943년, 알류샨 열도 전역
  • 극동수송터미널사령부(TTC-FE)
  • 태평양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Pacific)
  • 태평양 의무대응사령부(RHC-P)
    • 태평양 공중보건사령부(PHC-P)
    • 태평양 치의보건사령부(DHC-P)
  • 태평양 통신사령부(STRATCOM-PAC)
  • 하와이 기지사령부(Hawaii Base Command)
  • 하와이 방어사령부(Hawaii Defense Command); 1947년 1월 1일 ~ 1957년 7월 1일[1]

대한민국

  • 군산 항만지역사령부(Kunsan Port Area Command)
  • 대구 군사사령부(Taegu Military Command Area) - 캠프 헨리
  • 대구-대전 지역사령부(Taegu-Taejoon Area Command)
  • 부산 기지사령부(Pusan Base Command); 1950년 7월 4일 ~ 14일
  • 부산 군수사령부(Pusan Logistics Command); 1950년 7월 14일 ~ 8월 11일
  • 부산 지구사령부(Pusan District Command)
  • 서울 지역사령부(Seoul Area Command) - 용산기지
  • 울산 항만사령부(Ulsan Port Command)
  • 육군지원사령부(ASCOM) - 캠프 마켓
  • 육군지역사령부(AACOM)
  • 주한 물자지원사령부(MSC-K); 1964년 9월 15일
  • 한국 기지사령부(Korea Base Command); 한국 군정기의 주한 미군(USFIK)
  • 한국 의무사령부(MEDCOM-K); 1977년 ~ 1984년[2]
  • 한국 지원사령부(KORSCOM); 1970년 3월 11일 ~ 1973년
  • 한국 지역사령부(Korean Area Command)
  • 제8006부대, KCOMZ; 1952년 7월 11일 ~ 1955년 7월
  • 제8007부대, 복구사령부(Recovery Command) - 대구시
  • 제8201부대
  • 제8203부대, 유엔 전쟁포로사령부

베트남

  • 주월 미국 육군
  • 주월 미국 육군 공병사령부[3]; 1966년 ~ 1972년
  • 주월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1970년 ~ 1973년
  • 기동타격대사령부(MSFC)
  • 수도군사원조사령부 CMAC)
  • 냐짱 지원사령부(Support Command, Nha Trang)
  • 다낭 지원사령부(Support Command, Đà Nẵng)
  • 붕따우 지원사령부(Support Command, VaTau)
  • 사이공 지원사령부(Support Command, Saigon) - 사이공; 1966년 4월 10일 ~ 1972년 6월 16일
  • 꾸이년 지원사령부(Support Command, Qui Nhơn)
  • 깜라인만 지원사령부(Support Command, Cam Ranh Bay); 1966년 5월 16일 ~ 1972년 6월 29일

일본

혼슈
  • 고베 기지사령부(Kobe Base Command) - 고베현
  • 요코하마 기지사령부(YBC) - 요코하마현
  • 일본 군수사령부(JLC)
  • 일본 병기사령부(Japan Ordnance Command)
  • 일본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Japan)
  • 일본 의무사령부(USAMCJ)
  • 일본 창사령부(Depot Command, Japan); 1966년 7월 1일 ~ 1969년 9월 1일, 폐지.
  • 일본 중앙사령부(Central Command)
  • 일본 서남사령부(Southwestern Command)
오키나와

중국-버마-인도

중국
  • 쿤밍 지역사령부; 1944년 11월 24일
  • 쿤밍 보충근무사령부
  • Yunnanyi 지역사령부
  • 잔이구 지역사령부
  • 구이양 지역사령부
  • 청두 지역사령부
  • 바오산 지역사령부
  • 북부전투지역사령부(NCAC); 1942년 ~ 1945년 1월 10일
  • 전투훈련사령부(CTC) 1943년 1월 21일 ~ 1945년 1월 3일, 분열
    • 중국 전투사령부(임시); 1945년 1월 3일 ~ 끝까지
    • 중국 훈련사령부(임시); 1945년 1월 3일 ~ 끝까지
인도
  • 미국 델리 군사지역사령부(ADMAC); 1944년 6월 15일, 설립
  • 뉴델리 지역사령부; 1944년 6월 15일, 설립 ~ (불명)

필리핀

  • 필리핀-류큐사령부(PHIRYCOM); 1946년 12월 1일 ~ 1948년 8월 1일, 분리됨.
  • 필리핀 사령부(PHILCOM); 1948년 8월 1일 ~ (불명)

아메리카

  • 동부방위사령부 - 포트 제이
  • 서부방위사령부 - 프레지디오 오브 샌프란시스코
  • 남부방위사령부 - 포트 샘 휴스턴
  • 중부방위사령부 - 멤피스
  • 중부 지역보건사령부(RHC-C)
    • 중부 공중보건사령부(PHC-C)
    • 중부 치의보건사령부(DHC-C)
  • 안틸레스 사령부(Antilles Command) - 푸에르토리코 포트 부차난; 1966년 12월 31일, 해산.
  • 카리브 방위사령부 - 쿼리 헤이츠
  • 반도기지사령부(Peninsula Base Command) - 플로리다주 오파로카
  • 육군지역지원사령부(AASCOM) - 시카고

알래스카

  • 알래스카 방위사령부(Alaska Defense Command); 1941년 2월 4일 ~ 1943년 10월 31일, 알래스카 지부로 재편성.
  • 유콘 사령부(Yukon Command) - 라드 육군 비행장
  • 미국 알래스카 육군 (USARAL) 지원사령부; 1965년 7월 1일, 설립
  • 알래스카 지원사령부(Alaskan Support Command)
  • 극지지원사령부(Arctic Support Command)
  • 극지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Arctic)

유럽

  • 본부지역사령부(HQACOM)
  • 서부지역사령부(WACOM)
  • 남부지역사령부(SACOM)
  • 동남부지역사령부(SEACOM)
  • 북부지역사령부(NACOM)
  • 육군지역사령부(AACOM)
  • 유럽 사령부(European Command); 1948년 ~ 1952년
  • 아소르스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Azores) - 포르투갈령 아소르스 제도
  • 카사블랑카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Casablanca) - 북아프리카 모로코
  • 그리스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Greece)
  • 스페인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Spain)
  • 터키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Turkey)
  • 트리폴리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Tripoli) - 리비아

독일

영국

  • 런던 기지사령부(London Base Command); 1942년 ~ 1945년
  • 북아일랜드 기지사령부(NIBC); 1942년 6월 1일 ~ 1945년
  • 영국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United Kingdom); 1961년 12월 31일, 설립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영역사령부(Zone Command, Asutria)
  • 빈 사령부(Vienne Command) - 빈

프랑스

  • 제7964부대, 지역사령부(7964th Army Unit, Area Command) - 라로쉐
  • 제7965부대, 지역사령부(7965th Army Unit, Area Command) - 베르됭
  • 로슈포르 지역사령부(Rochefort Area Command) - 로슈포르
  • 센 지역사령부(Seine Area Command) - 센
  • 오를레앙 지역사령부(Orleans Area Command) - 오를레앙
  • 항구지역사령부(Port Area Command) - 프랑스 샤랑트마리팀주 크화샤뽀

중동

  • 페르시아만 근무사령부; 1944년 ~ 1945년
Remove ads

기능별

  • 공수사령부; 1942년 ~ 1946년
  • 전투개발사령부(Combat Developments Command) - 캔자스주 포트 리븐워스; 1962년 ~ 1974년
  • 전투지원사령부Combat Support Command - 포트 블리스
    • 제49전투지원사령부
    • 제574전투지원사령부[5]
  • 전투감시표적획득사령부(Combat Surveillance and Target Acquisition Command) - 포트 후아추카
  • USAG 블리스 본부사령부(Headquarters Command) - 포트 블리스
    • 사격장사령부(Range Command)
  • 육군예비군사령부(USARC) - 포트 리버티
  • 육군우주사령부(ARSPACE); 1988년
  • 육군전력전략사령부(ARSTRAT); 2002년
  • 공병수륙양용사령부(Engineer Amphibian Command)
  • 모집사령부 - 포트 녹스
  • 안보전력원조사령부(SFAC) - 포트 리버티; 2018년 11월
  • 연료배급사령부(PDC)
  • 육군가입사령부(U.S. Army Accessions Command); 2002년 ~ 2011년 1월 18일

군수

  • 제1군수사령부; 1950년 8월 24일 ~ 1970년 12월 6일[6]
  • 제2군수사령부; 1950년 7월 4일 ~ 1952년 11월 1일; 1957년 5월 15일 ~ 1972년 5월 15일
  • 제3군수사령부; 1950년 9월 19일 ~ 1953년 3월 20일; 1958년 11월 5일 ~ 1974년 9월 22일
  • 제4군수사령부; 1952년 1월 16일 ~ 1954년 1월 20일; 1958년 6월 15일 ~ 1967년 6월 23일
  • 제6군수사령부
  • 제5군수사령부; 1958년 6월 15일 ~ 1960년 3월 1일
  • 제7군수사령부 - 대한민국 대구시; 1957년 7월 1일 ~ 1964년 8월 1일
  • 제8군수사령부(SETAF 지원) - 이탈리아 레그혼
  • 제9군수사령부 - 오키나와, 태국; 1960년 10월 24일 ~ 1970년 6월 12일
  • 제201군수사령부
  • 제300군수사령부; 1954년 5월 28일 ~ 1960년 12월 5일
  • 제301군수사령부
  • 제302군수사령부
  • 제303군수사령부
  • 제304군수사령부
  • 제305군수사령부
  • 제306군수사령부
  • 제307군수사령부
  • 제308군수사령부
  • 제309군수사령부
  • 제310군수사령부[7]
  • 제311군수사령부
  • 제312군수사령부
  • 제313군수사령부
  • 제314군수사령부
  • 제315군수사령부
  • 제316군수사령부[8]
  • 제317군수사령부
  • 제318군수사령부
  • 제319군수사령부
  • 제320군수사령부
  • 제321군수사령부
  • 제322군수사령부 - 포트 그레그-애덤스
  • 제323군수사령부
  • 제324군수사령부

지원

물자

  • 국제군수사령부(USAILCOM); 안보원조사령부로 개편.
  • 육군물자사령부(AMC) - 앨라바마주 레드스톤 조병창
  • 실험실사령부(LABCOM); 1985년 10월 1일
  • 장병화생물학사령부(SBCCOM) - 애버딘 시험장; 1993년 ~ 2003년 10월 9일, 연구개발기술사령부에 병합됨.
  • 연구개발기술사령부(RDECOM)
  • 시설관리사령부(IMCOM) -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
  • 안보원조사령부(SAC) -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
  • 육군계약사령부(ACC) - 일리노이주 록아일랜드 조병창; 2008년 10월 1일
  • 임무시설계약사령부(MICC)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합동기지
  • 육군지원사령부(ASC); 2006년 9월 22일
  • 육군의무군수사령부(AMLC) - 매릴랜드주 포트 데트릭
  • 재무관리사령부(FMCOM) -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 전차-자동차무장사령부(TACOM) - 미시간주 워렌 디트로이트 조병창
  • 지상전개배급사령부(SDDC)
  • 통신전자사령부(CECOM) - 메릴랜드주 애버딘 시험장
  • 합동탄약사령부(JMC) - 일리노이주 록아일랜드 조병창
  • 항공미사일사령부(AMCOM) -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

방공

병기

탄약

  • 병기탄약사령부(OAC) - 일리노이주 졸리엣; 1950년, 야전탄약공장국을 개편; 1959년
  • 병기무기사령부(OWC) - 일리노이주 록아일랜드 조병창; 1954년, 설립; 1959년, WECOM으로 개명.
  • 병기특수무기탄약사령부(OSWAC) - 뉴저지주 도버; 1959년, OAC와 OWC를 병합.
  • 탄약사령부(MUCOM); 1962년, OSWAC에서 개명.; 1973년 WECOM과 병합됨.
  • 무기사령부(WECOM); 1962년, OWC를 개명함.; 1973년, MUCOM과 병합됨.
  • 무장사령부(ARMCOM) - 록아일랜드 조병창; 1973년 MUCOM과 WECOM을 병합함. ~ 1977년, ARRADCOM와 ARRCOM 분리됨.
  • 육군무장연구개발사령부(ARRADCOM); 1977년, 설립; 1983년, ARRCOM과 병합됨.
  • 육군무장물자즉각대응사령부(ARRCOM); 1977년, 설립. ~ 1983년, ARRADCOM과 병합됨.
  • 무장탄약화학사령부(AMCCOM) - 록아일랜드 조병창; 1983년, ARRCOM와 ARRADCOM를 병합함. ~ 1994년 해체.
  • 창체계사령부(DESCOM) - 펜실베니아주 챔버스버그; 1976년 9월, 설립 ~ 1995년
  • 산업운영사령부(IOC); 1995년, AMCCOM과 DESCOM을 병합함. ~ 2000년, OSC로 개편됨.
  • 운영지원사령부(OSC); 2000년, IOC를 개편함. ~ 2003년, JMC로 개편됨.
  • 합동탄약사령부(JMC); 2003년, OSC를 개편함.
  • 합동탄약살상생명주기관리사령부(JM&L LCMC); 2006년, 설립

항공

  • 지원정비사령부(SMC) - 오리건주 우마틸라 육군창
  • 수송지원정비사령부(TSMC) - 세인트루이스; 1955년 3월
  • 수송물자사령부(TMC) - 펜실베이니아주 마리에타; 1955년 3월; 1959년 10월 1일
  • 항공지상물자사령부(AVSCOM); 1962년 11월 1일
  • 항공물자사령부(AVCOM); 1964년 2월 28일
  • 항공체계사령부(AVSCOM); 1968년 9월 23일 ~ 1977년 7월 1일; 1984년 3월 1일 ~ 1992년 10월 1일
  • 병력지원사령부(TROSCOM); ~ 1977년 7월 1일
  • 병력지원항공물자신속대응사령부(TSARCOM); 1977년 7월 1일 ~ 1984년 3월 1일
  • 항공연구개발사령부(AVRADCOM); 1977년 7월 1일, ~ 1984년 3월 1일

미사일

  • 육군병기미사일사령부(AOMC); 1958년 3월 31일 ~ 1962년 5월 23일, MICOM으로 개편.[9]
    • 육군탄도미사일국 (ABMA); 1956년 2월 1일 ~ 1961년, AOMC에 병합.
    • 육군로켓미사일국 (ARGMA); 1958년 3월 31일 ~ 1961년, AOMC에 병합.
    • 병기미사일지원국 (AOMSA); 1961년 ~ 1962년 5월 23일, AMSC로 개편.
  • 미사일사령부(MICOM); 1962년, AOMC를 개편. ~ 1977년 1월 31일, 폐지; 1979년 7월, 재설립
    • 미사일지원사령부(AMSC); 1962년 5월 23일, AOMSA를 개편
  • 미사일연구개발사령부(MIRADCOM); 1977년 1월 31일, MICOM을 분리; 1979년 7월, MICOM으로 재합병됨.
  • 미사일연구개발사령부(MIRADCOM); 1977년 1월 31일, MICOM을 분리; 1979년 7월, MICOM으로 재합병됨.

항공 및 미사일

  • 항공병력사령부(ATCOM; 1992년 10월 1일 ~ 1995년 9월 8일
  • 항공미사일사령부(AMCOM); 1997년 7월 17일

수송

  • 제7278부대, NEAC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NEAC)
  • 걸프 수송터미널사령부(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Gulf)
  • 제2수송터미널사령부(2nd Transportation Terminal Command); 1954년 3월 ~ 1978년 2월 1일
  • 제3수송사령부; 1954년 3월 27일 ~ 1971년 11월 1일
  • 제4수송사령부; 1954년 6월 11일 ~ 1975년 4월 1일; 1981년 2월 16일 ~ 1989년 12월 13일
  • 제5수송터미널사령부
  • 제7수송사령부; 1954년 3월 27일 ~ 1970년 11월 22일
  • 제11수송터미널사령부 - 프랑스
  • 제37수송사령부 - 독일
  • 제124수송터미널사령부
  • 제143수송사령부
  • 제184수송사령부
  • 제373수송항만사령부(373rd Transportation Port Command)

의무

통신

  •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NETCOM); 2002년 10월 1일
    전략교신사령부(STRATCOM) - 매릴랜드주 수트랜드; 1964년 3월 1일
    육군교신사령부(ACC); 1973년 10월 1일
    육군통신사령부(ASC); 1996년 9월 1일
  • 제1통신사령부; 1967년 4월 25일 ~ 1969년 3월
  • 제5통신사령부; 1958년 3월 20일 ~ 2017년 8월 4일
  • 제6통신사령부; 1974년 7월 1일 ~ 1977년 11월 30일; 1990년 12월 4일 ~ 1992년 6월 1일
  • 제7통신사령부 - 미국 본토, 조지아주, 포트 고든
  • 제9통신사령부 - 미국 본토, 애리조나주 포트 후아추카
  • 제311통신사령부 -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
  • 제335통신사령부 - 조지아 주, 이스트포인트

정보체계

  • 정보체계사령부(ISC); 1984년 10월 1일, 설립
  • 정보체계기술사령부(ISEC)
  • 컴퓨터체계사령부(CSC); ISSC로 개편.
  • 정보체계소프트웨어사령부(ISSC); 1996년 10월, 소프트웨어기술원에 병합됨.

전자-교신

  • 전자사령부(ECOM) - 포트 몬머스; 1962년 설립됨.
  • 교신전자물자신속대응사령부(CERCOM); 1978년 1월, 설립됨; 1981년 5월 1일,CECOM으로 병합됨.
  • 교신연구개발사령부(CORADCOM); 1978년 1월, 설립됨; 1981년 5월 1일,CECOM으로 병합됨.
  • 전자연구개발사령부(ERADCOM); 1978년 1월, 설립됨; 1981년 5월 1일,CECOM으로 병합됨.
  • 통신전자사령부(CECOM); 1981년 5월 1일, 설립됨.
  • 자동데이터필드체계사령부(ADFSC)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시뮬레이션운영사령부(STRICOM)

포병

  • 제56포병사령부; 1970년 ~ 1991년
  • 미사일사령부
    • 제1미사일사령부 - 이탈리아, 비첸차; 1957년 ~ 1965년
    • 제2미사일사령부 - 포트 카슨; 1957년 3월 1일 ~ 1961년
    • 제3미사일사령부 - 포트 리버티; 1957년 ~ 1963년
    • 제4미사일사령부 - 캠프 페이지; 1958년 1월 30일 ~ 1978년 6월 1일

항공

화학

  • 화학연구기술사령부(CRECOM); 1951년 10월 16일 ~ 1956년, 육군화학원에 병합됨.
  • 화학물자사령부(U.S. Army Chemical Corps Materiel Command); 1951년 10월 16일 ~ 1956년, 육군화학원에 병합됨.
  • 화학연구개발사령부(CRDEC) - 에지우드 조병창
  • 육군화생물학방어사령부(CBDCOM); CRDEC를 개편함.; 1998년, 장병화생물학사령부로 병합됨.[10]

훈련

  • 전투훈련사령부(Combat Training Command) - 포트 무어
  • 병기훈련사령부(Ordnance Training Command); 1956년 11월 7일 ~ 1968년 1월 31일, "병기센터와 학교"로 재편성.
  • 통신훈련사령부(Signal Training Command); 1960년 10월 24일 ~ 1962년 10월 23일, "통신센터와 학교"로 재편성.
  • 수송항만훈련사령부(Transportation Port Training Command)
  • 항공부대훈련사령부(AAUTC); 1955년 8월 1일 ~ 1957년 11월 23일, 육군항공학교로 재편성.
  • 화학대 훈련사령부(Chemical Corps Training Command) - 포트 매클렐런; 1951년 10월 ~ 1957년 10월 16일, 화학대학교로 재편성.
  • 사관후보생사령부
  • 제병연합지원사령부(CASCOM) - 포트 그레그-애덤스; 1990년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