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원 원환면
및 그 쌍대 원환면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임의의 점
에 대하여,
위의 자명한 4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위의 평탄 접속

을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 임의의 점
에 대하여,
위의 자명한 4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위의 평탄 접속

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위의
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속의 접속
. 또한, 그 곡률은 반(半) 자기 쌍대이므로, 이는
양-밀스 순간자를 이룬다.
그렇다면, 남 변환은
를
위의 복소수 벡터 다발
및 그 속의 양-밀스 순간자
에 대응시킨다.
구체적으로, 각
에 대하여,
위의
차원 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위의 접속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에 대응되는 디랙 연산자

를 정의할 수 있다. 임의의
에 대하여 그 핵은 항상 0차원이며, 따라서 그 여핵은
위의 복소수 벡터 다발을 이룬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를 올로 하는 자명한 힐베르트 다발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정의에 따라 자연스러운 사영 사상

이 존재하며, 따라서
를
의 부분 벡터 다발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자명 벡터 다발
위의 자명한 접속으로부터
위의 자명한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로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