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타바트 마테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스타바트 마테르
Remove ads

스타바트 마테르(Stabat Mater)는 13세기 기독교 성모 찬가로,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어머니로서 겪는 고통을 묘사한다. 저자는 프란치스코회 탁발수도사 야코포네 다 토디 또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 추정된다.[1][2][3] 제목은 "슬픔에 잠긴 어머니가 서 있었다"는 뜻의 첫 줄 "Stabat Mater dolorosa"에서 유래한다.[4]

Thumb
1482년 피에트로 페루지노가 그린 십자가 아래의 마리아.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이 찬가는 고통의 성모 기념일 전례에서 불린다. 스타바트 마테르는 많은 서양 작곡가들에 의해 음악으로 작곡되었다.

미술에서의 스타바트 마테르는 예수의 십자가형을 표현한 미술중에서 십자가 아래에 사도 요한성모 마리아가 함께 서 있는 모습 묘사하는 구성 형식이다.

Remove ads

제작 연도

스타바트 마테르는 종종 야코포네 다 토디 (약 1230–1306)에게 귀속되었으나, 13세기 도미니코회 수녀들이 소유한 볼로냐화답송 (Museo Civico Medievale MS 518, fo. 200v-04r)에서 가장 오래된 악보가 발견되면서 이 주장은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받았다.[5]

스타바트 마테르는 14세기 말에 잘 알려져 있었고, 게오르기우스 스텔라는 1388년에 사용되었다고 기록했으며, 다른 역사가들도 14세기 후반에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 프로방스에서는 1399년경 9일간의 행렬에서 사용되었다.[6]

전례 부속가로서 스타바트 마테르는 트리엔트 공의회에 의해 수백 개의 다른 부속가와 함께 폐지되었으나, 1727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칠고 축일을 위해 미사경본에 복원되었다.[7]

Remove ads

가사와 번역

요약
관점

아래의 라틴어 텍스트는 1853년 로마 브레비아리(영어판)에서 가져온 것으로, 현존하는 여러 시 버전 중 하나이다.[8] 에드워드 캐스월의 첫 영어 번역은 직역은 아니지만 원문의 운율과 의미를 보존한다. 마지막은 동적 형식적 등가(영어판) 번역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1. Stabat mater dolorósa
juxta Crucem lacrimósa,
dum pendébat Fílius.

2. Cuius ánimam geméntem,
contristántem et doléntem
pertransívit gládius.

3. O quam tristis et afflícta
fuit illa benedícta,
mater Unigéniti!

4. Quae mœrébat et dolébat,
pia Mater, dum vidébat
nati pœnas ínclyti.

5. Quis est homo qui non fleret,
matrem Christi si vidéret
in tanto supplício?

6. Quis non posset contristári
Christi Matrem contemplári
doléntem cum Fílio?

7. Pro peccátis suæ gentis
vidit Jésum in torméntis,
et flagéllis súbditum.

8. Vidit suum dulcem Natum
moriéndo desolátum,
dum emísit spíritum.

9. Eja, Mater, fons amóris
me sentíre vim dolóris
fac, ut tecum lúgeam.

10. Fac, ut árdeat cor meum
in amándo Christum Deum
ut sibi compláceam.

11. Sancta Mater, istud agas,
crucifíxi fige plagas
cordi meo válide.

12. Tui Nati vulneráti,
tam dignáti pro me pati,
pœnas mecum dívide.

13. Fac me tecum pie flere,
crucifíxo condolére,
donec ego víxero.

14. Juxta Crucem tecum stare,
et me tibi sociáre
in planctu desídero.

15. Virgo vírginum præclára,
mihi iam non sis amára,
fac me tecum plángere.

16. Fac ut portem Christi mortem,
passiónis fac consórtem,
et plagas recólere.

17. Fac me plagis vulnerári,
fac me Cruce inebriári,
et cruóre Fílii.

18. Flammis ne urar succénsus,
per te, Virgo, sim defénsus
in die iudícii.

19. Christe, cum sit hinc exire,
da per Matrem me veníre
ad palmam victóriæ.

20. Quando corpus moriétur,
fac, ut ánimæ donétur
paradísi glória.

Amen.[9]

At the Cross her station keeping,
Stood the mournful Mother weeping,
Close to Jesus to the last:

Through her heart, his sorrow sharing,
All his bitter anguish bearing,
now at length the sword has pass'd.

Oh, how sad and sore distress'd
Was that Mother highly blest
Of the sole-begotten One!

Christ above in torment hangs;
She beneath beholds the pangs
Of her dying glorious Son.

Is there one who would not weep,
Whelm'd in miseries so deep,
Christ's dear Mother to behold?

Can the human heart refrain
From partaking in her pain,
In that Mother's pain untold?

Bruis'd, derided, curs'd, defil'd,
She beheld her tender Child
All with bloody scourges rent;

For the sins of his own nation,
Saw Him hang in desolation,
Till His Spirit forth He sent.

O thou Mother! fount of love!
Touch my spirit from above,
Make my heart with thine accord:

Make me feel as thou hast felt;
Make my soul to glow and melt
With the love of Christ my Lord.

Holy Mother! pierce me through;
In my heart each wound renew
Of my Saviour crucified:

Let me share with thee His pain,
Who for all my sins was slain,
Who for me in torments died.

Let me mingle tears with thee,
Mourning Him who mourn'd for me,
All the days that I may live:

By the Cross with thee to stay;
There with thee to weep and pray;
Is all I ask of thee to give.

Virgin of all virgins blest!,
Listen to my fond request:
Let me share thy grief divine;

Let me, to my latest breath,
In my body bear the death
Of that dying Son of thine.

Wounded with his every wound,
Steep my soul till it hath swoon'd,
In His very blood away;

Be to me, O Virgin, nigh,
Lest in flames I burn and die,
In his awful Judgment day.

Christ, when Thou shalt call me hence,
Be Thy Mother my defence,
Be Thy Cross my victory;

While my body here decays,
May my soul thy goodness praise,
Safe in Paradise with Thee.

 에드워드 캐스월 번역[10]

슬픔에 잠긴 어머니가 서 있었다.
십자가 곁에서 울면서,
아들이 매달려 있는 동안.

신음하는 영혼,
우울하고 슬퍼하는,
칼이 꿰뚫었다.

오, 얼마나 슬프고 고통받았는가
그 복된 [여인],
독생자의 어머니!

슬퍼하고 고통받는,
경건한 어머니, 그녀가 지켜보고 있을 때
영광스러운 아들의 형벌을.

누가 울지 않으리오,
그리스도의 어머니를 보았다면
그토록 큰 고통 속에서?

누가 슬퍼하지 않을 수 있으리오
그리스도의 어머니를 바라보면서
그 아들과 함께 슬퍼하는 것을?

그의 민족의 죄를 위하여
그녀는 예수님이 고통받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채찍질당하는 것을.

그녀는 사랑하는 아들이
버려진 채 죽어가는 것을 보았다,
그가 영혼을 내어줄 때.

오, 어머니, 사랑의 샘이여
내게 슬픔의 힘을 느끼게 하소서
당신과 함께 슬퍼하도록.

내 마음이 불타오르게 하소서
하느님이신 그리스도를 사랑함에 있어서
내가 그를 기쁘게 할 수 있도록.

오, 성모님이여, 그 일을 행하소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의 상처를 박으소서
내 마음에 강력하게.

당신의 상처 입은 아들의,
나를 위해 고통받는 것을 기꺼이 감당하신 분의,
고통을 나와 나누소서.

나로 하여금 당신과 함께 경건하게 울게 하소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과 함께 고통받게 하소서,
내가 살아 있는 동안.

십자가 곁에 당신과 함께 서서,
나를 당신에게 연합시키는 것
울면서 [이것을] 나는 갈망한다.

오, 동정녀 중 고귀한 동정녀시여,
이제 나에게 쓰라리지 마소서,
나로 하여금 당신과 함께 슬퍼하게 하소서.

나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죽음을 지니게 하소서,
수난에 동참하게 하소서,
그리고 상처들을 묵상하게 하소서.

나로 하여금 상처들로 상처받게 하소서,
나로 하여금 십자가로 취하게 하소서,
그리고 아들의 피로.

내가 불꽃에 타서 소멸되지 않도록,
당신을 통해, 오 동정녀시여, 내가 보호받게 하소서
심판의 날에.

오 그리스도여, 내가 이곳을 떠날 때,
어머니를 통해 오게 하소서
승리의 종려나무에게.

몸이 썩어갈 때,
내 영혼에게 주어지게 하소서
낙원의 영광을.

아멘.

Remove ads

음악 작품

요약
관점

스타바트 마테르를 작곡한 작곡가들:

대부분의 작품은 라틴어로 되어 있다.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작품은 폴란드어로 되어 있지만 라틴어로도 부를 수 있다. 조지 올드로이드의 작품은 성공회와 감독교회에서 사용하기 위해 영어 번역과 함께 라틴어로 되어 있다.

같이 보기

  • 가톨릭 마리아론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