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5호선

한반도 중부내륙에 세로지르는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도 제5호선
Remove ads

국도 제5호선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수산리와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95km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한반도 국도 중 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다.

간략 정보 일반 국도, 총연장 ...
Remove ads

개요

안동시대구광역시 구간이 이른바 구안 국도라 불리며 왕복 4차선 도로로 새로 건설되어 경상북도의 주요 교통망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영주시 - 안동시 구간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중 과거 구마고속도로 구간과 중앙고속도로와 나란히 놓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 충청북도 단양군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횡성군·홍천군·춘천시 간의 이동 수요가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 원주에서 홍천으로 가는 대부분의 시외버스들은 5번 국도를 많이 이용한다. 대구에서 경상남도 창녕·창원 구간도 4차선으로 잘 단장되어 있다.

현재 이순신대교를 비롯한 거제시 ~ 창원시 구간 건설을 계획중이며, 예전 마산시 구간은 마산시청 앞이 시점이었으나 시점이 거제시로 바뀌고 창원시 통과구간이 이순신대교 ~ 현동교차로 ~ 쌀재터널 ~ 내서읍 중리로 변경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2일자로 기점이 다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되었다.

Remove ads

역사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5호선 마산 ~ 중강진선이 됨.[4]
  • 1973년 4월 25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을 4.9 km 로 도로구역 변경[5]
  • 1975년 2월 13일 :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 폐지[6]
  • 1975년 10월 1일 : 원성군 신림면 금대리 총 20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70m 구간 폐지,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 ~ 단양군 매포면 평동리 총 700m 구간 개통 및 기존 810m 구간 폐지[7]
  • 1976년 1월 12일 :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총 673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777m 구간 폐지[8]
  • 1980년 2월 22일 : 춘성군 신동면 학곡리 ~ 동산면 원창리 1.0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5 km 구간 폐지[9]
  • 1986년 9월 29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해 단양군 단양읍 북하리 ~ 상진리 11.6 km 구간 도로 수몰로 폐지[10]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단양군 매포읍 매포리 ~ 우덕리 구간 폐지[11]
  • 1989년 3월 11일 :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2]
  • 1992년 1월 17일 :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60m 구간 개통[13]
  • 1996년 6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 제천시 중앙로1가 21.4 km 구간 개통, 기존 21.6 km 구간 폐지[14]
  • 1997년 10월 15일 :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1.24 km 구간 개통, 기존 1 km 구간 폐지[15]
  • 1998년 2월 7일 : 의성 ~ 안동간 도로(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옥동) 17.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수상동 5.47 km 구간 폐지[16]
  • 1998년 5월 8일 : 단양군 단양읍 상진리 500m 구간 개통[17]
  • 1999년 6월 30일 : 성산 ~ 유가간 도로(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 도의리) 1.65 km 구간 확장 개통[18]
  • 1999년 8월 28일 : 춘천시 서면 오월리 700m 구간 및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 590m 구간 개통, 기존 구 오탄교 230m 구간 폐지[19]
  • 2000년 1월 10일 : 영주시 안정면 내줄리 ~ 풍기읍 백리 7.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05 km 구간 폐지[20]
  • 2000년 5월 22일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 문정동 1.8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1]
  • 2000년 5월 31일 :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 ~ 가흥동 3.9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2]
  • 2000년 6월 5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영주시 문수면 적동리 ~ 가흥동) 5.774 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0년 6월 15일 : 풍산 ~ 안동간 도로(안동시 옥동 ~ 당북동 (구)농고네거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0년 12월 31일 : 군위 ~ 의성간 도로(군위군 군위읍 서부리 ~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총 8.79 km 구간 확장 개통[25], 단양군 단양읍 증도리 ~ 매포읍 하괴리 5.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26],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54 km 구간 폐지[27]
  •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입석리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19.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2 km 구간 폐지[28]
  • 2001년 9월 20일 :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 1.54 km 구간 개통, 기존 750m 구간 폐지[29]
  • 2001년 12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고양리 490m 구간 개통[30]
  • 2002년 3월 15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900m 구간 개통[31]
  • 2002년 4월 1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기존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1.2 km 구간 폐지[32]
  • 2002년 5월 30일 :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33]
  •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4]
  • 2002년 11월 1일 : 평은 ~ 영주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오운리 ~ 문정동) 14.0 km 구간 확장 개통[35]
  • 2002년 11월 :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신포리 2.0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71 km 구간 폐지[36]
  • 2003년 1월 1일 : 성산 ~ 유가간 도로(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등지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8 km 구간 폐지[37]
  • 2003년 1월 8일 : 화천군 화천읍 하리 ~ 상리 1.613 km 구간 및 화천터널 확장 개통, 기존 2.8 km 구간 폐지[38]
  • 2003년 1월 10일 : 영산 ~ 창녕간 도로(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 창녕읍 퇴천리) 9 km 구간 확장 개통[39], 기존 5.5 km 구간 폐지[40]
  • 2003년 1월 22일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 북방면 상화계리 12.56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9 km 구간 폐지[41]
  • 2003년 12월 30일 : 창녕군 창녕읍 초막리 ~ 대지면 효정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42]
  • 2004년 12월 29일 : 창녕 ~ 성산간 도로(창녕군 창녕읍 교리 ~ 대합면 등지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43] 및 기존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600m 구간 폐지[44]
  • 2004년 12월 29일 : 칠원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이룡리) 9.94 km 구간 확장 개통.[45] 및 기존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 칠서면 계내리 11.9 km 구간 폐지[46]
  • 2005년 9월 9일 : 현동 ~ 중리간 도로(마산시 현동 ~ 내서읍 중리) 11.0 km 구간 조기 개통[47]
  • 2005년 10월 31일 :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8]
  • 2005년 12월 21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 km 구간 폐지[49]
  • 2005년 12월 24일 : 남지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서면 이룡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6.58 km 구간 확장 개통[50], 기존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7.51 km 구간 폐지[51]
  • 2005년 12월 30일 : 마현 ~ 생창간 도로(철원군 근남면 풍암리 ~ 김화읍 읍내리) 5.565 km 구간 신설 개통[52]
  • 2006년 2월 17일 :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2.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3][54]
  • 2006년 9월 27일 :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550m 구간 개통[55]
  • 2006년 11월 2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용부원리) 1.6 km 구간 확장 개통[56]
  • 2006년 12월 19일 : 내서 ~ 중리간 도로(마산시 내서읍 중리 ~ 호계리) 2.928 km 구간 개통[57], 기존 마산시 자산동 ~ 내서읍 호계리 10.77 km 구간 폐지[58]
  • 2007년 1월 18일 : 마산시 ~ 내서읍 호계리 구간을 해제하고 예곡동 현동 교차로 ~ 내서읍 경유 구간으로 노선 변경.[59]
  • 2007년 2월 1일 : 신북 ~ 신죽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구간 2.5 km 확장 개통[60]
  •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상남도 마산시 마산시청에서 거제시 연초면으로 변경됨. 이에 따라 노선명도 '마산 ~ 중강진선'에서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됨.[61]
  • 2009년 12월 29일 : 안동 ~ 서후간 도로(안동시 송현동 ~ 서후면 이송천리) 6.05 km 구간 확장 개통[62] 및 기존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 400m 구간 폐지[63],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 북후면 도촌리) 2.8 km 구간 일부 확장 개통[64] 및 기존 구간 폐지[65]
  • 2010년 9월 20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 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5.2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66], 기존 구간 폐지[67]
  • 2010년 12월 22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 오운리) 1.875 km 구간 확장 개통[68]
  • 2011년 5월 2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 ~ 장양간 도로(원주시 행구동 ~ 소초면 장양리) 9.6 km 구간 신설 개통[69]
  • 2012년 1월 25일 :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 ~ 용산리 7.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70]
  •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71]
  •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관설동 ~ 소초면 장양리) 11.138 km 구간 폐지[72]
  • 2014년 12월 2일 : 신북 ~ 용산간 도로(춘천시 동내면 학곡리 ~ 신북읍 용산리) 2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춘천시 관통 구간 폐지[73]
  • 2015년 3월 5일 : 내서 ~ 칠원간 도로(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1.5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 km 구간 폐지[74]
  • 2016년 1월 18일 : 화원 ~ 옥포간 도로(달성군 논공읍 상리 ~ 화원읍 성산리) 8.5 km 구간 확장 개통[75]
  • 2016년 12월 28일 :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76], 기존 2.0 km 구간 폐지[77]
  • 2017년 4월 13일 : 선형개량으로 인해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05m 구간 폐지[78]
  • 2017년 11월 27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구성리) 총 2.2 km 구간 확장 개통[79][80]
  • 2017년 12월 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단양읍 증도리) 6.56 km 구간 확장 개통[81]
  • 2018년 11월 13일 :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 하시리 5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180m 구간 폐지[82]
  • 2018년 12월 14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무기리) 2.1 km 구간 확장 개통[83][84], 기존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380m 구간 폐지[85]
  • 2019년 9월 1일 : 거제 ~ 마산간 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난포리 ~ 석곡리) 5.1 km 구간 신설 개통[86]
  • 2020년 1월 2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수정리 8.1 km 구간 폐지[87]
  • 2020년 1월 17일 :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520m 구간 신설 개통[88], 기존 770m 구간 폐지[89]
  • 2020년 8월 13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2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난포리) 3.8km 구간 신설 개통[90]
  • 2020년 9월 29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석곡리 ~ 마산합포구 현동) 1.9km 구간 신설 개통[91]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수정리 ~ 마산합포구 덕동동 3.7km 구간 폐지[92]
  • 2021년 2월 4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2.1km 구간 신설 개통[93],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 ~ 우산동 2.8km 구간 폐지[94]
  •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 이에 따라 '거제 ~ 중강진선'에서 '통영 ~ 중강진선'으로 변경.[95]
  • 2021년 7월 15일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 200m 구간 개량 개통[96] 및 기존 구간 폐지[97]
  • 2024년 11월 19일: 치악재터널 관통[98]
  • 2025년 7월 11일: 기점을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통영 ~ 중강진선'에서 '남해 ~ 중강진선'으로 변경.
Remove ads

주요 경유지

대한민국 구간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 의성읍 · 단촌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수상동 · 옥동 · 태화동 · 옥동 · 송현동 · 이천동 · 서후면 · 북후면 · 서후면 · 북후면) - 영주시 (평은면 · 이산면 · 문수면 · 이산면 · 문수면 · 조암동 · 문정동 · 가흥동 · 장수면 · 상줄동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DMZ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강원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노선

경상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 공사 구간 (2020년 완공 예정) : 신촌 교차로 ~ 송진 교차로 ~ 대봉산터널 (1585m) ~ 이순신대교(거마대교)
    • 현재 해당 구간은 미개통이므로 다음의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 구산면 원전항 - 심리 - 상용호삼거리 - 준고개 - 난포삼거리 - 난포리 - 반동리 - 구남중학교 - 반동삼거리 - 반동초등학교 - 신촌삼거리 - 신촌교 - 옥계리 - 옥계삼거리 - 백령치 - 안녕삼거리 - 수정삼거리(지방도 제1002호선 분기) - 수정리 - 구남중학교 구산분교장 - 구산면 행정복지센터 - 구산초등학교 - 유산리 - 유산삼거리 - 유산교
      • 덕동동 덕동삼거리 - 덕동공영차고지
      • 현동 묘촌입구 - 현동초등학교 - 옥동교차로(국도 제2, 14, 77, 79호선 분기)
  • 기존 구간 (2005년 이전 노선)
    • 함안군 구성사거리 - 칠원삼거리 - 용산사거리 - 칠원입구삼거리 - 산성삼거리 - 무릉사거리 (칠서 나들목) - 천릉교 - 칠서공단 - 공단사거리 - 계내삼거리 - 이룡삼거리 - 남지대교
    • 창녕군 남지대교 - 남지입구오거리 - 남지 나들목 - 송진삼거리 - 송진2구삼거리 - 도천면 - (현)죽사교차로 - 영산IC사거리 - 영산사거리 - 명리 - 계성리 - (현)신당교차로 - (현 구간과 중복) - (현)공설운동장삼거리 - 퇴천삼거리 - (현)낙영회전교차로 - 창녕터미널 - 오리정사거리 - 갈전삼거리 - (현 구간과 중복) - (현)등지교차로 - 면사무소앞(대합면사무소) - 성산중학교 - 성산우체국
    • 달성군 한정교 - 한정3리
  • 기존 구간 (2007년 이전 노선) : 마산기점 - 서성광장사거리 - 마산부림시장 - NH농협마산지점 - 북마산가구거리 - 석전사거리 - 서마산IC사거리(서마산 나들목) - 회성동행정복지센터 - 내서초등학교 - 마재고개삼거리 - 두척육교 - 중리삼거리 - 호계농협
  • 기존 구간 (2015년 이전 노선) : 호계사거리 - 호계교 - 호계농협 - 예곡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남 지역)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1996년 이전 노선)
  • 두류공원네거리 - 성당시장네거리 - 내당네거리 - 반고개네거리 - 비산네거리 -북비산네거리 - 비산지하차도 - 원대네거리 - 고성로 - 팔달시장역 - 만평네거리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남 지역)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북 지역)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군위군 이북 지역)

Thumb
국도 제5호선 창원방향, 의성군 단촌면 경북대로 6235의 의성휴게식당/재랫재휴게소와 절개사면에 드러난 후평동층
Thumb
의성군 봉양면 도원삼거리
Thumb
의성군 봉양면안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충청북도

Thumb
죽령 정상과 휴게소
Thumb
단양군 단양읍 덕상리 덕상삼거리의 국도 제5호선과 안개 주의 표지판
Thumb
단양읍 상진리, 국도 제5호선 절개사면에 드러난 고생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대규모 습곡 구조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강원특별자치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2000년 이전 노선)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원주시 관설 교차로 - 관설사거리 - 판부면사무소 - 단구초교사거리 - 단구사거리 - 단구동주민센터 - 동일사거리 - 원주중학교 - 도말사거리 - 원주고등학교 - 치악삼거리 - 남부시장사거리 - 원주교오거리 - 원주교 - 경찰서삼거리(원주경찰서) - 학봉정삼거리 - 태학교 - 태학교사거리 - 강변교 - 강변교삼거리 - 태장삼거리 - 태장교삼거리 - 태장교 - 가현삼거리 - 원주 나들목(원주IC 교차로) - 장양초등학교 - 태장농공단지삼거리 - 장양사거리 - 장양리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Remove ads

도로명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자세한 정보 도로명, 시점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