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인시대 (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무인시대》(武人時代)는 2003년 2월 8일부터 2004년 8월 15일까지 방송된 KBS 1TV 대하드라마다.
Remove ads
역사적 사실
고려는 조선과 다르게 외왕내제 체제로 운영되었다. 고려 초기에 태조 왕건은 통천관을 사용했는데, 통천관은 당시 중국 황제가 쓰던 황관이었다. 광종대부터 원종대까지 대외적으로 외왕내제 체제였다.
제작진
등장 인물
주요 인물
고려 황실
- 이성호: 인종 역 - 고려 17대 황제
- 김윤경: 공예태후 임씨 역
- 김보미: 선평왕후 김씨 역
- 이화진: 왕각관 역 - 예종의 셋째아들이자 인종의 동생, 의종의 숙부
- 김규철: 의종 역 - 고려 18대 황제
- 하성광: 효령태자 역 - 의종의 아들
- 김경응: 대령후 역 - 인종의 둘째아들
- 김병세: 익양후 → 명종 역 (134회 하차) - 고려 19대 황제
- 미상: 왕진 역 - 명종의 둘째아들
- 양현태: 왕우 역 - 명종의 셋째아들
- 미상: 왕충희 역 - 인종의 넷째아들이자 의종과 명종의 동생, 신종의 형, 희종의 백부
- 이우석: 신종 역 - 고려 20대 황제
- 김진경 선정왕후 역
- 정태우: 희종 역 - 고려 21대 황제
- 나경민: 덕양후 역 - 고려 황족
- 손인우: 창원후(왕지) 역 - 고려 황족
- 박병선: 강종 역 - 고려 22대 황제
- 오현철: 고종 역 - 고려 23대 황제
- 정윤석: 원종 역 - 고려 24대 왕
- 박은빈: 사평왕후 이씨(이의방의 딸 달래) 역
- 채민서: 성평왕후 임씨 역
- 윤지유: 안혜왕후 유씨 역
- 최하나: 수안궁주 역
- 오수민: 연희궁주 역
- 후궁과 기타 인물
- 환관
- 유병준: 왕광취 역 - 의종의 환관, 무신정변때 죽는다.
- 유병한: 한숙 역 - 의종의 환관
- 이춘식: 최전첨 역 - 명종의 집사이자 환관
- 이경영: 조환관 역 - 명종의 환관
- 이건: 정환관 역 - 신종, 강종, 고종의 환관
- 궁녀
문신들
이의방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정중부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경대승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이의민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 임혁: 두경승 역
- 박철호: 박존위 역
- 민 욱: 최세보 역
- 김 규: 정세유 역
- 유종근: 이영진 역
- 임병기: 전존걸 역
- 정선경: 이의민의 처 최씨 역
- 김학준 -> 김홍표: 이지순(이의민의 장남) 역
- 정의갑: 이지영(이의민의 차남) 역
- 하정우: 이지광(이의민의 삼남) 역
- 전무송: 두두을(이의민의 책사) 역
- 정흥채: 부루 역
- 김영기: 자선스님 역
- 장동직: 최부 역
- 임경옥: 부용(이의민의 두 번째 부인) 역
- 함소원: 아란(이의민의 세 번째 부인) 역
- 문회원: 김자양 역
- 김주호: 김인경 역
- 이도련: 동경유수 역
- 박승규: 이선(이의민의 아버지, 대리 왕자 이양혼의 5대손) 역
- 최승철: 이의민 첫째 형 역
- 서창호: 이의민 둘째 형 역
최충헌 집권기의 무신과 관련 인물들
- 한복희: 유씨(최충헌의 모) 역
- 이덕희: 송씨(최충헌의 부인) 역
- 김병기: 노인우 역
- 김형일: 최충수 역
- 곽진경: 최연 역
- 선동혁: 노석숭 역 - 응양군상장군
- 이대로: 정숙첨 역
- 김경하: 기홍수 역
- 이병욱: 박진재 역
- 이용태: 백존유 역 - 갑문위대장군
- 정재곤 이다윗: 최우(최충헌의 장남) 역 - 용호군대장군
- 최성준 신승준: 최향(최충헌의 차남) 역 - 장군
- 최운교: 오숙비 역
- 이종박: 박정부 역
- 홍일권: 김약진 역 - 용호군상장군
- 안성민: 김취려 역 - 후군병마사
- 김용헌: 김용부 역
- 추상미: 홍련화 역
- 류현경 선지현: 자운선 (아명: 아지) 역
- 이원용: 노관 역
- 배도환: 이지식 역 - 술객(점술가)
- 김경응: 준존심 역
기타 무신들
기타 인물들
- 윤자경: 철랑 역
- 이철민: 김척후 역
- 장기용: 조동희 역
- 이기철: 최인 역
- 김응석: 이관실 역
- 이기홍: 유인준 역
- 박희진: 김덕신 역
- 이석: 홍중방 역
- 유태술: 이부 역
- 홍정욱: 유삼락 역
- 허정규: 최선 역
- 박재훈: 동천 역
- 이재연: 천동 역
- 지서윤: 향이 역
- 윤용덕: 김돈중의 하인 역
- 김재권: 문극겸의 하인 역
- 이종박: 양가 역
- 윤진호: 고려 장수 역
- 류인성: 어사대 관리 역
- 김태형: 다점 관리 역
- 윤관용: 서라벌 관리 역
- 이칸희: 조원정의 처 역
- 이미숙: 석린의 처 역
- 김관기: 이의민에게 참살당한 장수 역
- 박규점: 재물 약탈당하는 남자 역
- 이영재: 고려 무관 역
- 김광인: 부관 역
- 김영: 이의방에게 대들다가 살해를 당하는 내시 역
- 유승민: 부관 역
- 진운성: 거제현령 역
- 이건: 부관 역
- 이정성: 독약건네는 남자 역
- 김홍수: 이고의 집사 역
- 이승기: 탈영병 역
- 최승철: 어의 역
- 정일원: 산적/망나니 역
- 서장석: 산적 역
- 허충호
- 정요숙
- 신소민
- 김영배
- 이지은
- 김광필
- 김소영
- 최재형
- 김현진
- 김애란
- 김현숙
- 고태산: 고려장수 역
- 최진홍
- 박종설
- 임진택: 조위총 부관 역
- 최우혁
승려
반란군 세력들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망이 망소이의 난, 손청의 난
만적의 난
김사미 효심의 난
이비,패좌의 난
금나라 인물
거란 인물
몽고 인물
동진 인물
- 이의선: 완안자연 역 - 동진 장수
Remove ads
기타
- 1999년 KBS에서 후삼국 시대부터 공민왕 시대까지 다루는 고려사 10년 시리즈로 기획된 작품 중 하나였으나,[3] 전작인 제국의 아침의 흥행이 부진하자 여요전쟁 이후 고려 전성기 시절을 건너뛰고 바로 무인시대가 제작되었다.
- 원래는 고려 무신 집권 중 최씨 정권 최의의 집권과 무신정권이 몰락하는 1270년까지를 150회로 구성해 다룰 예정이었지만[4][5] 후반부 흥행 부진과 작가 교체 논란 등으로 최충헌의 죽음까지만 다루었다. 작가 유동윤씨는 무인시대 이후 SBS 왕의 여자 집필 제의를 받았으나 겹치기 집필 문제 등으로 논란이 일자 결국 왕의 여자는 포기했고 이 작품은 윤정건 작가가 대타로 들어간다.[6] 참고로 이 무신정권의 후반기 내용은 이후 MBC 드라마 무신에서 다룬다.
- 첫 회 방영 당시만 해도 서인석, 김흥기, 이덕화 등 중견 연기자들의 열연과 횡계지역의 폭설을 배경으로 찍은 사실적 화면, 무인혁명의 당위성 등을 호방하게 그리면서 한때 시청률 20%대를 유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3년 6월 28일부터 방송 시간대가 주말 오후 9시 45분에서 10시 10분으로 옮겨지고, 후반부 주요 배역 퇴장으로 인한 긴장감 약화와 더불어 동일 시간대 SBS 경쟁작 파리의 연인의 큰 흥행 등으로 인해 최종회 시청률은 13.6%에 그친다.[7]
- 후속작으로 내정된 불멸의 이순신의 주인공 김명민의 촬영 일정이 한참 지연되어 캐스팅 문제가 일어나자 기존 150회에서 8회를 늘려 158회로 막을 내렸다.[8]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