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신상옥 감독의 1959년 영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獨立協會와 靑年 李承晩, 영문 제목: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young Rhee Syng-Man)은 1959년 서울특별시에서 상영된 대한민국의 영화로, 대통령 이승만의 청년기 개화 관련 계몽운동사를 다루었다. 특히 기울어져 가는 대한제국(이조 말엽)의 국운을 차라리 바로잡기 위한 그의 개화 및 계몽 관련 투쟁사를 주요 및 중심으로 한 사극 전기물 작품(액션 대하 시대 사극물 드라마 장르)이었다.
Remove ads
제작 스태프
제작 및 개봉 장소
경기도 안양군의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으며 서울 시공관에서 1959년 11월 20일 첫 개봉되었고 같은 해 12월 5일 서울 명보극장에서 재차 개봉되었다.
출연진
- 아버지 이경선과 어머니 경주 김씨 부인(김말란)의 슬하 3남 2녀(5남매) 중 3남(셋째아들)이자 넷째.
- 고종 이형의 정실 본부인.
- 이승만의 누님.
- 고종 이형의 측실[2] 되는 상궁.
- 고종 이형의 측실[3] 되는 상궁.
- 고종 이형의 자형(흥선대원군(이하응)의 사위).
- 조경호의 사위(흥선대원군(이하응)의 외손녀사위).
- 미국에서 의과대학 객원교수 등으로 활약하다가 잠시 대한제국으로 귀환.
- 최남현 : 이경선 역
- 이승만의 아버지.
- 이승만의 어머니.
- 박노식 : 이도철 역
- 이승만의 옛 학우.
- 장일호 : 나기재 역
- 이승만의 옛 학우.
- 윤일봉 : 최정식 역
- 이승만의 옛 학우.
- 김석훈 : 이충구 역
- 이승만의 옛 학우.
- 이민 : 신긍우 역
- 이승만의 옛 학우.
- 이승만의 옛 학우.
- 최무룡 : 서상대 역
- 이승만의 옛 학우.
- 중전 민씨의 친정 13촌 조카 되는 이로, 을사늑약에 항거.
- 민영환(을사늑약에 항거한 순절지사)의 친갓댁 12촌 형.
- 주선태 : 미우라 고로(삼포오루) 역
- 황해 : 소 시게모치(종 중망) 역
- 양일민 : 이우에 히카리(정상 형) 역
- 조항 : 에모토 류타로(강본 용태랑) 역
- 성소민 : 이범진 역
- 노서아 접근 취지 세력의 일원으로 한때 친노서아파 세력들한테 이용된 관료 및 탈노서아주의자 출신.
- 이범진(노서아 접근 취지 세력 출신)의 친갓댁 6촌 재종제.
- 훗날 을사늑약의 핵심 세력 대표 괴수.
- 이완용(을사늑약 대표 핵심 수괴)의 친갓댁 배다른 서형.
- 전직 조선국 내각총리대신 역임한 관료[4] 출신.
- 김홍집 내각 시대의 전직 탁지부 대신.
기타
1960년 1월 1일자 동아일보의 영화평 보도에 의하면 연기자 5백여 명과 엑스트라 6만 명이 출연하였다 한다. 그밖에 특별히 외국인 연기자들이 초빙되기도 했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