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77호선

대한민국의 남해안과 서해안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도 제77호선
Remove ads

국도 제77호선 (부산 ~ 파주선)은 부산광역시 중구 옛시청 교차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자유 나들목까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한반도남해안서해안을 따라 "L"자형으로 이어지는 도로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국도이고, 미개통 구간이 많이 있다.

간략 정보 일반 국도, 총연장 ...

본래는 부산 ~ 인천선이라고 하여 인천광역시 동구까지였으나, 2008년 말에 자유로가 이 도로에 포함(국도 제77호선으로 승격)되면서 대한민국의 극북과 극서, 극남을 연결하는 간선도로가 되었다. 종점에서는 국도 제1호선과 연결 된다.

Remove ads

연혁

  • 2001년 8월 25일 : '부산 ~ 인천선'으로 국도 제77호선을 새로 신설함.[1]
  • 2001년 10월 15일 : 국도로 승격된 서천군 비인면 충청남도·전라북도계 ~ 아산시 인주면 충청남도·경기도계 207.8 km 구간 개통[2]
  • 2002년 2월 : 국도로 승격된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 37.72 km 구간 개통[3]
  • 2002년 4월 20일 : 안면대교(태안군 남면 신온리 ~ 안면읍 창기리) 6.54 km 구간 확장 개통[4], 기존 교량 구간 폐지[5]
  • 2005년 12월 14일 : 신지대교(완도군 신지면 송곡리(강독리) ~ 완도읍 가용리) 3.399km 구간 신설 개통[6]
  • 2005년 12월 30일 : 평택시 포승면 원정리 ~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7.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8 km 구간 폐지[7]
  • 2006년 8월 16일 : 망운 ~ 현경간 도로(무안군 망운면 목서리 ~ 현경면 외반리) 4.68km 구간 확장 개통[8]
  • 2006년 12월 22일 : 진산지구 도로(태안군 남면 진산리) 1.2 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400m 구간 폐지[9], 장곡지구 도로(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 중장리) 60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300m 구간 폐지[10], 중장지구 도로(태안군 안면읍 중장리) 1.02 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500m 구간 폐지[11]
  • 2008년 1월 28일 : 우정 ~ 장안 ~ 발안간 도로(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 멱우리) 4.4 km 구간 확장 개통[12]
  • 2008년 2월 1일 : 영전리 위험도로(해남군 북평면 영전리) 96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180m 구간 폐지[13], 칠곡리 위험도로(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1.358 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907m 구간 폐지[14]
  • 2008년 6월 19일 : 마창대교(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8.5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5]
  • 2008년 6월 30일 : 우정 ~ 장안 ~ 발안간 도로 준공으로 기존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 멱우리 6.76 km 구간 폐지[16]
  • 2008년 7월 1일 : 마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우산 ~ 귀곡간 도로 및 마창대교, 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10.47 km 구간 신설 개통[17]
  • 2008년 11월 17일 : 자유로 구간이 편입되어 종점이 인천광역시 동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노선명도 '부산 ~ 인천선'에서 '부산 ~ 파주선'으로 변경.[18]
  • 2009년 12월 22일 :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 ~ 화산동 7.0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시내 통과 4.7 km 구간 폐지[19]
  • 2008년 12월 30일 :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 2.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20]
  • 2009년 12월 30일 : 부안 변산우회도로(부안군 변산면 마포리 ~ 지서리) 2.8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 지서리 1.45 km 구간 폐지[21]
  • 2010년 12월 28일 :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 km 구간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 km 구간) 확장 개통[22]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 km 구간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 km 구간 폐지[23][24]
  • 2012년 2월 17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3.5 km 구간 임시 개통[25]
  • 2012년 4월 12일 : 여수시 둔덕동 ~ 돌산읍 우두리 구간 확장 개통[26][27]
  • 2012년 9월 27일 :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1.2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90m 구간 폐지[28]
  • 2012년 11월 30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6.56 km 구간 확장 개통[29],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 우산동 1.05 km 구간 폐지[30]
  • 2013년 5월 27일 : 여수 ~ 순천간 도로 및 우두 ~ 종화간 도로, 거북선대교 개통으로 인해 기존 여수시 둔덕동 ~ 돌산읍 우두리 11.0 km 구간 폐지[31]
  • 2013년 7월 1일 : 무안군 운남면 연리 ~ 망운면 목서리 9.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5 km 구간 폐지[32]
  • 2013년 9월 17일 : 압해 ~ 운남간 도로 및 김대중대교(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 무안군 운남면 연리) 5.2 km 구간 2013년 9월 23일까지 임시 개통[33]
  • 2013년 12월 2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창포리 3.84 km 구간 개량 개통[34]
  • 2013년 12월 27일 : 압해 ~ 운남간 도로(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 무안군 운남면 연리) 6.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1 km 구간 폐지[35][36]
  • 2014년 12월 26일 : 양화교 ~ 양화대교 남단 2.1 km 구간 자동차전용도로 해제[37]
  • 2015년 2월 10일 : 송정 ~ 마산간 도로 중 송정 교차로 ~ 목동 교차로(무안군 현경면 송정리) 2.2 km 구간 임시 개통[38]
  • 2015년 9월 24일 : 대산 ~ 석문 ~ 가곡간 도로(당진시 석문면 통정리 ~ 송산면 가곡리) 9.2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 km 구간 폐지[39]
  • 2015년 12월 22일 : 화태대교 및 돌산 ~ 화태간 도로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 ~ 남면 화태리) 3.78 km 구간 신설 개통[40]
  • 2016년 3월 25일 : 영광대교 및 홍농 ~ 백수간 도로(영광군 백수읍 구수리 ~ 홍농읍 칠곡리) 2.2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2.4 km 구간 폐지[41]
  • 2016년 12월 27일 : 팔영대교 및 적금 ~ 영남간 도로(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2.98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250m 구간 폐지[42]
  • 2016년 12월 30일 : 대산 ~ 석문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10.6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2.59 km 구간과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 통정리 4 km 구간 폐지[43], 원청 ~ 태안간 도로 1공구(태안군 남면 원청리 ~ 신장리) 7.1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남면 달산리 ~ 신장리 2.0 km 구간 폐지[44]
  • 2017년 2월 27일 : 고현 ~ 하동IC간 도로 3공구(남해군 고현면 도마리 ~ 오곡리) 800m 구간 확장 개통[45]
  • 2017년 6월 30일 : 원청 ~ 태안간 도로 2공구(태안군 남면 신장리 ~ 태안읍 장산리) 7.2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태안읍 남산리 500m 구간 폐지[46]
  • 2017년 7월 1일 : 남양 ~ 안산간 도로(화성시 남양읍 송림리 ~ 문호리) 4.42 km 구간 신설 개통[47]
  • 2017년 10월 27일 : 남양 ~ 안산간 도로(화성시 남양읍 문호리 문호 교차로 ~ 초지 교차로) 3.39 km 구간 신설 개통[48]
  • 2017년 11월 28일 : 신지 ~ 고금간 도로 및 장보고대교(완도군 고금면 상정리 ~ 신지면 송곡리) 3.537 km 구간 신설 개통 및 기존 완도군 고금면 상정리 총 1.365 km 구간 폐지[49]
  • 2018년 2월 9일 : 송정 ~ 마산간 도로 중 홀통 교차로 ~ 송정 교차로(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송정리) 6.5 km 구간 임시 개통[50]
  • 2018년 4월 23일 : 송정 ~ 마산간 도로(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외반리) 8.05 km 전 구간과 무안군 해제면 용학리 ~ 유월리 1.2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오류리 610m 구간과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평산리 8.8 km 구간 폐지[51]
  • 2018년 9월 20일 : 화산 ~ 평호간 도로(해남군 화산면 안호리 ~ 평호리) 1.8 km 구간 신설 개통[52]
  • 2018년 12월 27일 : 동백대교(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동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리) 3.185 km 구간 신설 개통[53]
  • 2019년 4월 19일 : 남양 ~ 안산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화성시 남양읍 송림리 ~ 신외리 5.9 km 구간 폐지[54]
  • 2019년 12월 18일 : 영광 ~ 해제간 도로 및 칠산대교(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9.52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55]
  • 2019년 12월 26일 : 보령 ~ 태안간 도로(보령시 오천면 원산도리 ~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6.3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1.1 km 구간 폐지[56], 염산 ~ 백수간 도로(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 백수읍 하사리) 6.0 km 구간 신설 개통[57]
  • 2019년 12월 31일 : 화양 ~ 적금간 도로 3공구(여수시 화정면 조발리 ~ 낭도리) 3.899 km 구간 신설 개통[58]
  • 2020년 1월 23일 : 설날 연휴인 1월 28일까지 화양 ~ 적금간 도로 2공구 및 화양대교(전남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 화정면 조발리) 2.04 km 구간 임시 개통[59], 설날 연휴인 1월 28일까지 화양 ~ 적금간 도로 4공구 및 적금대교(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 적금리) 3.648 km 구간 임시 개통[60], 설날 연휴인 1월 28일까지 화양 ~ 적금간 도로 1공구(전남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 장수리) 8.8 km 구간 임시 개통[61]
  • 2020년 1월 30일 : 화양 ~ 적금간 도로 4공구 및 적금대교(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 적금리) 3.648 km 구간 정식 신설 개통[62], 화양 ~ 적금간 도로 1공구(전남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 장수리) 8.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0.0 km 구간 폐지[63]
  • 2020년 2월 28일 : 화양 ~ 적금간 도로 2공구 및 화양대교(전남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 화정면 조발리) 2.047 km 구간 정식 신설 개통 및 기존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580m 구간 폐지[64]
  • 2020년 11월 30일 : 신온 ~ 창기간 도로(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 신온리) 1.6 km 구간 확장 개통[65], 국도 제23호선 강진 ~ 마량간 도로 개량 개통으로 인해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190m 구간 접속도로 신설 개통[66]
  • 2020년 12월 30일 : 장좌지구 위험도로(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1.02 km 구간 개량 개통[67], 기존 440m 구간 폐지[68], 장좌지구 위험도로2(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180m 구간 개량 개통[69], 기존 300m 구간 폐지[70]
  • 2021년 12월 1일 : 보령 ~ 태안간 도로(보령시 신흑동 ~ 오천면 원산도리) 8.2 km 구간 신설 개통[71]
  • 2021년 12월 22일 : 중현지구 위험도로(남해군 서면 노구리 ~ 정포리) 440m 구간 개량 개통[72], 기존 구간 폐지[73]
Remove ads

계획·공사 중인 도로

인천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는 897km의 대규모 해안국도 연결사업이 경기도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지방도로 분산돼 있던 도로가 일반국도로 승격되었다. 2008년서울특별시경기도 파주시를 잇는 자유로가 국도 77호선으로 편입됨에 따라 구간이 연장되었다.

경유지

부산광역시
  • 중구 (동광동1가 · 남포동) - 서구 (충무동 · 아미동 · 부민동 · 대신동) - 사하구 (괴정동 · 당리동 · 하단동) - 강서구 (명지동 · 녹산동 · 송정동)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Thumb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는 77호선(안면대로)
충청남도
경기도
인천광역시
  • 남동구 고잔동 - 연수구 (동춘동 · 옥련동) - 미추홀구 (학익동 · 용현동 · 숭의동) - 중구 (신흥동 · 신생동 · 사동 · 항동 · 해안동 · 항동 · 선린동 · 북성동2가 · 송월동2가 · 북성동1가) - 동구 (만석동 · 화수동 · 송현동 · 송림동) - 미추홀구 도화동 - 동구 송림동 - 서구 (가좌동 · 석남동 · 가정동) - 계양구 (효성동 · 작전동 · 서운동)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 강서구 (공항동 · 외발산동 · 내발산동 · 등촌동 · 염창동) - 영등포구 (양화동 · 당산동) - 마포구 (합정동 · 망원동 · 상암동)
경기도

노선

Thumb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부산광역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상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전라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 공사구간 (2023년 완공 예정) : 신장 교차로 ~ 복룡 교차로

전북특별자치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충청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2010년 이전 노선)
  • 보령시 남포삼거리 - 보령종합경기장 - 보령시보건소 - 보령요양원 - 명천삼거리 - 대천여객자동차 - 시청삼거리 - 대천4동주민센터 - 한내초등학교 - 보령고용복지센터 - 보령도서관 - 대천중학교 - 수청사거리 - 주공사거리 - 동대사거리 - 신설사거리 - 대천3동주민센터 - 화산 교차로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당진시 대호방조제 - 도비도 - 대호방조제 - 교로 교차로 - 삼봉사거리 - 통정리 - (단절) - 가곡 교차로

경기도 (인천광역시 이남)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 (2017년 이설 이전 노선)
    • 화성시 삼부실교차로 - 신외리 - 신외교차로

인천광역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기도 부천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서울특별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기도 (한강 이북)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Remove ads

주요 교량 및 터널

Remove ads

도로명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6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자세한 정보 도로명, 시점 ...
Remove ads

중앙버스전용차로

  • 2008년 7월 2일부터 부산에서는 최초로 낙동남로의 하단교차로 ~ 낙동강 하구둑 입구 구간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시범 실시되었으며, 동년 7월 14일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원리는 서울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같으나, 차이점은 서울과는 달리 평일 출ㆍ퇴근 시간에만 운영되며, 토ㆍ일ㆍ공휴일 및 평일의 다른 시간대에는 일반 차로로 운영된다.
  •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은 토·일·공휴일을 제외한 출근시간 (07:00 ~ 09:00)과 퇴근시간 (17:30 ~ 20:30)으로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 대중교통과 36인승 이상 대형 승합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하며 36인승 미만 16인승 이상 통학·통근용 승합차의 경우 부산지방경찰청의 지정을 받을 경우 전용차로 통행이 가능하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