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로베니우스 다양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분기하학에서 프로베니우스 다양체(영어: Frobenius manifold)는 접공간에 프로베니우스 대수의 구조가 정의된, 평탄한 리만 다양체이다. 이들은 2차원 위상 양자장론의 모듈라이 공간을 나타낸다.
역사
보리스 두브로빈(Boris Dubrovin)이 정의하였다.[1]
정의
요약
관점
편의상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한다.
프로베니우스 다양체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이들은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평탄성) 의 리만 곡률이 0이다. 즉, 이며, 따라서 공변 미분 이 일반 편미분 과 일치한다.
- (적분가능성) 국소적으로, 인 함수 가 존재한다. (이는 대역적으로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프리퍼텐셜(영어: prepotential) 또는 자유 에너지라고 부른다.[2]:73 이에 따라 는 완전 대칭이다. 즉, 이다.
- (결합성) 는 결합법칙을 따른다. 즉, 이다. 성분으로 쓰면, 이다.
결합성 조건을 프리퍼텐셜로 쓰면 다음과 같다.
이를 위튼-데이크흐라프-페를린더-페를린더 방정식(영어: Witten–Dijkgraaf–Verlinde–Verlinde equation) 또는 WDVV 방정식이라고 하며, 에드워드 위튼, 로베르튀스 데이크흐라프, 에릭 페를린더(Erik Verlinde), 헤르만 페를린더(Herman Verlinde)가 발견하였다.[3][4]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