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가 올림픽 위원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가 올림픽 위원회(프랑스어: Comité national olympique, 영어: National Olympic Committee, NOC)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올림픽의 각국 지회라고 할 수 있는 위원회이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하에 존속하며 각국의 올림픽 위원회가 자국의 올림픽 경기 참가 여부와 다음 올림픽이 열리는 곳을 선정할 때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위원회는 또한 각국의 감독과 선수들의 복지 사업 증진에도 힘써야할 어느 정도의 의무 사항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의 NOC 업무는 대한체육회에서 일임하고 있다.
Remove ads
현황
2015년 기준으로 206개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존재한다. 유엔 회원국 193개국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 그 외에 미승인 국가 3개국, 10개 속령이 별도의 올림픽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인 팔레스타인
- 중화민국(대만):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는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 코소보
-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 관계에 있는 쿡 제도[1]
-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 행정구인 홍콩
- 미국의 4개 속령: 아메리칸사모아, 괌,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영국의 3개 해외 영토: 버뮤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 네덜란드 왕국의 1개 구성국: 아루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2010년 10월 10일을 기해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되면서 소멸되었으며 새 자치령하에서는 올림픽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2][3]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모두 국가 올림픽 위원회 총연합회(Association of National Olympic Committees)에 가입되어 있으며 이는 5개 대륙으로 다시 구분되기도 한다.
Remove ads
가입일 순서
요약
관점
아래는 206개에 달하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가입을 승인받은 해를 명시한 것이다. 1894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가 출범한 이후이며 사실 상당수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설립 이전에 수립되었으므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 출범 이후에 받아들여졌다. 소련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와 같이 옛 나라는 명시되지 않았음을 참고해야 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