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대한민국의 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마마 어워즈(영어: MAMA AWARDS)는 CJ E&M의 주최로 진행되는 대한민국의 최대 음악 시상식이다. 마마(MAMA)가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Mnet Asian Music Awards)의 줄임말이기에 마마(MAMA)로만 쓰는 것이 바른 표현이다.
역사와 명칭
Mnet Asian Music Awards(MAMA, 마마 혹은 엠에이엠에이) 시상식이 처음으로 개최된 1999년에는 현재의 이름이 아닌 엠넷 주최의 뮤직 비디오 시상식인 "M.net 영상 음악 대상"이었다. 또한 같은 기업의 케이블 음악 채널 KMTV에서는 "코리안 뮤직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시상식을 매년 개최하고 있었다. 그 후 2000년부터는 "M.net 뮤직 비디오 페스티벌"로 명칭을 바꾸어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2004년에 개최된 6회부터는 비슷한 성격을 가진 두 시상식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M.net KM 뮤직 비디오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를 시작했다. 2년 후인 2006년 8회부터는 뮤직 비디오가 아닌 대중 음반 전반에 대한 시상식을 하기 위해 "M.net KM 뮤직 페스티벌"(자칭 MKMF)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2009년부터는 "M.net KM 뮤직 페스티벌"을 전격 폐지하고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라는 이름의 새로운 시상식을 개최하기 시작했다. 2010년에는 최초로 장소를 해외로 옮겨 마카오 베네치안 리조트에서 개최하였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5년 연속으로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 아레나에서 개최하였다. 2017년부터는 처음으로 베트남 호찌민 시 호아빈 시어터, 일본 요코하마시 요코하마 아레나,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 아레나에서 개최하였다.
2022년에는 K-POP의 영향력이 아시아에서 글로벌로 확대되는 등 글로벌 음악 시장 변화에 맞춰 MAMA AWARDS로 리브랜딩한다고 발표했다.
Remove ads
개최지
- 최다 진행자
Remove ads
시상 부문
(2024년 시상 부문 기준)
대상
- 올해의 노래상
- 올해의 가수상
- 올해의 앨범상
- 올해의 월드와이드 아이콘상
가수별
- 남자 가수상
- 여자 가수상
- 남자 그룹상
- 여자 그룹상
- 남자 신인상
- 여자 신인상
장르별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솔로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
-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
- 베스트 보컬 퍼포먼스 남자 솔로
- 베스트 보컬 퍼포먼스 여자 솔로
- 베스트 보컬 퍼포먼스 그룹
- 베스트 밴드 퍼포먼스
- 베스트 힙합 & 어반 뮤직
- 베스트 유닛
특별상
- 베스트 OST
- 베스트 뮤직비디오
역대 대상
- 2006년부터 올해의 노래상, 올해의 가수상, 올해의 앨범상 3개 부문 수상으로 바뀌었다.
- 2018년부터 Worldwide Icon Of The Year도 추가되어 4개 부문 수상으로 바뀌었다.
Remove ads
역대 시상식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12회
13회
2011년 제13회 수상자
- 개최: 2011년 11월 29일 화요일 오후 7시 / 싱가포르 공화국 싱가포르 실내 체육관
- 사회: 이병헌
14회
15회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2018년 제20회 수상자
- 개최: 2018년 12월 10일 월요일 오후 7시 / 한국 서울특별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2018년 12월 12일 수요일 오후 7시 / 일본 사이타마시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2018년 12월 14일 금요일 오후 7시 /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 아레나
- 사회: 정해인, 박보검, 송중기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26회
Remove ads
최다 수상자
역대 최다 수상자는 방탄소년단으로 47회 수상을 했다. 그 뒤를 EXO(17회), 트와이스(16회), 세븐틴(15회), 빅뱅(14회), 동방신기(14회), 슈퍼주니어(13회), 신화(10회), 2NE1(10회)이 따르고 있으며, 최다 대상 수상자는 방탄소년단으로 21회 수상을 했다. 그 뒤를 EXO(6회), 빅뱅(5회), 2NE1(4회), 동방신기(3회), 슈퍼주니어(3회), 트와이스(3회)가 따르고 있다. 부문별 최다 연속 수상자는 에일리로 베스트 보컬 퍼포먼스 여자 부문을 4회(2013, 2014, 2015, 2016) 연속 수상하였다. 최다 연속 대상 수상자는 EXO와 방탄소년단으로 엑소는 올해의 앨범상을 5회(2013, 2014, 2015, 2016, 2017) 연속 수상하였고, 방탄소년단은 올해의 앨범상을 5회(2018, 2019, 2020, 2021, 2022), 올해의 가수상을 7회(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올해의 월드와이드 아이콘상을 6회(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연속 수상하였다.
최다 대상 수상자
최다 수상자
Remove ads
논란
- 나눠 주기 식의 시상과 일부 연예 기획사 차별적 수상 논란으로 매년 시상식이 개최될 때마다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 손담비 외 몇몇 아티스트 등이 소속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와 장윤정, 박현빈 외 인우기획[12] 소속 가수들과 소녀시대 등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후보선정을 문제 삼아 출연을 불매동맹 선언하였으며, 손담비, SS501 등 대형 가수들이 불참 선언을 하게 된다. 한편 전 (前) 동방신기 멤버 3인(김재중, 김준수, 박유천)이 소속사인 SM과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연예활동을 할 수 있다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판결에 따라 SM의 보이콧에 상관없이 시상식에 참석하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 비하 논란이 되었던 박재범이 2PM 섭외로 시상식에 참석했다. 그리고 2009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보이콧한 SM 엔터테인먼트에게 본상을 슈퍼주니어(모바일 인기상, CJ CGV 인기상, 해외 시청자상 수상)를 제외하고는 수상하지 못하고 기타 플레디스의 소속의 가수들과 인우기획의 가수와 불참한 SS501은 상을 OST상을 제외하고 본상을 받지 못해, 공정성 논란이 일어났다.
- 공식 명칭이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로 바꾸었지만 지난 2008년의 "MKMF"와 같이 한국 가수 위주로 행위 예술과 수상을 하여서 "아시아의 대표 음악시상식'이라는 표어를 무색하게 해서 아시아의 대표 음악 시상식이 아니고 한국가수 위주의 시상식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났다.
- 2009년의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는 SM 엔터테인먼트, 인우기획, 플레디스 등의 가수들을 차별하였지만 엠넷과 관련된 서인국과 DSP 미디어, YG엔터테인먼트 등의 가수들은 우대하여 공정성 논란이 일어났다.
- 2010년에는 SM 소속 가수와 이효리, 손담비, 비, 카라, 2AM 등 가수들이 지상파 출연 관계로 불참하였다.[13]
- 2012년에는 병역기피 논란으로 우리나라에 입국금지 대상이였던 유승준이 국내에 중계되는 방송 출연을 하자 시청자들로부터 비난을 샀다.
- 2013년에는 장현승과 김현아만 출연하고 비스트 멤버 5명과 포미닛 멤버 4명이 불참했다.
- 2014년에는 걸스데이가 참석한 가운데 같은 소속사이자 드림티엔터테인먼트의 소속인 인피니티소드의 7명 멤버들이 첫 번째 월드투어를 하기 위해 불참했다.
- 2015년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가수들도 초대를 받았으나, 고르게 분배되지 않은 공연시간과 주최측의 원활하지 못한 진행으로 인해 예정 된 공연이 1시간 지체되면서 소속가수들의 항공편이 늦춰져 논란이 된 바 있다.[14]
- 2017년 사전 온라인 투표 과정에서 부정 투표가 발견돼 엠넷 측에서 전수 조사를 벌인 뒤 부정 투표로 확인된 표들을 모두 삭제하고, 부정 투표에 가담한 IP는 차단하였다. 그러나 해당연도에는 투표와는 별개로 상을 특정 가수에게 나눠주기식으로 시상해 반발을 샀다.
Remove ads
방송
수상
- 2007년 제1회 케이블TV 방송대상 금상
타이틀 변천사
현재 타이틀은 2022년을 기준으로 한다.
시청률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