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수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수부(留守府)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행정 기관으로 부 가운데 유수(留守, 종2~정2품)가 우두머리로 있는 곳을 가리킨다. 조선 시대에는 강화·개성·수원(화성)·광주(廣州) 등에 설치되었다.
도읍지인 한성부를 제외한 지방 관직은 인사 행정에 있어 외관직(外官職, 지방 관직)으로 분류되나, 유수부는 경관직(京官職, 중앙 관직)으로 운영하였다. 또 유수는 관직에 설정된 2품 품계보다 높은 관원이 부임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특히 수원유수, 광주유수는 의정부의 정1품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낸 인물을 임명하기도 하였다.[1] 대표적인 예가 1788년(정조 12년)에 우의정, 1790년(정조 14년)에 좌의정을 거쳐 1793년(정조 17년)에 영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초대 화성유수(수원유수)가 된 채제공(蔡濟恭)이다.
Remove ads
주요 연혁
- 1438년(세종 20년) 10월, 개성부(유후사)를 개성유수부로 개편[2]
- 1627년(인조 5년) 4월, 강화부(부윤)를 강화유수부로 승격[3][4]
- 1638년(숙종 9년) 1월, 광주목을 광주유수부로 승격 (남한산성 수어사 혁파)[5]
- 1793년(정조 17년) 1월, 수원도호부를 정2품 화성유수부로 개칭 승격[6]
- 1795년(정조 19년) 8월, 광주목을 정2품 광주유수부로 재승격[7]
- 1888년(고종 25년) 4월, 춘천도호부를 춘천유수부로 승격[8]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