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렉틱 다양체  위에, 매끄러운 함수
 위에, 매끄러운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이를 시간 의존 해밀토니언으로 해석하여 심플렉틱 벡터장
 
을 정의할 수 있다.  의 둘레가 1이라고 놓으면,
의 둘레가 1이라고 놓으면,  를
를 ![{\displaystyle [0,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38f7d23bb2d9642bab520020873cccbef49768d) 에서 적분하여 얻는 심플렉틱 사상
에서 적분하여 얻는 심플렉틱 사상
 
을 생각할 수 있다.
자유 고리 공간  의 접다발
의 접다발  을 생각하자. 이 경우,
을 생각하자. 이 경우,
 
에서  는 닫힌 곡선이며,
는 닫힌 곡선이며,  는 그 위의 벡터장이다.
는 그 위의 벡터장이다.  위에 다음과 같은 범함수를 정의하자.
 위에 다음과 같은 범함수를 정의하자.
 
 
이에 따라,  의 임계점은
의 임계점은  의 고정점과 같다.
의 고정점과 같다.
플뢰어 사슬 복합체  는 아벨 군으로서,
는 아벨 군으로서,  의 임계점들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이다.
의 임계점들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이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CF} (M,H)=\mathbb {Z} [\operatorname {Crit} F]}](//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5baf6205c593a3ee2a3cf40594e4cfc0e227ab1) 
이 위에는 콘리-첸더 지표(영어: Conley–Zehnder index)라는 등급이 존재하며, 이는 스펙트럼 흐름에 따른 양의 고윳값의 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무한하지만, 두 등급의 차  는 잘 정의된다. 이 위에 다음과 같은 경계 사상을 주자.
는 잘 정의된다. 이 위에 다음과 같은 경계 사상을 주자.
 
 
여기서
 는 는 에 대한 기울기 흐름(영어: gradient flow)의 모듈러스 공간이다. 즉, 에 대한 기울기 흐름(영어: gradient flow)의 모듈러스 공간이다. 즉, 와 와 를 잇는 유사 정칙 곡면의 모듈러스 공간이다. 를 잇는 유사 정칙 곡면의 모듈러스 공간이다.
 위에는 시간 평행 이동에 따른 자연스러운 위에는 시간 평행 이동에 따른 자연스러운 -작용이 존재하며, -작용이 존재하며, 는 이에 대한 몫공간이다. 는 이에 대한 몫공간이다.
 인 경우, 인 경우, 는 0차원이며, 는 0차원이며, 는 이 몫공간의 점의 수이다. 는 이 몫공간의 점의 수이다.
이 경우,  임을 보일 수 있으며, 플뢰어 사슬 복합체의 호몰로지
임을 보일 수 있으며, 플뢰어 사슬 복합체의 호몰로지
 
를 플뢰어 호몰로지라고 한다. 이는  의 특이 호몰로지와 일치한다. 즉, 플뢰어 호몰로지는
의 특이 호몰로지와 일치한다. 즉, 플뢰어 호몰로지는  에 의존하지 않는다.
에 의존하지 않는다.
위 정의를 약간 변형하여, 양자 코호몰로지와 일치하는 플뢰어 호몰로지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뢰어 사슬 복합체는 곡선  대신 곡선과 상대 호모토피류
 대신 곡선과 상대 호모토피류 ![{\displaystyle [u]\in \pi _{2}(M,\gamma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04f5ff7ba101a6c51c932609dff3a76cb4bf4a5) 의 순서쌍
의 순서쌍 ![{\displaystyle (\gamma ,[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ad645fbcd25d95fb3ffe3b7c9cb8b1f06e3f8f4) 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이다.
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이다.
관련 개념
(심플렉틱) 플뢰어 호몰로지를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호몰로지 이론들을 얻을 수 있다.
- 라그랑지언 플뢰어 호몰로지(영어: Lagrangian Floer homology)는 어떤 라그랑지언 부분다양체가 주어진 심플렉틱 다양체에 대하여 정의되는 호몰로지 이론이다. 이는 거울 대칭에 의하여, 거울짝 다양체의 연접층의 Ext 함자와 일치한다.
- 3차원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플뢰어 호몰로지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모두 서로 같다고 추측되며, 이는 부분적으로 증명되었다.
- 순간자 플뢰어 호몰로지(영어: instanton Floer homology)는 도널드슨 불변량과 관련있다.
- 자기 홀극 플뢰어 호몰로지(영어: monopole Floer homology)는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과 관련있다.
- 헤고르 플뢰어 호몰로지(영어: Heegaard Floer homology)는 조합론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호몰로지 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