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광주고속도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무안광주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務安光州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2호선의 일부)는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국제공항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무안공항 ~ 운수 구간이 2002년에 착공하여 2007년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개통하였다. 본래 88올림픽고속도로의 일부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1월 3일에 노선번호를 공유하는 별개의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간략 정보 고속국도, 총연장 ...
닫기

역사

  • 2002년 12월 5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을 88올림픽고속도로로 연장 지정[1]
  • 2002년 12월 6일: 2007년 12월까지 무안 ~ 광주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41.6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 2005년 12월 9일: 5공구 구간 노선 변경으로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30.4km 구간 개통[4]
  • 2008년 1월 3일: 무안공항 나들목 ~ 운수 나들목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할되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5]
  • 2008년 5월 28일: 서광산 나들목을 제외한 나주 나들목 ~ 운수 나들목 10.95km 구간 개통[6]
  • 2008년 6월 13일: 2008년 12월까지 호남대학교 민원으로 인한 운수 나들목 일부 램프 연장 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 2009년 9월 29일: 서광산 나들목 개통[8]
  •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무안공항 나들목부터 운수 나들목까지 41.3km 구간을 무안광주고속도로로 고시[9]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종점을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으로 명시[10]

구성

차로수
  •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 연장
  • 41.35km
제한속도
  •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터널

자세한 정보 터널 이름, 소재지 ...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보평터널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937m2007년
함평나비터널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금곡리863m2007년광주 방면
860m무안 방면
문평1터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송산리300m2007년광주 방면
342m무안 방면
문평2터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343m2007년광주 방면
328m무안 방면
문평3터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260m2007년광주 방면
255m무안 방면
문평4터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계로리235m2007년광주 방면
202m무안 방면
문평5터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724m2007년광주 방면
690m무안 방면
노안터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국동리1,180m2007년광주 방면
1,190m무안 방면
어등산호남대터널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1,486m2008년
닫기

교량

  • 유압천교
  • 상주교천교
  • 목동교
  • 신촌천교
  • 동산교
  • 평산1교
  • 무안천교
  • 엄다천교
  • 수호교
  • 화양1교
  • 화양2교
  • 함평천교
  • 월산1교
  • 월산2교
  • 마산교
  • 학교천교
  • 백호교
  • 금곡교
  • 고막원천교
  • 송산교
  • 계로교
  • 대도2교
  • 국동교
  • 오정교
  • 양천2교
  • 계림교
  • 동산1교
  • 동산2교
  • 연산1교
  • 광산교
  • 황룡강교
  • 운수교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자세한 정보 번호, 이름 ...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1 무안공항 Muan Airport - 0.00 국도 제77호선 (공항로)
지방도 제815호선 (운해로)
전라남도 무안군 기점
2 무안공항 요금소 Muan Airport TG 국도 제24호선 (함장로·현해로)
국도 제77호선 (공항로·현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공항로)
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
북무안 N.Muan 4.65 4.65 무안방향 진출과 광주방향 진입만 가능
3 함평 분기점 Hampyeong JC 4.97 9.62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함평군
SA 함평나비휴게소 Hampyeong-Nabi SA 양방향
4 동함평 E.Hampyeong 6.02 15.64 국도 제1호선 (영산로)
국도 제23호선 (함영로)
국도 제24호선 (함장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영산로)
학동로
5 문평 Munpyeong 5.13 20.77 지방도 제825호선 (체암로) 나주시
6 나주 Naju 9.63 30.40 지방도 제822호선 (노안삼도로)
7 서광산 W.Gwangsan 4.38 34.78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빛가람장성로)
연산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TG 동광산 요금소 E.Gwangsan TG 본선요금소
8 운수 Unsu 6.57 41.35 국도 제13호선 (동곡로)
국도 제22호선 (어등대로)
무진대로
종점
무진대로와 직결
이후는 광주대구고속도로 참고
닫기
Thumb
무안공항 요금소

주요 통과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 광산구 (동산동 - 용곡동 - 용동 - 지죽동 - 서봉동 - 선암동 - 운수동)

교통량

2009년 기준의 교통량 정보[11]에 따르면 41.3km 전 구간 기준으로 12시간에 12,495대, 24시간에 16,146대가 통과한다. 구간별 최대치는 서광산 나들목에서 운수 나들목까지의 7.1km 구간에서 나타났으며, 24시간당 24,208대가 통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사항

  • 광주 부근의 운수 나들목을 지나고 나오는 터널의 이름이 어등산을 지나기 때문에 '어등산터널'로 하자는 광주광역시 측과 호남대학교 사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호남대터널'로 하자는 호남대학교측의 마찰로 인해 확정이 수년간 미뤄지다 결국 '어등산호남대터널'로 확정되었다.[12]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