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해중부선 (일제강점기)

조선철도가 소유했던 철도 노선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해중부선(東海中部線)은 조선총독부의 국유철도 노선이다. 지금의 대구선, 중앙본선, 동해본선으로 각각 분할되었다.

간략 정보 동해중부선, 기본 정보 ...
Remove ads

역사

본래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朝鮮輕便鐵道株式會社)가 부설한 사설경편철도노선으로, 1916년 1월에 경부본선 대구역에서 동해안의 포항에 이르는 구간과, 도중의 서악역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거쳐 동래에 이르는 구간과, 울산에서 분기하여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의 총 115mile(≒185.1km)의 부설 면허를 신청하여 2월 15일에 허가받았다. 1917년 2월에 대구에서부터 착공하여 12월에 대구 ~ 하양간이, 1918년에 하양 ~ 포항간이 개통하고, 1919년에 포항 ~ 학산간이 개통하였다. 동래 방면으로는 1918년에 서악 ~ 경주간이, 1919년에 경주 ~ 불국사간이, 1921년에 불국사 ~ 울산간이 개통하여 면허구간 중 총 92mile(≒148.1km)이 개통하였다.

조선중앙철도는 1923년에 조선철도주식회사에 합병되었고, 조선철도는 이 노선을 경동선(慶東線)이라고 불렀다. 1927년에 경주읍내구간이 이설되어 포항 방면과 울산 방면의 분기역이 경주역으로 변경되었다.

울산 ~ 동래간 및 울산 ~ 장생포간은 결국 개통되지 못하고, 조선총독부의 「조선철도12년계획」의 일환으로 매수되어 동해중부선으로 개칭하여 국유철도노선이 되었다. 표준궤로 개량하는 공사가 진행되어 1936년에 경주 ~ 울산간이, 1938년에 대구 ~ 영천간이, 1939년에 영천 ~ 경주간이, 1945년에 경주 ~ 포항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구 ~ 영천간은 대구선에, 영천 ~ 경주간은 경경남부선에, 경주 ~ 울산 및 경주 ~ 포항간은 동해남부선에 각각 편입되었고, 잔여구간인 포항 ~ 학산간은 폐지되었다.

Remove ads

연혁

Remove ads

운영

요약
관점

운행

열차는 기본적으로 증기기관차가 견인하는 여객/화물 혼합열차로 편성되고, 급행열차 없이 모든 열차가 각역에 정차하였다. 부정기 화물열차를 제외하면 울산에서 대구 방면으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는 단 한번도 없었으며, 대구 ~ 학산간(구포선)과 서악 ~ 울산간(울산선)은 별개의 노선처럼 운영하였다. 조선중앙철도가 운영하던 1922년 당시 1일 정기열차 운행횟수는 대구 ~ 영천간에는 5왕복, 영천 ~ 포항간 및 포항 ~ 학산간에는 4왕복, 서악 ~ 경주간에는 8왕복, 경주 ~ 울산간에는 3왕복이었다.

본래 구포선이 경주역을 경유하지 않은 이유는 대구에서 포항으로 가면서 경주읍내를 경유하면 형산강을 두번 건너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경주지역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서악 ~ 경주간 1개역을 왕복하는 구간열차를 편성해야 했고, 결국 1927년에 경주역에서 분기하도록 이설하였다.

조선중앙철도가 조선철도에 합병된 뒤에 처음으로 여객열차가 편성되어 대구 ~ 포항간을 1왕복 운행하였다. 1926년에 울산선이 4왕복으로 증편되었다.

국유화된 후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도입하면서 여객운송은 점차 동차로 교체되고 여객/화물 혼합열차의 편성은 사라졌다.

연락운송

1927년 당시 경동선은 아래의 운송사업자와 연락운송을 시행하였다.

  • 대구역 경유 조선총독부 철도국
  • 대구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부본선부관연락선 경유 일본 철도성
  • 대구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부본선 및 경의본선 경유 남만주철도선(화물)
  • 택산기선(澤山汽船), 조선우선(朝鮮郵船)의 항로(화물)
  • 대구시내 및 경주읍내버스
  • 대구 ~ 성주간 버스
  • 영천역 ~ 영천읍내간 버스
  • 포항 ~ 영덕 ~ 영양간 버스
  • 울산 ~ 부산, 동래 온천장, 방어진, 장생포간 버스

국유화된 후에는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연락운송규칙에 따라 전국의 교통사업자와의 연락운송을 시행하였다.

차량

아래의 목록은 조선철도가 보유했던 차량이다. 국유화된 후에도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도입한 것 외에는 기존의 차량을 계속 사용하였다.

  • 기관차
    • 탱크 6륜차 17톤 15량(운행용)
    • 탱크 4륜차 9톤 2량(입환용)
  • 객차
    • 보기 특등차 20인승 3량
    • 보기 특등차 12인승 1량
    • 보기 특등 10인/보통 12인 합동차 5량
    • 보기 보통차 24인승 40량
    • 보기 수하물/우편 합조차 5량
  • 화차
    • 유개 보기차 5톤 11량
    • 유개 4륜차 5톤 50량
    • 무개 4륜차 4톤 17량
    • 무개 4륜차 5톤 71량

역 목록

조선국유철도의 영업거리 단위가 마일(哩, mile)에서 킬로미터(粁, km)로 개정된 1930년 4월 1일 기준이다.

본선

전구간 경상북도에 소재한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 거리(km) ...

지선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km) ...
Remove ads

각주

Loading content...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