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17년
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
기년
사건
- 1월 1일 - 이광수가 소설 〈무정〉을 《매일신보》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 1월 20일 - 안확이 《조선문법》을 발행하였다.
- 2월 1일 - 독일 제국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개시하여 중립국의 상선마저도 격침된다. 중립국 중 하나였던 미국은 이 시기에 독일에 선전 포고할 것을 결심하게 된다.
- 3월 2일 - 간도창의소 사령관 안종석이 체포되어 부산으로 압송되었다.
- 3월 7일 - 중화민국이 간도에서 한국인의 거주권과 토지소유권을 인정하였다.
- 3월 12일 - 러시아 제국 멸망. 러시아에서 3월 혁명이 일어나다. 당시 러시아가 쓰던 율리우스력으로는 2월 27일이기 때문에 러시아 2월 혁명으로 불린다.
- 3월 14일 - 수원농림학교가 전문학교 수준의 학생을 모집함 (전문학교 과정)
- 3월 15일 - 러시아의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임시 정부가 수립되다.
- 3월 23일 - 장일환 등이 평양에서 조선국민회를 조직하였다.
- 3월 26일 - 태국에 최초 국립대학인 출랄롱꼰 대학교 설립
- 3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서 대한부인회가 조직되었다.
- 3월 31일 - 덴마크가 덴마크령 서인도 제도를 미국에 2,500만 미국 달러에 양도하여 미국령 버진아일랜드가 되다.
- 4월 6일 - 미국이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하다.
- 4월 7일 - 사립 연희전문학교가 조선총독부로부터 설립을 인가 받음. 조건부 (10년 기한) 설립을 인가 받음. 사립 최초의 전문학교
- 4월 9일 - 봉천에서 조선인회가 설립되었다.
- 4월 23일 - 오스만 제국이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다.
- 4월 30일 - 조선 궁중아악을 연구하는 이왕직아악부 아악생양성소가 설치되었다.
- 5월 13일 - 파티마의 성모발현 첫 발현일
- 5월 14일 - 사립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가 조선총독부에 조건부 (10년 기한) 설립을 인가 받음. 사립 최초의 전문학교
- 5월 23일 - 의병장 이진룡이 평안북도에서 체포되었다.
- 5월 26일 - 서울 광화문선 전차 노선이 개통되었다.
- 6월 1일 - 토지조사령 시행규칙 개정 공포령이 시행되었다.
- 6월 8일
- 6월 9일 - 면 (행정 구역) 제도가 공포되었다.
- 6월 13일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가 개교하였다.
- 6월 19일 - 영국 하원, 부인 참정권 승인.
- 6월 28일 - 순종 황제가 귀국하였다.
- 7월 - 신규식, 신채호, 박은식 등이 중국에서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하였다.
- 7월 29일 - 간도 지방 한국인에 대한 경찰권이 일본 측에 이관되었다.
- 8월 - 상순, 신규식 등이 중국 상하이에서 조선사회당을 조직하였다.
- 8월 31일 - 조선사회당이 스웨덴 스톡홀름 만국사회당대회에서 조선 독립 요구서를 제출,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 9월 15일 - 러시아, 공화국 선언.
- 10월 3일 - 면 제도 시행으로 일본인 면장 임명이 시작되었다.
- 10월 15일 - 제1차 세계 대전 : 네덜란드 출신 무용수로 독일 간첩 혐의를 받은 마타 하리가 파리에서 처형되다.
- 10월 17일 - 한강인도교가 준공되었다.
- 10월 24일 - 제1차 세계 대전 : 카포레토 전투 시작. 극소수이지만, 일부 부대의 피해는 거의 괴멸에 가까웠다고 한다.
- 11월 2일 - 영국의 후원으로 "유대인들의 고향인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를 설립할 것"이라는 내용의 밸푸어 선언이 발표되다.
- 11월 7일 - 러시아 10월 혁명이 시작되다. 당시 러시아가 쓰던 율리우스력으로는 10월 25일이기 때문에 10월 혁명으로 불린다.
- 11월 9일 - 창덕궁에 큰불이 나 대조전 등이 소실되었다.
- 12월 6일 - 핀란드가 러시아령 핀란드 대공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다.
- 12월 15일 - 대전약령시가 개설되었다.
탄생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군인 최석. (~1982년)
- 10월 7일 - 미국의 배우 마샤 헌트. (~2022년)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윤희보. (~2015년)
- 10월 16일 - 영국의 외교관 머레이 맥리호스 (~2000년)
- 10월 20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장피에르 멜빌. (~1973년)
- 10월 21일 -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 디지 길레스피. (~1993년)
- 10월 22일 - 영국, 미국의 배우 조앤 폰테인. (~2013년)
- 10월 29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에디 콘스탄틴. (~1993년)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성직자, 정치인, 사회운동가 강원용. (~2006년)
11월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이경호. (~1987년)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제5~9대 대통령 박정희. (~1979년)
- 11월 17일 -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레안드로 레몬디니. (~1979년)
- 11월 19일 - 인도의 정치가 인디라 간디. (~1984년)
- 11월 20일 - 미국의 정치인 로버트 버드. (~2010년)
- 11월 21일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국악인 김기수. (~1986년)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화가 장욱진. (~1990년)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국악인, 인간문화재 이은관. (~2014년)
12월
미상
Remove ads
사망





노벨상
달력
음양력 대조 일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