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타바트 마테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타바트 마테르(Stabat Mater)는 13세기 기독교 성모 찬가로,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어머니로서 겪는 고통을 묘사한다. 저자는 프란치스코회 탁발수도사 야코포네 다 토디 또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 추정된다.[1][2][3] 제목은 "슬픔에 잠긴 어머니가 서 있었다"는 뜻의 첫 줄 "Stabat Mater dolorosa"에서 유래한다.[4]

이 찬가는 고통의 성모 기념일 전례에서 불린다. 스타바트 마테르는 많은 서양 작곡가들에 의해 음악으로 작곡되었다.
미술에서의 스타바트 마테르는 예수의 십자가형을 표현한 미술중에서 십자가 아래에 사도 요한과 성모 마리아가 함께 서 있는 모습 묘사하는 구성 형식이다.
Remove ads
제작 연도
스타바트 마테르는 종종 야코포네 다 토디 (약 1230–1306)에게 귀속되었으나, 13세기 도미니코회 수녀들이 소유한 볼로냐의 화답송 (Museo Civico Medievale MS 518, fo. 200v-04r)에서 가장 오래된 악보가 발견되면서 이 주장은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받았다.[5]
스타바트 마테르는 14세기 말에 잘 알려져 있었고, 게오르기우스 스텔라는 1388년에 사용되었다고 기록했으며, 다른 역사가들도 14세기 후반에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 프로방스에서는 1399년경 9일간의 행렬에서 사용되었다.[6]
전례 부속가로서 스타바트 마테르는 트리엔트 공의회에 의해 수백 개의 다른 부속가와 함께 폐지되었으나, 1727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칠고 축일을 위해 미사경본에 복원되었다.[7]
Remove ads
가사와 번역
요약
관점
아래의 라틴어 텍스트는 1853년 로마 브레비아리에서 가져온 것으로, 현존하는 여러 시 버전 중 하나이다.[8] 에드워드 캐스월의 첫 영어 번역은 직역은 아니지만 원문의 운율과 의미를 보존한다. 마지막은 동적 형식적 등가 번역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
1. Stabat mater dolorósa |
At the Cross her station keeping, – 에드워드 캐스월 번역[10] |
슬픔에 잠긴 어머니가 서 있었다. |
Remove ads
음악 작품
요약
관점
스타바트 마테르를 작곡한 작곡가들:
- 조스캥 데프레[11]
- 존 브라운 (작곡가)
- 리처드 데이비
- 윌리엄 코니시
- 오를랑드 드 라수스 (1585)
-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스타바트 마테르 (c.1590)[11]
- 조반니 펠리체 산체스 (1643)
-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 H.15 & H.387 (1685–90)
- 루이-니콜라 클레랑보 C. 70 (17..)
- 세바스티앵 드 브로사르 SdB.8 (1702)
- 에마누엘레 다스토르가 (1707)
- 안토니오 비발디: 스타바트 마테르 (1712)
-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1715)
- 니콜라 파고 (1719)
-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스타바트 마테르 (1723)[11]
- 안토니오 칼다라 (c.1725)
- 아고스티노 스테파니 (1727)
- 프란티셰크 투마 (1704-1774) (5가지 다른 작품)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스타바트 마테르 (1736)[11]
- 니콜라 로그로시노 (1760)
- 플로리안 레오폴트 가스만 (c.1765)
- 요제프 하이든: 스타바트 마테르 (1767)[11]
- 주세페 타르티니 (1769)[11]
- 토마소 트라에타 (1770)
- 안토니오 솔레르: (1775)[12]
- 루이지 보케리니: 스타바트 마테르 (1781, 1801)
- 프란츠 이그나츠 베크 (1782)
- 파스콸레 카파로 (1784)
- 프란츠 슈베르트: 스타바트 마테르 사단조 (1815) 및 스타바트 마테르 바단조 (1816)
- 후안 크리소소토모 아리아가 (1821?)
- 조아키노 로시니: 스타바트 마테르 (1831–1841)[11]
- 페터 코르넬리우스 (1849)
- 프란츠 리스트: 오라토리오 크리스투스의 일부 (1862–1866)
- 안토닌 드보르자크: 스타바트 마테르 (1876–1877)[11]
- 라우라 네첼 (1890)
- 요제프 보후슬라프 푀르스터: Op. 56 (1891–1892)[11]
- František Musil (composer): Op. 50 (1893)[11]
- 주세페 베르디 (1897)
-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 (1906)
- 토이보 쿠울라 (1919)[13]
- 조지 올드로이드 (1922)
- 카롤 시마노프스키: 스타바트 마테르 (1925–1926)[11]
- 요한 네포무크 다비드 (1927)
- 레녹스 버클리 (1947)
- 줄리아 페리 (1947)
- 프랑시스 풀랑크: 스타바트 마테르 (1950)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루가 수난곡에 포함 (1963–1966)[11]
- 아르보 패르트: 스타바트 마테르 (1985)
- 크누트 뉘스테트 (1986)
- 아마랄 비에이라 (1988)
- 트론드 크베르노 (1991)
- 파벨 루카셰프스키 (1994)
- 블라디미르 마르티노프 (1994)
- 살바도르 브로톤스 (1997)
- 프랭크 페르코 (1999)
- 블라디미르 고다르 (2001)
- 브뤼노 쿨레 (2005)
- 칼 젱킨스: 스타바트 마테르 (2008)
- 폴 밀러 (2009, 2010년 개정)
- 일라리온 주교 (2011)
- 프랑코 시몬 (2014)
- 제임스 맥밀런 (2015)[14]
- 바셰 샤라피얀[15]
대부분의 작품은 라틴어로 되어 있다.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작품은 폴란드어로 되어 있지만 라틴어로도 부를 수 있다. 조지 올드로이드의 작품은 성공회와 감독교회에서 사용하기 위해 영어 번역과 함께 라틴어로 되어 있다.
같이 보기
- 가톨릭 마리아론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