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5호선
한반도 중부내륙에 세로지르는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5호선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수산리와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95km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한반도 국도 중 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다.
Remove ads
개요
안동시와 대구광역시 구간이 이른바 구안 국도라 불리며 왕복 4차선 도로로 새로 건설되어 경상북도의 주요 교통망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영주시 - 안동시 구간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중 과거 구마고속도로 구간과 중앙고속도로와 나란히 놓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 충청북도 단양군과 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와 횡성군·홍천군·춘천시 간의 이동 수요가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 원주에서 홍천으로 가는 대부분의 시외버스들은 5번 국도를 많이 이용한다. 대구에서 경상남도 창녕·창원 구간도 4차선으로 잘 단장되어 있다.
현재 이순신대교를 비롯한 거제시 ~ 창원시 구간 건설을 계획중이며, 예전 마산시 구간은 마산시청 앞이 시점이었으나 시점이 거제시로 바뀌고 창원시 통과구간이 이순신대교 ~ 현동교차로 ~ 쌀재터널 ~ 내서읍 중리로 변경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2일자로 기점이 다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되었다.
Remove ads
역사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5호선 마산 ~ 중강진선이 됨.[4]
- 1973년 4월 25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을 4.9 km 로 도로구역 변경[5]
- 1975년 2월 13일 :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 폐지[6]
- 1975년 10월 1일 : 원성군 신림면 금대리 총 20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70m 구간 폐지,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 ~ 단양군 매포면 평동리 총 700m 구간 개통 및 기존 810m 구간 폐지[7]
- 1976년 1월 12일 :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총 673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777m 구간 폐지[8]
- 1980년 2월 22일 : 춘성군 신동면 학곡리 ~ 동산면 원창리 1.0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5 km 구간 폐지[9]
- 1986년 9월 29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해 단양군 단양읍 북하리 ~ 상진리 11.6 km 구간 도로 수몰로 폐지[10]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단양군 매포읍 매포리 ~ 우덕리 구간 폐지[11]
- 1989년 3월 11일 :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2]
- 1992년 1월 17일 :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60m 구간 개통[13]
- 1996년 6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 제천시 중앙로1가 21.4 km 구간 개통, 기존 21.6 km 구간 폐지[14]
- 1997년 10월 15일 :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1.24 km 구간 개통, 기존 1 km 구간 폐지[15]
- 1998년 2월 7일 : 의성 ~ 안동간 도로(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옥동) 17.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수상동 5.47 km 구간 폐지[16]
- 1998년 5월 8일 : 단양군 단양읍 상진리 500m 구간 개통[17]
- 1999년 6월 30일 : 성산 ~ 유가간 도로(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 도의리) 1.65 km 구간 확장 개통[18]
- 1999년 8월 28일 : 춘천시 서면 오월리 700m 구간 및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 590m 구간 개통, 기존 구 오탄교 230m 구간 폐지[19]
- 2000년 1월 10일 : 영주시 안정면 내줄리 ~ 풍기읍 백리 7.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05 km 구간 폐지[20]
- 2000년 5월 22일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 문정동 1.8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1]
- 2000년 5월 31일 :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 ~ 가흥동 3.9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2]
- 2000년 6월 5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영주시 문수면 적동리 ~ 가흥동) 5.774 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0년 6월 15일 : 풍산 ~ 안동간 도로(안동시 옥동 ~ 당북동 (구)농고네거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0년 12월 31일 : 군위 ~ 의성간 도로(군위군 군위읍 서부리 ~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총 8.79 km 구간 확장 개통[25], 단양군 단양읍 증도리 ~ 매포읍 하괴리 5.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26],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54 km 구간 폐지[27]
-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입석리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19.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2 km 구간 폐지[28]
- 2001년 9월 20일 :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 1.54 km 구간 개통, 기존 750m 구간 폐지[29]
- 2001년 12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고양리 490m 구간 개통[30]
- 2002년 3월 15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900m 구간 개통[31]
- 2002년 4월 1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기존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1.2 km 구간 폐지[32]
- 2002년 5월 30일 :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33]
-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4]
- 2002년 11월 1일 : 평은 ~ 영주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오운리 ~ 문정동) 14.0 km 구간 확장 개통[35]
- 2002년 11월 :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신포리 2.0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71 km 구간 폐지[36]
- 2003년 1월 1일 : 성산 ~ 유가간 도로(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등지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8 km 구간 폐지[37]
- 2003년 1월 8일 : 화천군 화천읍 하리 ~ 상리 1.613 km 구간 및 화천터널 확장 개통, 기존 2.8 km 구간 폐지[38]
- 2003년 1월 10일 : 영산 ~ 창녕간 도로(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 창녕읍 퇴천리) 9 km 구간 확장 개통[39], 기존 5.5 km 구간 폐지[40]
- 2003년 1월 22일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 북방면 상화계리 12.56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9 km 구간 폐지[41]
- 2003년 12월 30일 : 창녕군 창녕읍 초막리 ~ 대지면 효정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42]
- 2004년 12월 29일 : 창녕 ~ 성산간 도로(창녕군 창녕읍 교리 ~ 대합면 등지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43] 및 기존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600m 구간 폐지[44]
- 2004년 12월 29일 : 칠원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이룡리) 9.94 km 구간 확장 개통.[45] 및 기존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 칠서면 계내리 11.9 km 구간 폐지[46]
- 2005년 9월 9일 : 현동 ~ 중리간 도로(마산시 현동 ~ 내서읍 중리) 11.0 km 구간 조기 개통[47]
- 2005년 10월 31일 :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8]
- 2005년 12월 21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 km 구간 폐지[49]
- 2005년 12월 24일 : 남지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서면 이룡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6.58 km 구간 확장 개통[50], 기존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7.51 km 구간 폐지[51]
- 2005년 12월 30일 : 마현 ~ 생창간 도로(철원군 근남면 풍암리 ~ 김화읍 읍내리) 5.565 km 구간 신설 개통[52]
- 2006년 2월 17일 :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2.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3][54]
- 2006년 9월 27일 :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550m 구간 개통[55]
- 2006년 11월 2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용부원리) 1.6 km 구간 확장 개통[56]
- 2006년 12월 19일 : 내서 ~ 중리간 도로(마산시 내서읍 중리 ~ 호계리) 2.928 km 구간 개통[57], 기존 마산시 자산동 ~ 내서읍 호계리 10.77 km 구간 폐지[58]
- 2007년 1월 18일 : 마산시 ~ 내서읍 호계리 구간을 해제하고 예곡동 현동 교차로 ~ 내서읍 경유 구간으로 노선 변경.[59]
- 2007년 2월 1일 : 신북 ~ 신죽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구간 2.5 km 확장 개통[60]
-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상남도 마산시 마산시청에서 거제시 연초면으로 변경됨. 이에 따라 노선명도 '마산 ~ 중강진선'에서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됨.[61]
- 2009년 12월 29일 : 안동 ~ 서후간 도로(안동시 송현동 ~ 서후면 이송천리) 6.05 km 구간 확장 개통[62] 및 기존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 400m 구간 폐지[63],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 북후면 도촌리) 2.8 km 구간 일부 확장 개통[64] 및 기존 구간 폐지[65]
- 2010년 9월 20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 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5.2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66], 기존 구간 폐지[67]
- 2010년 12월 22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 오운리) 1.875 km 구간 확장 개통[68]
- 2011년 5월 2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 ~ 장양간 도로(원주시 행구동 ~ 소초면 장양리) 9.6 km 구간 신설 개통[69]
- 2012년 1월 25일 :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 ~ 용산리 7.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70]
-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71]
-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관설동 ~ 소초면 장양리) 11.138 km 구간 폐지[72]
- 2014년 12월 2일 : 신북 ~ 용산간 도로(춘천시 동내면 학곡리 ~ 신북읍 용산리) 2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춘천시 관통 구간 폐지[73]
- 2015년 3월 5일 : 내서 ~ 칠원간 도로(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1.5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 km 구간 폐지[74]
- 2016년 1월 18일 : 화원 ~ 옥포간 도로(달성군 논공읍 상리 ~ 화원읍 성산리) 8.5 km 구간 확장 개통[75]
- 2016년 12월 28일 :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76], 기존 2.0 km 구간 폐지[77]
- 2017년 4월 13일 : 선형개량으로 인해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05m 구간 폐지[78]
- 2017년 11월 27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구성리) 총 2.2 km 구간 확장 개통[79][80]
- 2017년 12월 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단양읍 증도리) 6.56 km 구간 확장 개통[81]
- 2018년 11월 13일 :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 하시리 5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180m 구간 폐지[82]
- 2018년 12월 14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무기리) 2.1 km 구간 확장 개통[83][84], 기존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380m 구간 폐지[85]
- 2019년 9월 1일 : 거제 ~ 마산간 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난포리 ~ 석곡리) 5.1 km 구간 신설 개통[86]
- 2020년 1월 2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수정리 8.1 km 구간 폐지[87]
- 2020년 1월 17일 :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520m 구간 신설 개통[88], 기존 770m 구간 폐지[89]
- 2020년 8월 13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2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난포리) 3.8km 구간 신설 개통[90]
- 2020년 9월 29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석곡리 ~ 마산합포구 현동) 1.9km 구간 신설 개통[91]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수정리 ~ 마산합포구 덕동동 3.7km 구간 폐지[92]
- 2021년 2월 4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2.1km 구간 신설 개통[93],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 ~ 우산동 2.8km 구간 폐지[94]
-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 이에 따라 '거제 ~ 중강진선'에서 '통영 ~ 중강진선'으로 변경.[95]
- 2021년 7월 15일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 200m 구간 개량 개통[96] 및 기존 구간 폐지[97]
- 2024년 11월 19일: 치악재터널 관통[98]
- 2025년 7월 11일: 기점을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통영 ~ 중강진선'에서 '남해 ~ 중강진선'으로 변경.
Remove ads
주요 경유지
대한민국 구간
- 남해군 창선면 - 통영시 (사량면 · 산양읍 ·도남동 · 한산면) - 거제시 (동부면 · 거제면 · 상동동 · 고현동 · 양정동 · 수월동 · 연초면 · 하청면 · 장목면) -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 덕동동 · 현동 · 우산동 · 예곡동) - 마산회원구 내서읍) - 함안군 (칠원읍 · 칠서면 · 칠북면 · 칠서면) - 창녕군 (길곡면 · 도천면 · 영산면 · 계성면 · 장마면 · 창녕읍 · 대지면 · 대합면 · 성산면)
- 달성군 (구지면 · 유가읍 · 구지면 · 현풍읍 · 유가읍 · 현풍읍 · 논공읍 · 옥포읍 · 화원읍) - 달서구 (대곡동 · 진천동 · 상인동 · 송현동) - 남구 대명동 - 달서구 (성당동 · 두류동) - 서구 (내당동 · 평리동 · 비산동) - 북구 (팔달동 · 매천동 · 태전동 · 읍내동)
의성군 (봉양면 · 의성읍 · 단촌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수상동 · 옥동 · 태화동 · 옥동 · 송현동 · 이천동 · 서후면 · 북후면 · 서후면 · 북후면) - 영주시 (평은면 · 이산면 · 문수면 · 이산면 · 문수면 · 조암동 · 문정동 · 가흥동 · 장수면 · 상줄동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DMZ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 평강군 평강읍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경상남도
- 공사 구간 (2020년 완공 예정) : 신촌 교차로 ~ 송진 교차로 ~ 대봉산터널 (1585m) ~ 이순신대교(거마대교)
- 현재 해당 구간은 미개통이므로 다음의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 기존 구간 (2005년 이전 노선)
- 함안군 구성사거리 - 칠원삼거리 - 용산사거리 - 칠원입구삼거리 - 산성삼거리 - 무릉사거리 (칠서 나들목) - 천릉교 - 칠서공단 - 공단사거리 - 계내삼거리 - 이룡삼거리 - 남지대교
- 창녕군 남지대교 - 남지입구오거리 - 남지 나들목 - 송진삼거리 - 송진2구삼거리 - 도천면 - (현)죽사교차로 - 영산IC사거리 - 영산사거리 - 명리 - 계성리 - (현)신당교차로 - (현 구간과 중복) - (현)공설운동장삼거리 - 퇴천삼거리 - (현)낙영회전교차로 - 창녕터미널 - 오리정사거리 - 갈전삼거리 - (현 구간과 중복) - (현)등지교차로 - 면사무소앞(대합면사무소) - 성산중학교 - 성산우체국
- 달성군 한정교 - 한정3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남 지역)
- 기존 구간 (1996년 이전 노선)
- 두류공원네거리 - 성당시장네거리 - 내당네거리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북비산네거리 - 비산지하차도 - 원대네거리 - 고성로 - 팔달시장역 - 만평네거리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남 지역)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북 지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북 지역)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 기존 구간 (2000년 이전 노선)
-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원주시 관설 교차로 - 관설사거리 - 판부면사무소 - 단구초교사거리 - 단구사거리 - 단구동주민센터 - 동일사거리 - 원주중학교 - 도말사거리 - 원주고등학교 - 치악삼거리 - 남부시장사거리 - 원주교오거리 - 원주교 - 경찰서삼거리(원주경찰서) - 학봉정삼거리 - 태학교 - 태학교사거리 - 강변교 - 강변교삼거리 - 태장삼거리 - 태장교삼거리 - 태장교 - 가현삼거리 - 원주 나들목(원주IC 교차로) - 장양초등학교 - 태장농공단지삼거리 - 장양사거리 - 장양리
-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춘천시 학곡사거리 - 춘천종점 - 태백교 남단 - 거두사거리 - 석사초등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 석사사거리 - 강대삼거리(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 법원삼거리(춘천지방법원, 춘천지방검찰청) - 춘천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효자사거리 - 남부사거리 - 춘천문화예술회관 - 춘천우체국 - 봉의초등학교 - 운교사거리 - 중앙로터리(춘천시청) - 소양동주민센터 - 춘천농협 - 서부시장삼거리 - 번개시장사거리 - 호반사거리 - 소양2교 - 사우사거리 - 교육청사거리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 소양고등학교 - 육림랜드 - 춘천인형극장 - 인형극장사거리 - 신동초등학교 - 신동삼거리 - 102보충대 - 용산 교차로
Remove ads
도로명
- 경상남도
- 거제시 연초면 연초삼거리 ~ 장목면 구영리 : 거제북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심리 교차로 ~ 현동 분기점 : 구산중앙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분기점 ~ 현동 교차로 : 남해안대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교차로 ~ 창녕군 성산면 대견 교차로 북단 : 경남대로
- 대구광역시
- 달성군 구지면 대견 교차로 북단 ~ 한정1교 : 경남대로
- 달성군 구지면 한정1교 ~ 달서구 유천네거리 : 비슬로
- 달서구 유천네거리 ~ 남구 성당네거리 : 월배로
- 남구 성당네거리 ~ 두류공원네거리 : 성당로
- 남구 두류공원네거리 ~ 서구 두류네거리 : 두류공원로
- 서구 두류네거리 ~ 북구 만평네거리 : 서대구로
- 북구 만평네거리 ~ 팔달교 : 팔달로
- 북구 팔달교 ~ 동호치안센터 : 칠곡중앙대로
- 경상북도
- 충청북도
- 단양군 대강면 죽령 ~ 단양 나들목 : 죽령로
- 단양군 대강면 단양 나들목 ~ 제천시 신명동 고명 교차로 : 단양로
- 제천시 신명동 고명 교차로 ~ 봉양읍 장평삼거리 : 북부로
- 제천시 봉양읍 장평삼거리 ~ 학산리 : 제원로
- 강원특별자치도
-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 신림삼거리 : 제원로
- 원주시 신림면 신림삼거리 ~ 반곡관설동 관설 교차로 : 치악로
- 원주시 반곡관설동 관설 교차로 ~ 소초면 장양리 : 원주우회도로
-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 ~ 횡성군 횡성읍 성남초등학교 : 북원로
- 횡성군 횡성읍 성남초등학교 ~ 입석 나들목 : 횡성로
- 횡성군 횡성읍 입석 나들목 ~ 공근면 신촌 나들목 : 경강로
- 횡성군 공근면 신촌 나들목 ~ 춘천시 동내면 학곡사거리 : 영서로
- 춘천시 동내면 학곡사거리 ~ 신북읍 용산 교차로 : 순환대로
- 춘천시 신북읍 용산 교차로 ~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 : 영서로
-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 ~ 남방한계선 : 생창길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