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쿡 당파 투표 지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쿡 당파 투표 지수
Remove ads

쿡 당파 투표 지수(영어: Partisan Voting Index, 약어로 Cook PVI, CPVI, PVI)는 미국 주별로, 또는 하원 선거구별로 민주당 세력이 우세하나, 공화당 세력이 우세하나, 아니면 비슷하나를 알 수 있는 지수이다.[1][2]

Thumb
미국 대통령 선거(주, 연방 지구, 특정 의회 지구)에서 각 투표 주체의 2020년 이후 Cook PVI 지도입니다. 색상이 어두울수록 당파적 성향이 강해집니다.

각 대선과 선거구 재조정 후에 업데이트된다. 1997년 8월 쿡 폴리티컬 리포트(Cook Political Report)에서 1992년1996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기준으로 각 선거구의 경쟁 정도를 더 잘 측정하기 위해 도입했다.[3]

보는 방법

쿡 당파 투표 지수에는 공식이 따로 없다. 최근에 치른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전국에서의 민주당 후보와 공화당 후보의 총 득표율을 확인을 한 후, 그 득표율의 평균을 구한다. 그러고 나서 각 주별로, 그리고 각 하원 선거구별로 똑같이 적용해서 평균을 구한 후, 아래에 나오는 식을 쓴다.

(해당 지역 민주당·공화당 후보 득표율 - 미국 전체 민주당·공화당 후보 득표율)

예를 들어 x년에 치러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이 48%, 공화당이 50% 얻었고, 4년 후에, x+4년에 치러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이 47%, 공화당이 52% 얻었다면, 민주당 평균 득표율은 47.5%가 되고, 공화당 평균 득표율은 51%가 된다. 이때 A선거구에서는 x년에는 민주당 40%, 공화당 58% 얻었고, x+4년에는 민주당 41%, 공화당 56% 얻었다. 그러면 A선거구에서의 민주당 평균 득표율은 40.5%, 공화당 평균 득표율은 57%가 된다. 그러면 위에 나온 식을 적용하면 민주당은 40.5-47.5=-7이 되고, 공화당은 57-51=6이 된다. 그렇다면 A선거구에서는 공화당이 앞섰고, 미국 전체와 비교하면 6%p 더 얻었기 때문에 A선거구의 PVI는 공화당+6, 즉 R+6이 되는 거다. 반면, B선거구에서는 x년에는 민주당 49%, 공화당 46% 얻었고, x+4년에는 민주당 51%, 공화당 48% 얻었다. 그러면 B선거구에서의 민주당 평균 득표율은 50%, 공화당 평균 득표율은 47%가 된다. 똑같이 적용하면 민주당은 50-47.5=2.5가 되고, 공화당은 47-51=-4가 된다. 그렇다면 B선거구에서는 민주당이 앞섰고, 미국 전체와 비교하면 2.5%p 더 얻었기 때문에 B선거구의 PVI는 민주당+2.5, 즉 D+2.5가 되는 거다. 다만 PVI를 표시할 때는 자연수로 표기하기 때문에 2.5를 반올림하면, 3이기 때문에 B선거구의 최종 PVI는 D+3이 된다. PVI를 구할 때, 양 대선 결과에서의 양 후보 득표율은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고, PVI를 구할 때는 거기에서 또 반올림해서 자연수로 바꾼다.

Remove ads

통계

요약
관점

다음은 2022년 7월 12일에 발표한 PVI이다.[4][5]

연방 하원 선거구

자세한 정보 선거구명, 영문 선거구명 ...

주(State)

자세한 정보 주, 영문 주 ...

기호

  • DR : 민주당 기준 순위(Democrat Ranking)
  • RR : 공화당 기준 순위(Republican Ranking)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