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속동료구조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속동료구조팀(영어: Rapid Intervention Team, 약자: RIT)은 소방 조직에서 화재·구조 현장에 투입된 소방대원 가운데 고립·매몰·실종 등 긴급 위험에 빠진 동료를 탐색–접촉–공기공급 안정화–안전 이송까지 전담하는 구조팀이다. 대한민국 행정규정은 이 팀을 관서장이 지정하는 구조팀으로 정의한다.[1] 운용·훈련의 국제적 참조 규범은 미국화재예방협회(NFPA)의 NFPA 1407: 신속개입대(RIC) 훈련 표준이며, RIC(Rapid Intervention Crew/Company) 명칭을 병용한다.[2]
Remove ads
개요

RIT은 일반 진압·구조대와 분리 대기하며, 현장에서 메이데이(Mayday) 선포, PASS 경보음, 무전 교신, 수관·탐색로프·열화상(TIC) 등 단서를 따라 신속히 접근한다. 접촉 후에는 보조 공기공급(UAC 등) 연결–상태안정–포장(Packaging)–이송의 순서로 동료를 안전 지대로 옮긴다.[2] 이러한 임무는 훈련된 전담 승무원과 사전 배치된 장비를 전제하며, 규범화된 평가 항목(진입–접촉–공기 안정화–이송의 경과시간, PAR 보고, 무전 규율 등)으로 점검된다.[3]
역사
- 미국 연방 규범의 정착(1998) — OSHA 호흡보호 표준 해석례가 “Two-in/Two-out” 원칙(실내 구조화재에 내부 2·외부 2 배치)을 명문화했다.[4][5]
- NFPA 표준의 성문화(2010→2020) — NFPA는 2010년에 NFPA 1407 초판을 제정했고, 2015·2020년 개정을 통해 훈련·평가 요구사항을 정비했다.[2] 2020년 판은 RIC을 “최소 지휘관 1+대원 3으로 구성되어 IDLH 외부에 대기하는 전담 승무원”으로 정식 정의했다.[6]
- 대한민국의 제도화(2023–) — 2023년 11월 대한민국 소방청이 RIT 전문 대응역량 강화를 발표했고,[7] 12월 행정규정 개정으로 편성·운영 근거가 명시되었다.[8] 2024~2025년에는 지역 소방학교·본부로 교육 확산과 합동훈련이 진행됐다.[9][10][11]
Remove ads
법적 근거와 정책
편성과 장비
운영 절차
- 1. 대기·모니터링 — 진입 전 RIT 스테이징, 진입·대피 경로 식별, PAR(인원파악) 주기 운영.[3]
- 2. 트리거 인지 — 메이데이 선포, PASS·무전·수관·로프·TIC 단서로 방향 결정, 지휘부는 전파·채널 관리 및 추가 자원 요청.[12]
- 3. 접근·접촉 — 탐색로프 앵커링, 도어·전원·가스 등 위험원 제어, 환기·연기 흐름 관리.[3]
- 4. 공기공급·안정화 — UAC/보조공기 연결, 의식·열·공기 잔량 평가, 상황·요청·제거계획 보고.[6]
- 5. 포장·이송 — 장애물 제거·개구 확대, 드래그/리프트·사다리·낙하 대응, 안전 지대로의 전환과 의료 인계.[3]
교육·훈련
대한민국은 2023년 이후 편성·운영 기준 정립과 함께 교관·전문화 과정을 확장하였다. 부산소방학교는 RIT 전문교수 양성 등 교육과정을 편성했고,[10] 해경 중앙해양특수구조단은 선박화재 환경을 반영한 RIT 특별교육을 실시했다.[11] 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2022년부터 전 소방서 대상 RIT 특별훈련을 시행하여 자력탈출·동료구출 드릴을 내재화했다.[13]
대한민국 내 확산 사례
국제 비교
용어는 RIT(팀)·RIC(승무원/회사)·FAST 등으로 다양하나, 철학은 동일하다. 즉 내부 2·외부 2의 상호 감시, 전담 대기의 즉응성, 표준화된 훈련·평가다.[4][2] 2020년 NFPA 1407 개정은 RIC 최소구성(1+3), 공기관리 훈련 요구, 보고 형식 등을 명료화했다.[6]
전술과 안전관리
Two-in/Two-out은 실내 구조화재의 최소 안전장치이며, 내부팀은 상호 시야/음성/전자 접촉을 유지하고 외부팀은 감독·구조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4][5] RIT 운용은 이 원칙 위에서 지휘통제(ICP), 무전 규율, 문 제어(door control)와 결합해 열·연기의 흐름을 통제하고 구조 경로의 안전성을 확보한다.[6]
같이 보기
관련 문헌
- 개빈 P. 혼; 리처드 M. 케슬러; 스티브 케버 등 (2018). 실내 주거화재 소방활동에서의 열반응: 업무 배치와 진압 전술의 영향(영문 원제: Thermal response to firefighting activities in residential structure fires: impact of job assignment and suppression tactic). Ergonomics 61(3): 404–419. doi:10.1080/00140139.2017.1355072.
- 제프리 L. 버지스; 크리스티아네 호페-존스; 스테퍼니 C. 그리핀 등 (2020). 소방관 노출 저감을 위한 개입 평가(영문 원제: Evaluation of Interventions to Reduce Firefighter Exposur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2(4): 279–288. doi:10.1097/JOM.0000000000001815.
- 스티븐 케버; 존 W. 리건; 개빈 P. 혼 등 (2019). 주거화재에서 소방전술이 거주자 생존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영문 원제: Effect of Firefighting Intervention on Occupant Tenability during a Residential Fire). Fire Technology 55(6): 2289–2316. doi:10.1007/s10694-019-00864-2.
- 네더, 조(2015). 소방 신속개입대: 원리와 실무(영문: Fire Service Rapid Intervention Crews: Principles and Practice). 벌링턴: 존스 & 바틀렛 러닝(Jones & Bartlett Learning), 1판.
- IFSTA(2019). 신속개입대 운영(영문: Rapid Intervention Teams, 2판). 스틸워터: International Fire Service Training Association.
- 파이어 디파트먼트 트레이닝 네트워크(FDTN)(2008). 소방관 구조 & 신속개입대 훈련 드릴(영문: Firefighter Rescue & Rapid Intervention Teams: Training Drills). 인디애나폴리스: FDTN.
-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HSA). 호흡보호 표준 29 CFR 1910.134(영문: Respiratory Protection Standard 29 CFR 1910.134). 워싱턴 D.C.: 미 노동부.
- 미국화재예방협회(NFPA). 경력 소방대의 조직·배치 표준 NFPA 1710(영문: NFPA 1710: Standard for the Organization and Deployment of Fire Suppression Operations...). 퀸시(매사추세츠): NFPA, 2019.
- 국제방화공학회(SFPE) 편. 퍼서·맥앨리스터(2016). 연기·독성가스·열에 의한 거주자 위험평가(영문: Assessment of Hazards to Occupants from Smoke, Toxic Gases and Heat), in: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5판. 스프링어.
- 국제표준화기구(ISO). ISO 13571: 화재 치명요소—비가용성(tenability) 평가 지침(영문: Life-threatening components of fire—Guidelines for the estimation of time to compromised tenability in fires). 제네바: ISO, 2012.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