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프가니스탄의 대외 관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프가니스탄의 대외 관계는 2021년 이후 과도기적 상태에 있다. 이는 탈레반카불 점령과 국제적으로 인정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붕괴 이후의 상황이다. 새로운 탈레반 지도 정부는 한 국가, 러시아에 의해 인정되었으며[1], 일부 국가들은 이슬람 토후국과 비공식 외교 접촉을 진행했으나, 공식적인 관계는 여전히 이슬람 공화국의 대표들과 제한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각국별 대외 관계

아시아

대한민국

양국은 1973년 12월 31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2]

우즈베키스탄

양국은 1992년 10월 13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3]

1991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 이후, 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에서 발생한 혼란은 안보 문제와 지역적 불안을 초래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은 오랫동안 이러한 정책을 유지하였으나, 2016년부터는 무역, 사회·문화, 교육 교류 측면에서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시작하였다.[4]

투르크메니스탄

양국은 1992년 2월 21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5]

아프가니스탄아시가바트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마리에 총영사관을 운영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카불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헤라트마자르이샤리프에 영사관을 운영하고 있다.

파키스탄

양국은 1948년 2월 29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6]

아프가니스탄은 1947년,파키스탄인도 분할 이후 독립국이 되면서 파키스탄과 외교 관계를 시작하였다.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연방 직할 부족 지역, 발로치스탄주는 오랫동안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간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이 지역들을 둘러싼 논쟁은 1893년 파슈툰인발루치인을 분할한 듀랜드 라인 경계 설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부분의 지도에서는 파키스탄의 서부 국제 국경으로 표시되지만, 아프가니스탄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7][8] 1961년 9월부터 1963년 6월까지, 파키스탄은 외교 관계, 무역, 통과 및 영사 서비스를 중단하였다.

아메리카

미국

양국은 1935년 5월 4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9]

아프가니스탄미국 간의 공식 외교 관계는 1920년대에 시작되었지만, 양국 간 접촉은 1830년대 후반 조시아 할런의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10] 테헤란에 거주하던 윌리엄 해리슨 호니브룩은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비상주 미국 특명전권대사로 재직하였다.[11]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