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 풀이
믹스마스터 우주는 위상 공간으로서
이다. 여기서 3차원 초구
는 공간 방향이며,
는 시간 방향이다.
위에 표준적인 구면 좌표계
를 주자.
초구
위의 세 1차 미분 형식



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는

를 만족시킨다.
이제,
위의 다음과 같은 (부호수 −+++의) 리만 계량 가설 풀이를 생각하자.

이 가설 풀이는 비안키 분류 Ⅸ형의 일반형이며,
의
대칭 가운데 하나의
만을 보존한다. 이 가설 풀이는 세 개의 미지의 함수
를 갖는다. 이들은 편의상 우주의 팽창을 나타내는 함수 (
의 자연 로그의 산술 평균 × −1)

와 우주의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두 함수


로 다시 쓸 수 있다.
는 대략 우주의 너비의 로그 ×−1에 해당하며,
가 더 클 수록 우주의 부피가 더 작다 (즉, 빅뱅은
극한이다). 마찬가지로,
가 (양 또는 음으로) 0에서 더 멀 수록 우주는 더 일그러진 모양을 한다. 만약
인 경우 (등방적 우주) 이는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계량이 된다.
동역학
이제,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와
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사실, 일단
(우주의 모양)을
(우주의 크기)의 함수로 우선 풀 수 있다. 편의상 에너지-운동량 텐서와 우주 상수가 0이라고 가정하자 (즉, 리치 곡률이 0이라고 하자).
이제,
극한(빅뱅 근처)에서, 아인슈타인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두 방정식이 된다.[1]:1072, (5), (6)


(첫째 식에 의하여
를 정의할 수 있다.) 둘째 식에 의하여,
는
일 때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를 일종의 "시간"으로 간주하고,
를 일종의 "위치"로 간주한다면, 이는 시간 의존 라그랑지언[1]:1072, (7)

에 의하여 묘사된다. (이 라그랑지언에서
는 오직
만의 함수로 간주한다.)
여기서 퍼텐셜
는 다음과 같다.[1]:1072, (8)

이 퍼텐셜의 벽은 매우 가파르게 증가한다. 시간 의존 "질량"에 해당하는
가 우주 초기(
)에는 매우 천천히 변한다. 따라서, 믹스마스터 우주의 빅뱅 근처에서의 시간 변화는 대략 일종의 "당구대" 위의 "당구공"의 운동으로 근사되는데, 이러한 동역학계는 혼돈적 현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