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공덕역
한국철도공사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서울지하철 5, 6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공덕역(孔德驛, Gongdeok station)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과 도화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그리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Remove ads
역사
- 1996년 12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응암순환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11년 11월 30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과 함께 3개 노선 환승역이 됨
- 2012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 개통과 함께 4개 노선 환승역이 됨
- 2014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용산 구간 개통과 함께 문산역 ~ 용문역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 개시로 중간역이 됨
역 구조
요약
관점
5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고, 나머지 노선은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8개, 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소속 2개로 총 10개가 있다.
현재 5호선과 6호선이 거의 L에 가까운 십(十)자 교차를 하고 있다. 5호선이 아래에, 6호선이 위에 있다.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용산선)은 6호선과 나란히 놓여 있다. 5호선으로 내려가는 통로는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있으며 높이차가 크고 가파른 경사를 이룬다. 그 뒤에도 덜 가파른 내리막과 오르막이 각각 하나씩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설치되어 있다. 갈아타는 데 약 5~6분 정도 소요된다.
공항철도의 승강장은 다른 노선 보다 아래인 지하 5층에 있으며 벽으로 막힌 승강장은 용산역행 열차가 사용할 예정이고, 경의·중앙선의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
서울교통공사
5호선 승강장 (B3F)
마포 ↑ |
하 상 | |
↓ 애오개 |
6호선 승강장 (B2F)
대흥 ↑ |
| 상 |
↓ 효창공원앞 |
공항철도 (B5F)
↑ 서울 |
| 하 | |
홍대입구 ↓ |
한국철도공사 (B2F)
↑ 효창공원앞 |
2 | | 1 |
서강대 ↓ |
1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일반 · 급행 | 서강대 · 금촌 · 문산 방면 |
---|---|---|---|
2 | 용산 · 이촌 · 회기 · 용문 · 지평 방면 | ||
환승
공항철도,경의·중앙선 대합실에서 5호선,6호선 1~8번 출구를 이용할 경우 경의선 공덕역의 역장은 개표후 지상을 이용해 다시 8번이나 7번 출구를 이용해 지하로 내려가 찾아가라는 안내를 제공한다.
Remove ads
역 주변
공덕역을 중심으로 부도심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현뉴타운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1번 출구
이용객 변동
요약
관점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 공항철도의 201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1년 11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2일간, 용산선의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Remove ads
사진
인접한 역
Remove ads
같이 보기
기타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