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참여 미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참여 미술은 관객이나 지역 주민 등 비전문 참여자가 작품의 제작·진행·의미 형성 과정에 직접 관여하도록 설계된 예술 실천을 가리킨다. 주요 기관 용어집은 관객을 공동 저자 또는 의사결정 주체로 포함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설명한다.[1][2] 한국어권 미술 백과는 참여 기반의 공공 프로젝트, 워크숍, 퍼포먼스, 설치 등 과정 중심의 실천을 포괄하는 용어로 정리한다.[3]
이미지
- 도큐멘타 전시 장면 — 참여형 설치의 예시 (CC BY-SA 3.0)
정의와 특징
역사와 이론적 맥락
20세기 중후반 이후 해프닝, 플럭서스, 개념 미술, 퍼포먼스, 관계 미학 등 관객의 역할이 확장되는 흐름 속에서 참여 미술이 제도권 담론으로 자리 잡았다.[6] 동시대 이론·비평은 참여의 미학적 가치와 더불어 사회적 함의를 함께 검토해 왔다.[8][5]
관련 개념
목적과 기능
비판
동향과 사례
한국에서의 참여 미술
한국어 미술 용어 해설은 참여 기반 프로젝트를 공공미술, 워크숍, 지역 커뮤니티 활동 등과 연동해 설명하며, 과정 중심의 실천을 강조한다. 구체적 사례는 지자체·기관별 사업 기록과 전시 도록에 분산되어 있다.[3]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매체 아르떼365는 파블로 엘게라의 저서 『사회 참여 예술이란 무엇인가』를 소개하며, 참여 기반 예술이 단순한 협업을 넘어 교육학적 방법론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장르라고 해설한다.[10] 국내 연구 논문에서는 마을미술과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주민 참여가 공동체 정체성 확립과 공간 재생에 기여한 사례가 보고되었다.[11] 국가연구재단 과제 보고서 역시 참여 미술의 사회적 효과와 정책적 지원 필요성을 지적하며, 제도화된 참여형 프로젝트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12]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