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인시대 (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무인시대》(武人時代)는 2003년 2월 8일부터 2004년 8월 15일까지 방송된 KBS 1TV 대하드라마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Remove ads

역사적 사실

고려는 조선과 다르게 외왕내제 체제로 운영되었다. 고려 초기에 태조 왕건은 통천관을 사용했는데, 통천관은 당시 중국 황제가 쓰던 황관이었다. 광종대부터 원종대까지 대외적으로 외왕내제 체제였다.

제작진

  • 연출: 신창석, 윤창범, 김성근
  • 극본: 유동윤
  • 해설: 권영운
  • 촬영감독: 우성주
  • 야외 조명감독: 이광호
  • 동시녹음: 옥승훈
  • 조연출: 김원석, 권계홍, 유현기

등장 인물

주요 인물

고려 황실

후궁과 기타 인물
환관
  • 유병준: 왕광취 역 - 의종의 환관, 무신정변때 죽는다.
  • 유병한: 한숙 역 - 의종의 환관
  • 이춘식: 최전첨 역 - 명종의 집사이자 환관
  • 이경영: 조환관 역 - 명종의 환관
  • 이건: 정환관 역 - 신종, 강종, 고종의 환관
궁녀

문신들

이의방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정중부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경대승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이의민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최충헌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기타 무신들

기타 인물들

승려

반란군 세력들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망이 망소이의 난, 손청의 난

만적의 난

김사미 효심의 난

이비,패좌의 난

금나라 인물

거란 인물

몽고 인물

동진 인물

Remove ads

기타

  • 1999년 KBS에서 후삼국 시대부터 공민왕 시대까지 다루는 고려사 10년 시리즈로 기획된 작품 중 하나였으나,[3] 전작인 제국의 아침의 흥행이 부진하자 여요전쟁 이후 고려 전성기 시절을 건너뛰고 바로 무인시대가 제작되었다.
  • 원래는 고려 무신 집권 중 최씨 정권 최의의 집권과 무신정권이 몰락하는 1270년까지를 150회로 구성해 다룰 예정이었지만[4][5] 후반부 흥행 부진과 작가 교체 논란 등으로 최충헌의 죽음까지만 다루었다. 작가 유동윤씨는 무인시대 이후 SBS 왕의 여자 집필 제의를 받았으나 겹치기 집필 문제 등으로 논란이 일자 결국 왕의 여자는 포기했고 이 작품은 윤정건 작가가 대타로 들어간다.[6] 참고로 이 무신정권의 후반기 내용은 이후 MBC 드라마 무신에서 다룬다.
  • 첫 회 방영 당시만 해도 서인석, 김흥기, 이덕화 등 중견 연기자들의 열연과 횡계지역의 폭설을 배경으로 찍은 사실적 화면, 무인혁명의 당위성 등을 호방하게 그리면서 한때 시청률 20%대를 유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3년 6월 28일부터 방송 시간대가 주말 오후 9시 45분에서 10시 10분으로 옮겨지고, 후반부 주요 배역 퇴장으로 인한 긴장감 약화와 더불어 동일 시간대 SBS 경쟁작 파리의 연인의 큰 흥행 등으로 인해 최종회 시청률은 13.6%에 그친다.[7]
  • 후속작으로 내정된 불멸의 이순신의 주인공 김명민의 촬영 일정이 한참 지연되어 캐스팅 문제가 일어나자 기존 150회에서 8회를 늘려 158회로 막을 내렸다.[8]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