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동지
Remove ads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다. 대개 팥죽을 먹는다. 양력에서는 12월 21일 또는 22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 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간략 정보 동지, 공식이름 ...

동지는 겨울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이때는 지구 북반구에서는 겨울이지만, 남반구에서는 여름이므로, 지구 전체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려면, 12월 지점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1] 동지는 북반구에서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날일 뿐[2], 1년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이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은 소한이다.[3]

Thumb
동지날 태양지구의 위치
Remove ads

일출과 일몰

지역에 따른 2013년 동지의 일출과 일몰 시각은 다음과 같다.[4]

자세한 정보 지역, 위도와 경도 ...

기후

동지 때 지구의 북반구는 완연한 겨울이 된다. 이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북위 37도인 지역(서울, 강릉 등)에서 하지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라 한다면 동지에는 49% 정도이다.

관련 풍습

요약
관점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많은 곳에서 축제일, 또는 1년의 시작일로 삼았다.

한국의 풍습

동지는 반드시 음력 11월에 들어서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 불렀다. 또한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 민간에서는 동지에,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이것은 옛날에 동지 (옛날 서당은 이 날에 입학하였다.)를 정월(正月)로 삼은 풍속에 따른 것이었다.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전해진다.

  • 동지 팥죽 - 동지 때 쑤어 먹는 팥죽. 새알심을 넣어 쑨다.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 동지가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5]”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
    • 팥죽을 쑤어 조상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 동짓날 날씨로 새해의 농사를 점친다.
  • 달력을 선물로 보낸다.
  • 서당의 입학 날짜는 대개 동짓날이었다. 이는 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서당의 입학식을 동지에 한 것이다.

종류

애동지

애동지는 음력 11월 10일까지 드는 동지로 아기동지, 오동지라고도 부른다. 윤달이 들어 있는 2006년2009년, 2012년, 2014년, 2017년, 2020년, 2023년 등이 애동지다.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시루떡, 시루팥떡을 해 먹는다.

중동지

중동지는 음력 동짓달 중순(음력 11월 11일 ~ 11월 20일) 사이에 드는 동지이다.

노동지

노동지는 음력 11월 21일 이후로 드는 동지를 뜻한다.[6]

실제 날짜

Remove ads

기타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및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