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입춘

절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입춘(立春)은 24절기 중의 하나로, 정월(正月)의 절기이다. 태양황경이 315˚에 드는 때이며 양력으로 2월 3일 또는 2월 4일이며 과거에는 2월 5일에도 있었다. 대한우수 사이에 있다. 대부분 이 때를 즈음해서 설날이 온다.

Remove ads

입춘의 기후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동풍이 불고, 얼음이 풀리며, 동면하던 벌레들이 깨어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입춘이라는 명칭은 중국화북 지방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한국에서 이 시기의 기상은 매년 불규칙적이어서 이때를 전후한 시기가 1년 중 가장 추운 해도 있다.

풍속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이므로 새해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옛어른들은 이날 '입춘대길'(立春大吉: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과 같은 좋은 글을 적은 입춘부를 대문 기둥이나 대들보 혹은 천장에 붙였으며, 농가에서는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해 농사가 잘 될지 어떨지를 점치기도 하였다. 또한, 음력으로 한 해에 입춘이 두 번 들어 있으면 '쌍춘년'(雙春年)이라고 하여 그해에 결혼하는 것이 길하다고 받아들여져왔다.

기상학적 계절 구분과의 비교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 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을 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2][3][4][5]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30년 단위, 10년 단위 평균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6][7]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30년 단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 서울의 30년 단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10년 단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 서울의 10년 단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기타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및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