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중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지선(구 구마고속도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부내륙고속도로의지선(中部內陸高速道路의支線, 고속국도 제451호선)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북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며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지선이다. 예전 명칭은 구마고속도로(邱馬高速道路)였는데, 명칭처럼 본래 대구 ~ 마산 간 고속도로 (고속국도 제7호선 (2001년 8월까지), 86.4km)를 일컫다가 2001년 8월에 내서 분기점 ~ 현풍 나들목 구간이 중부내륙고속도로로 편입되면서 현풍 나들목 ~ 금호 분기점 구간으로 축소되었다가 2008년 명칭 변경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지선이 되었다.

간략 정보 고속국도, 총연장 ...
고속국도
451
Thumb
중부내륙고속도로의지선
고속국도 제451호선
노선도
Thumb
총연장 30.0 km
개통년 1977년 12월 16일 (현풍 ~ 서대구)
1984년 6월 28일 (서대구 ~ 금호)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주요
경유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종점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주요
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6호선
닫기
1개 복선=도로 2~3개 차선
남대구방면 고속도로 진출
금호방면 고속도로 진입
7A
성서
7B
대구시내 방면 남행 진출로
7
대구시내 방면 북행 진출로
6
남대구
TG
남대구
자세한 정보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7
고속국도 제7호선
1983년 ~ 1997년1997년 ~ 2001년
노선명구마고속도로
(고속국도 제7호선)
기점대구광역시 북구
종점경상남도 마산시
닫기

구마고속도로라는 명칭은 대구 ~ 마산중부내륙고속도로와 지선 구간을 전부 합친 구간을 일컫는다. 기존의 본선을 지선화시킨 구마고속도로지선 (이현 나들목 ~ 팔달교)도 있었으나 1996년 7월에 고속도로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역사

구마고속도로 · 구마고속도로지선

  • 1976년 3월 19일 :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 ~ 경상남도 창원군 내서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7호선 대구 ~ 마산선으로 지정[3]
  • 1976년 6월 24일 : 내서 분기점 ~ 팔달교 구간 착공
  • 1977년 7월 29일 : 구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비산동 ~ 창원군 내서면 중리 84.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
  • 1977년 12월 16일 : 내서 분기점 ~ 팔달교 84.5km 구간 왕복 2차로 개통[5]
  • 1978년 6월 22일 : 기점을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에서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비산동'으로 변경함.[6]
  • 1978년 12월 26일 : 전 구간 유료화[7]
  • 1979년 3월 21일 : 칠서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청계리 200m 구간을 도로구역으로 결정, 화원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 설화동 220m 구간을 도로구역으로 결정[8]
  • 1981년 11월 7일 : 기점을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비산동'에서 '대구직할시 서구 비산동'으로, 종점을 '경상남도 창원군 내서면'에서 '경상남도 의창군 내서면'으로 변경함. 구마고속도로(구마선)으로 노선명 변경[9]
  • 1984년 6월 27일 : 옥포 분기점 개통
  • 1984년 6월 28일 : 이현 분기점 ~ 금호 분기점 간 2.1km 왕복 4차로 구간 개통[10], 동시에 이현 분기점 ~ 금호 분기점의 구간을 구마고속도로 본선으로 조정하고 이현 분기점 ~ 팔달교 간의 기존 구간이 고속국도 제7의2호선 구마고속도로지선으로 분리[11]
  • 1984년 7월 3일 : 고속도로 신규 편입으로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서구 이현동 2.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2]
  • 1985년 4월 8일 : 옥포 분기점 ~ 이현 분기점 구간 왕복 4차로 확장공사로 인해 대구직할시 서구 이현동 ~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 본리동 12.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1986년 12월 24일 : 옥포 분기점 ~ 이현 분기점 12.5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 1988년 4월 23일 : 논공공단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본리동 4.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1988년 7월 30일 : 현풍휴게소 (상행)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13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1988년 11월 10일 : 논공공단 나들목 개통[16]
  • 1988년 11월 19일 : 창녕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 대지면 3.2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1991년 8월 21일 : 남대구 나들목 평면교차로 개량을 위해 대구직할시 달서구 장기동 ~ 월성동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1991년 9월 7일 : 이현 분기점 개량을 위해 대구직할시 서구 이현동 ~ 상리동 1.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 1992년 4월 29일 : 종점을 '경상남도 의창군 내서면'에서 '경상남도 창원군 내서면'으로 변경[20]
  • 1992년 12월 31일 : 칠원 ~ 내서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 창원군 내서면 2.6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1]
  • 1994년 3월 24일 : 1995년 12월까지 화원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 설화리 ~ 간경리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1994년 6월 1일 : 구마고속도로지선 (이현 분기점 ~ 팔달교 교차로) 2.57km 구간 폐지[23]
  • 1995년 3월 14일 : 1995년 12월까지 달성 나들목 요금소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 송촌리 27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4]
  • 1995년 3월 24일 : 1995년 12월까지 창녕 나들목 요금소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직교리 1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5], 칠서휴게소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 750m 구간, 영산휴게소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신제리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마산시 회원구 내서면 구간 확장 및 칠원 요금소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오곡리 ~ 마산시 회원구 내서면 중리 2.83km 구간을 2.76km로 도로구역 변경[27]
  • 1995년 6월 1일 : 이현 나들목서대구 나들목으로, 대구 요금소가 서대구 요금소로 명칭 변경[28]
  • 1995년 11월 7일 : 창녕 나들목 ~ 옥포 분기점 구간 29.9km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및 현풍 나들목, 논공공단 나들목 이설 및 논공공단 나들목달성 나들목으로 변경
  • 1995년 12월 27일 : 내서 분기점 ~ 창녕 나들목 구간 34.4km 왕복 4차로 확장 개통[29]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으로, 종점을 '경상남도 마산시 내서면'에서 '경상남도 마산시 내서읍'으로 변경. 주변지역의 시가화로 인하여 고속국도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구마고속도로지선 노선 지정 폐지[30]
  • 1997년 8월 27일 : 종점을 '경상남도 마산시 내서읍'에서 '경상남도 마산시 회원구 내서읍'으로 변경[31]
  • 1999년 9월 16일 : 성서 나들목 ~ 서대구 나들목 2.42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개통[32]
  • 2000년 7월 7일 : 2004년까지 금호 분기점 ~ 서대구 나들목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 서구 상리동 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2001년 8월 25일 : 기존 내서 분기점 ~ 현풍 분기점 구간을 중부내륙고속도로로 이관하고 노선번호를 제7호에서 제451호로 변경[34]
  • 2003년 11월 27일 : 2007년까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 달성군 화원읍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암동 ~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4.86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5]
  • 2004년 5월 22일 : 2004년 12월까지 서대구 ~ 금호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 서구 상리동 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6]
  • 2005년 11월 1일 : 금호 방향 달성2터널 안에서 미사일 발사 추진체를 싣고 가던 화물차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사고 후 3일 동안 양방향 도로가 모두 불통된 일이 있었다.
  • 2005년 11월 14일 : 2007년까지 왕복 6, 8차로 확장 공사 및 신천대로 4차로 신설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 ~ 월암동 3.8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7]
  • 2006년 12월 5일 : 옥포 분기점 ~ 화원 요금소 왕복 10차로 확장 개통
  • 2007년 : 화원 요금소 ~ 성서 나들목 확장공사 착공
  • 2007년 6월 20일 : 성천로 도로 개설 공사로 인해 화원유원지 나들목 폐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구성

차로수
총 연장
  • 30km
제한속도
  • 전 구간 100km/h, 최저 50km/h

터널

자세한 정보 터널 이름, 소재지 ...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달성2터널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993m1995년대구 방면
969m현풍 방면
달성터널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565m1977년구 고속도로 구간
달성 나들목 진출입로
달성1터널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1,387m1995년대구 방면
1,362m현풍 방면
닫기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자세한 정보 번호, 이름 ...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직결
1 현풍 분기점 Hyeonpung JC - 0.00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국가산단북로
(국도 제5호선 (비슬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비슬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방향의 경우 중부내륙고속도로(양평방향) 진출 불가능
나들목 역할 병행
SA
1-1
현풍휴게소
북현풍
Hyeonpung SA
N.Hyeonpung
3.10 3.10 국도 제5호선 (비슬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비슬로)
양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금호방향 진입과 현풍방향 진출만 가능
2 달성 Dalseong 9.30 12.40 논공로·논공중앙로·논공중앙로52길 금호방향 진입과 현풍방향 진출만 가능
구 논공공단 나들목
3 옥포 분기점 Okpo JC 2.93 15.33 12호선 광주대구고속도로 금호방향의 경우 광주대구고속도로(광주방향) 진출 불가능
4 화원옥포 Hwawon-Okpo 1.82 17.15 국도 제5호선 (비슬로)
국도 제26호선 (비슬로)
비슬로468길
구 화원 나들목
5 화원유원지 Hwawon Resort 사문진로 금호방향 진입과 현풍방향 진출만 가능
2007년 6월 20일 폐쇄[54]
5 유천 Yucheon 2.95 20.10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달서대로)
성천로
달서구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금호방향 진입과 현풍방향 진출만 가능
6 남대구 S.Daegu 3.14 23.24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 (신천대로)
대구광역시도 제28호선 (구마로·성서공단로)
현풍방향 진입과 금호방향 진출만 가능
7 성서 Seongseo 1.68 24.92 국도 제30호선 (달구벌대로)
대구광역시도 제40호선 (달구벌대로)
2010년 6월 30일 고속도로 나들목 기능 폐지 및 신천대로의 나들목으로 격하
8 서대구 W.Daegu 4.86 28.10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 (신천대로)
대구광역시도 제54호선 (북비산로)
서구 금호방향 진입과 현풍방향 진출만 가능
구 이현 분기점
9 금호 분기점 Geumho JC 1.90 30.00 1호선 경부고속도로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북구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직결
닫기

주요 통과지

대구광역시

과거의 내서 분기점 ~ 화원 나들목 구간

아래 구간은 1995년 내서 분기점 ~ 옥포 분기점간 확장공사 이전의 것이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