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케추아어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케추아어(Quechua, 케추아어: Runa Simi) 또는 케추아어족은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지대의 토착민인 케추아족이 사용하는 언어 또는 어군이다. 잉카 제국이 제국의 공용어로 채택한 이래 오랫동안 중앙 안데스 지방을 중심으로 가장 큰 세력을 갖고 있던 언어이다. 총 사용 인구는 800만~1,000만 명 정도로 남북 아메리카를 통틀어 가장 사용인구가 많은 원주민 언어이다.
볼리비아와 페루에서는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콜롬비아,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북서부, 칠레 북부 등에도 사용인구가 있다. 케추아어는 매우 규칙적인 활용형을 갖는 교착어로, 기본 어순은 SOV이다. 많은 접사들이 붙어 미묘하게 의미를 바꾸기도 한다. 동사는 주어 외에 목적어에도 호응하여 형태를 바꾸며, 증거성(Evidentiality)이 문법범주에 포함된다. 계통적으로 달리 연관된 언어가 없는 고립된 어족인데, 오늘날에는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어 있다.
Remove ads
역사
케추아어의 원향은 오늘날의 페루 중부 지역으로 추정되며, 차빈 문명이나 와리 문명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유추된다.[1]
케추아어는 잉카 제국의 확장보다 훨씬 이전부터 안데스 산맥 중부의 넓은 지역에 퍼지기 시작했다. 잉카인들은 당시 이미 케추아어를 사용하던 페루 지역의 여러 민족 중 하나였는데, 쿠스코 지역에서는 아이마라어의 영향도 크게 받아 오늘날에도 여전히 쿠스코 지역의 케추아어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잉카 제국이 확장되고 케추아어가 제국의 공식 언어로 자리잡기 전부터, 다양한 지역에서 지역 언어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케추아어 계통 방언이 발전하여 왔다.
16세기 스페인이 페루를 정복한 이후로도 케추아어는 토착민들 사이에서 "공통 언어"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것은 스페인 당국에서 공인했고 많은 스페인인들도 현지 주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케추아어를 학습했다.[2] 가톨릭 교회의 성직자들은 케추아어를 복음 전파의 언어로 사용했다. 케추아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1538년 페루에 도착한 선교사 도밍고 데 산토 토마스의 것인데, 그는 1560년 Grammatica o arte de la lengua general de los indios de los reynos del Perú(페루 왕국 인디오의 공통 언어의 문법 및 예술)을 출판하였다.[3][4] 가톨릭 선교사들의 사용 덕에 케추아어의 범위는 일부 지역에서 계속 확장하였다.
18세기 후반부터 식민 관리들은 케추아어의 행정적, 종교적 사용을 중단했다. 투팍 아마루 2세의 원주민 반란 이후 페루에서는 케추아어의 공공 사용이 금지되었다.[5] 스페인 왕실은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Garcilaso de la Vega)의 Comentarios Reales와 같은 친왕실, 친가톨릭적인 케추아어 문서도 금지하였다.[6]
19세기에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독립을 쟁취한 직후 잠시 부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케추아어의 위상은 빠르게 하락하였다. 케추아어 사용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주로 고립되고 보수적인 농촌 지역의 토착민들에게만 집중되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에 케추아어 사용자는 남미 전역에서 약 700만 명에 달하며, 이는 아메리카 대륙의 어떤 토착어보다도 많은 수이다.[7]
Remove ads
현황
1975년 페루는 케추아어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인정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8] 에콰도르는 2006년 헌법에서 이 언어에 공식 지위를 부여했고, 2009년 볼리비아가 케추아어와 기타 여러 토착어를 국가의 공식 언어로 인정하는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9]
케추아어 사용과 교육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은 책, 신문, 소프트웨어, 잡지와 같은 서면 자료의 부족이다. 케추아어로 번역된 성경은 일부 선교 단체에 의해 배포되고 있다. 케추아어는 아이마라어나 다른 소수 토착 언어들처럼 기본적으로 구어(口語)로만 한정되어 있다.
방언과 분포

케추아어의 방언은 중간적 특징을 가진 방언들의 존재로 인해 분류하기 어렵다. 그러나 Alfredo Torero와 Willem Adelaar 등의 학자는 케추아어를 크게 케추아어 I과 케추아어 II라는 그룹으로 양분하는 데 동의한다.[10]
- 케추아어 I (중앙 케추아어, 케추아어 B): 페루 중부의 고지대와 해안지대에서 사용되며, 하위 방언이 가장 다양하다.
- 하위 방언: Ancash (Huaylas–Conchucos), Alto Pativilca–Alto Marañón–Alto Huallaga, Yaru, Wanka (Jauja–Huanca), Yauyos–Chincha (Huangáscar–Topará), Pacaraos
- 케추아어 II (지방 케추아어, 케추아어 A)
- 케추아어 II-A (융가이 케추아어): 페루 북부의 고지대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 하위 방언: Lambayeque (Cañaris), Cajamarca, Lincha, Laraos
- 케추아어 II-B (북부 케추아어): 페루 북부와 에콰도르, 콜롬비아 남부에 분포한다.
- 하위 방언: Kichwa, Chachapoyas (Amazonas), Lamas (San Martín)
- 케추아어 II-C (남부 케추아어): 페루 남부와 볼리비아, 칠레와 아르헨티나 북부의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 하위 방언: Ayacucho, Cusco, Puno (Collao), Northern Bolivian (Apolo), Southern Bolivia, Santiago del Estero
- 케추아어 II-A (융가이 케추아어): 페루 북부의 고지대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잉카 제국에서 사용되던 고전 케추아어는 케추아어 IIC 또는 IIB와 유사하다고 여겨진다.
음운
닿소리
쿠스코 방언
키치와어
임바부라 방언
침보라조 방언
홀소리
/a, i, u/ 만 있으며, 하나의 언어만 쓰는 사람은 /æ, ɪ, ʊ/로 발음한다. 구개수음과 가까이 있으면 /ɑ, ɛ, ɔ/와 비슷하게 발음한다.
홀소리(임바부라 및 침보라조 키치와)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