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양양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양양공 왕서(襄陽公 王恕,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다. 신종선정태후 김씨의 차남이다. 덕양후(德陽侯)라고도 한다.

간략 정보 양양공, 휘 ...

생애

가계

생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고려의 제20대 인 신종과 선정태후의 차남이다. 본관개성, 성은 (王), 이름은 서(恕)이며, 희종의 친동생이다.

왕자 시절

1200년(신종 3년) 음력 4월 18일 덕양후에 책봉되었고[1], 이후에 양양공(襄陽公)에 봉해졌다.[2]

1204년(신종 7년) 음력 1월 13일 신종이 덕양후의 자택으로 이어하였다가 그곳에서 사망하였다.[3] 이후 1211년(희종 7년) 음력 12월 최충헌이 희종을 폐위시키고 강화도로 옮겨갔을 때, 양양공 또한 교동현(지금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4])으로 옮겨졌다.[5]

사망과 후손

양양공의 생몰년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양양공은 아들이 넷 있었는데, 장남은 왕위, 차남은 왕병, 3남은 왕인, 4남은 왕희이다[2]. 장남 왕위는 수사공에 올랐으며, 1216년(고종 3년)에 죽었다[6]. 차남 왕병도 역시 수사공에 올랐고[7], 3남 왕인은 시안공에 봉해지고 1275년(충렬왕 원년)에 죽었다.[8] 4남 왕희는 영안공에 봉해졌으며, 1263년(원종 4년)에 죽었다.[9]. 딸도 있었는데, 딸은 김약선의 아들 문신 김미와 혼인하였다[10]

네 아들 중 3남 왕인의 딸이 충렬왕왕비로 들어가니, 그녀가 곧 정신부주이다.[11] 또 시안공의 아들인 서원후의 딸은 충선왕의 제4비 정비 왕씨이다[12]. 그리고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양양공의 6대손이다.[13]

Remove ads

가족 관계

  • 조부 : 제17대 인종(仁宗, 1109~1146, 재위:1122~1146)
  • 조모 : 공예왕후(恭睿王后, 1109~1183)
    • 백부 겸 이모부 : 제18대 의종(毅宗, 1127~1173, 재위:1146~1170)
    • 백부 겸 이모부 : 제19대 명종(明宗, 1131~1202, 재위:1170~1197)
    • 아버지 : 제20대 신종(神宗, 1144~1204, 재위:1197~1204)
  • 외조부 : 강릉공 온(江陵公 溫, 생몰년 미상)
  • 외조모 : 미상
    • 백모 겸 이모 : 의종 제1비 장경왕후(莊敬王后, 생몰년 미상)
    • 백모 겸 이모 : 명종 제1비 광정태후(光靖太后, 생몰년 미상)
      • 사촌 : 고려 제22대 강종(康宗, 1152~1213, 재위:1211~1213)
    • 어머니 : 선정태후(宣靖太后, ?~1222)
      •  : 제21대 희종(熙宗, 1181~1237, 재위:1204~1211)
      • 자매 : 효회공주(孝懷公主, 1183~1199[14])
      • 자매 : 경녕궁주(敬寧宮主, 생몰년 미상)
      • 부인 : 미상
        • 아들 : 수사공 위(守司空 瑋, ?~1216)
        • 아들 : 수사공 병(守司空 㻂, 생몰년 미상)
        • 아들 : 시안공 인(始安公 絪, ?~1291)
        • 아들 : 영안공 희(永安公 僖, ?~1263)
        •  : 김미(金敉, 생몰년 미상)[15]의 처
Remove ads

양양공이 등장한 작품

자손

요약
관점

왕위(王瑋)계

  • 1세손 : 수사공 왕위(守司空 王瑋, ? ~1216년)

왕병(王㻂)계

  • 1세손 : 수사공 왕병(守司空 王㻂, 생몰년 미상)
    • 2세손 : 수사도 왕후(守司徒 王詡)· 수사공 왕유(守司空 王裕)·수사공 왕희(守司空 王禧)

왕인(王絪)계

  • 1세손 : 수사공 추봉 시안공 왕인(守司空 追封始安公 王絪, ? ~1291년) - 정비 왕씨의 조부, 공양왕의 5대조
    • 2세손 : 수사공 왕정(守司空 王禎)
    • 2세손 : 변한국영헌공 서원후 왕영(卞韓國英憲公 西原侯 王瑛, ?~1291) / 부인 : 변한국순안비 황보씨(卞韓國順安妃 皇甫氏), 서원후는 생전 작위이고 영헌공이 추증 작위이다.
      • 3세손 : 진한국인숙공 익양후 왕분(辰韓國仁肅公 益陽侯 王玢) / 부인 : 진한국장경비 밀양 박씨(辰韓國莊敬妃 朴氏)
        • 4세손 : 마한국인혜공 순화후 왕유(馬韓國仁惠公 淳化侯 王瑈, ?~1360) / 부인 : 마한국명예비 이천 신씨(馬韓國明睿妃 申氏)
          • 5세손 : 삼한국인효대공 정원부원군 왕균(三韓國仁孝大公 定原府院君 王鈞)
          • 5세손 : 학성부원군 왕향(鶴城府院君 王珦)
            • 6세손 : 남평군 왕화(南平君 王和)·영평군 왕거(寧平君 王琚)
          • 5세손 : 익원부원군 왕소(益原府院君 王玿)
            • 6세손 : 영원군 왕진(永原君 王瑱)
              • 7세손 : 원윤 왕경(元尹 王瓊)·원윤 왕민(元尹 王玟)
          • 5세손 : 평안부원군 왕정(平安府院君 王鉦)
            • 6세손 : 경평군 왕종(慶平君 王琮)·보정군 왕회(保定君 王璯)·왕경(王璟)·왕구(王玽)
        • 4세손 : 보성군 왕희(寶城君 王熙)
          • 5세손 : 경창대군 왕유(慶昌大君 王瑜, ?~1369)
            • 6세손 : 순성군 왕정(順城君 王珽), 영안군(永安君), 정윤 왕박(正尹 王璞)
          • 5세손 : 영흥군 왕환(永興君 王環)
            • 6세손 : 순평군 왕산(順平君 王珊)·원윤 왕형(元尹 王珩)·정윤 왕근(正尹 王瑾)
        • 4세손 : 익흥군 왕연(益興君 王璉)
          • 5세손 : 복안군 왕신(福安君 王愼)
            • 6세손 : 정안군 왕시(定安君 王諟)
              • 7세손 : 복강군 왕선(福康君 王璇)·원윤 왕진(元尹 王珍)
            • 6세손 : 복창군 왕보(福昌君 王譜)
            • 6세손 : 복원군 왕자(福原君 王諮)
      • 3세손 : 서흥군 왕전(瑞興君 王琠)
    • 2세손 : 수사도 왕원(守司徒 王謜)

왕희(王僖) 계

  • 1세손 : 영안공 왕희(永安公 王僖, ? ~1263년)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