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23호선
강진과 천안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23호선 (강진 ~ 천안선, 國道第二十三號 康津天安線)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동성사거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 천안 나들목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종점인 천안 나들목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과 직결된다.
Remove ads
역사
- 1967년 : 2급 국도 23호 목포 ~ 천안선으로 지정.[1]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3호선 목포 ~ 천안선이 됨.[2]
- 1973년 9월 8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논산군 논산읍 부창동 1.64km 구간을 논산군 논산읍 부창동 ~ 화지동 1.44km로 도로구역 변경[3]
- 1975년 10월 1일 : 익산군 함열면 남당리 ~ 김제군 백산면 홍사리 2.24km 구간 개통 및 기존 2.85km 구간 폐지[4]
- 1976년 12월 30일 : 김제군 김제읍 요촌리 ~ 교동리 1.194km 구간 개통 및 기존 1.2km 구간 폐지[5]
- 1980년 7월 31일 : 고창군 흥덕면 동사리 ~ 부안군 행안면 신기리 26.2km 구간 개통[6]
- 1981년 3월 14일 :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목포 ~ 천안선'에서 '마량 ~ 천안선'이 됨.[7]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변경된 94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8]
- 1981년 6월 24일 : 기점을 강진군 대구면에서 강진군 강진읍으로 변경해 23호 강진 ~ 천안선이 됨.[9]
- 1981년 8월 12일 :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변경된 49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10]
- 1981년 8월 17일 : 국도로 승격된 강진군 강진읍 동성리 ~ 장흥군 장흥읍 충렬리 66.35km 구간, 장흥군 장흥읍 건산리 ~ 나주군 영산포읍 산정리 50.65km 구간, 나주군 왕곡면 장산리 ~ 동강면 운산리 15.45km 구간, 함평군 학교읍 곡참리 ~ 사거리 4.9km 구간 개통[11]
- 1993년 1월 19일 : 함평우회도로 및 함평 ~ 장성간 도로(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 대덕리) 2.9km 구간 개통[12]
- 1999년 3월 31일 : 대덕우회도로(장흥군 대덕읍 잠두리 ~ 연지리) 3.14km 구간 개통[13]
- 1999년 7월 8일 : 성송우회도로(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 학천리) 3.16km 구간 개통, 기존 2.8km 구간 폐지[14]
- 1999년 12월 23일 : 공주시 정안면 화봉리 ~ 논산시 부창동 46.3km 구간 4차선 확장 개통.[15]
- 1999년 12월 28일 : 익산시 신용동 ~ 강경읍 시 경계 21.3km 구간 4차선 확장 개통.[16]
- 1999년 12월 31일 : 학교 ~ 함평간 도로(함평군 학교면 사거리 ~ 함평읍 기각리) 5.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17]
- 2000년 1월 10일 : 논산시 부창동 ~ 공주시 소학동 30.44km 구간 확장 개통[18]
- 2000년 4월 : 칠량우회도로(강진군 칠량면 영복리 ~ 장계리) 2.84km 구간 개통 및 기존 1.95km 구간 폐지[19]
- 2000년 11월 11일 : 공주시 소학동 ~ 정안면 화봉리 13.48km 구간 확장 개통[20]
- 2001년 1월 1일 : 신광우회도로(함평군 신광면 삼덕리 ~ 월암리) 1.77km 구간 개통, 기존 1.4km 구간 폐지[21]
- 2001년 1월 15일 : 장흥우회도로(장흥군 장흥읍 건산리 ~ 행원리) 1.54km 구간 개통, 기존 장흥읍 통과 구간 폐지[22]
- 2001년 4월 11일 : 관산우회도로(장흥군 관산읍 죽교리 ~ 옥당리) 2.5km 구간 개통, 기존 장흥군 용산면 녹원리 ~ 관산읍 옥당리 2.41km 구간 폐지[23]
- 2001년 11월 30일 : 공주시 정안면 화봉리 ~ 연기군 전의면 유천리 18.02km 구간 4차선 확장 개통[24][25]
- 2002년 5월 28일 : 김제 ~ 공덕 ~ 이리간 도로(김제시 공덕면 황산리 ~ 익산시 목천동) 7.2km 구간 확장 개통[26]
- 2002년 11월 : 김제 ~ 공덕간 도로(김제시 명덕동 ~ 교동, 김제시 서암동 ~ 공덕면 황산리) 10.4km 구간 확장 개통[27], 기존 7.2km 구간 폐지[28]
- 2003년 7월 14일 : 나주시 공산면 동촌리 ~ 상방리 3.33km 구간 확장 개통[29]
- 2004년 3월 22일 : 탐진댐 완공으로 장흥군 부산면 구룡리 ~ 유치면 반월리 14.14km 구간 이설 개통[30][31]
- 2004년 4월 1일 : 탐진댐 이설도로 개통으로 기존 장흥군 유치면 대리 ~ 신풍리 10.03km 구간 폐지[30]
- 2005년 6월 3일 : 익산시 오산면 영만리 ~ 함열읍 다송리 10.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2]
- 2006년 4월 24일 :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 진양리 4.0km 구간 부분 개통[33]
- 2006년 12월 29일 :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 신광면 계천리 10.03km 구간 확장 개통[34][35]
- 2008년 2월 1일 : 위험도로(함평군 학교면 곡창리 ~ 학교리) 1.52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1.04km 구간 폐지[36]
- 2010년 7월 20일 : 논산시 놀뫼대교 진입교량 개통[37]
- 2010년 12월 24일 : 세지우회도로(영암군 금정면 월평리 ~ 나주시 세지면 대산리) 4.9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8km 구간 폐지[38][39]
- 2014년 1월 29일 : 논산시 부창동 ~ 성동면 원봉리 920m 구간 확장 개통[40]
- 2015년 3월 27일 : 종점이 도로원점삼거리에서 천안 나들목으로 변경[41]
- 2015년 4월 13일 : 구 논산대교(논산시 대교동 ~ 광석면 산동리) 273m 구간 폐지[42]
- 2016년 3월 28일 : 장흥 용산우회도로(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 녹원리) 3.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장흥군 용산면 인암리 ~ 녹원리 3.2km 구간 폐지[43]
- 2016년 6월 10일 : 나주 ~ 동강간 도로(나주시 동강면 인동리 ~ 진천리, 나주시 동강면 월양리 ~ 공산면 동촌리, 나주시 공산면 상방리 ~ 동수동) 총 9.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나주시 동강면 인동리 ~ 동촌리 1.8km 구간과 나주시 공산면 상방리 ~ 동수동 6.4km 구간 폐지[44]
- 2016년 12월 21일 : 익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황등 ~ 오산 구간(익산시 오산면 영만리 ~ 함열읍 다송리) 10.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익산시 오산면 송학리 ~ 함열읍 다송리 11.8km 구간 폐지[45]
- 2017년 1월 2일 : 황등 ~ 오산간 도로 개통으로 익산시 오산면 송학리 ~ 함열읍 다송리 11.8km 구간을 익산시 오산면 영만리 ~ 함열읍 다송리 10.8km 구간으로 노선 지정 변경[46]
- 2017년 1월 18일 : 성송 ~ 고창간 도로(고창군 성송면 학천리 ~ 고창읍 덕산리) 6.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고창군 고수면 장두리 ~ 고창읍 덕산리 총 2.5km 구간 폐지[47]
- 2017년 8월 16일 : 영광 ~ 대산간 도로(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신하리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 10.1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녹사리 ~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춘산리 총 6.35km 구간 폐지[48]
- 2018년 7월 26일 : 용산 ~ 장흥간 도로(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 장흥읍 충열리) 5.73km 구간 확장 개통[49]
- 2018년 9월 17일 : 용산 ~ 장흥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 장흥읍 덕제리 총 4.5km 구간 폐지[50]
- 2020년 11월 30일 : 강진 ~ 마량간 도로(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 칠량면 영복리 5.9km 구간과 강진군 칠량면 현평리 ~ 마량면 마량리 12.6km) 총 18.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 대구면 구수리 총 2.57km 구간 폐지[51]
- 2021년 12월 22일 : 김제시 명덕동 ~ 흥사동 9.2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2]
- 2021년 12월 28일 : 김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흥사 ~ 연정간 도로(김제시 명덕동 ~ 흥사동) 10.32 km 구간 신설 개통[53]
- 2022년 10월 12일 : 대덕 ~ 용산간 도로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 용산면 어산리 10.1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장흥군 관산읍 삼산리 ~ 외동리 1.85 km 구간과 용산면 녹원리 340m 구간 폐지[54]
Remove ads
주요 경유지
- 강진군 (강진읍 · 군동면 · 칠량면 · 대구면 · 마량면) - 장흥군 (대덕읍 · 관산읍 · 용산면 · 장흥읍 · 부산면 · 유치면) - 영암군 금정면 - 나주시 (세지면 · 봉황면 · 세지면 · 대기동 · 부덕동 · 용산동 · 이창동 · 운곡동 · 왕곡면 · 운곡동 · 동수동 · 왕곡면 · 공산면 · 동강면) - 함평군 (학교면 · 함평읍 · 대동면 · 신광면) - 영광군 (불갑면 · 군서면 · 영광읍 · 묘량면 · 영광읍 · 대마면)
- 고창군 (대산면 · 성송면 · 고수면 · 고창읍 · 신림면 · 흥덕면) - 부안군 (줄포면 · 보안면 · 상서면 · 주산면 · 상서면 · 행안면 · 부안읍 · 동진면) - 김제시 (죽산면 · 명덕동 · 연정동 · 교동 · 갈공동 · 서암동 · 하동 · 흥사동 · 백산면 · 공덕면) - 익산시 (오산면 · 목천동 · 송학동 · 오산면 · 모현동 · 현영동 · 모현동 · 신용동 · 신동·신용동 · 황등면 · 함열읍 · 용안면 · 용동면 · 망성면)
Remove ads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전라남도
- 공사구간 (미착공) : 잣두 교차로 ~ 늑룡 교차로
전북특별자치도
- 공사구간 (2017년 완공 예정) : 고령교 ~ 고령 교차로 ~ 약산 교차로 ~ 오성 교차로 ~ 춘산 교차로
- 기존 구간 (2017년 이전 노선)
충청남도·세종특별자치시
Remove ads
도로명
- 강진군 강진읍 동성사거리 ~ 마량면 하분교 : 청자로
- 장흥군 대덕읍 하분교 ~ 유치면 반월리 : 장흥대로
- 영암군 금정면 연소리 ~ 나주시 영산동 외국어고앞 : 영나로
- 나주시 영산동 외국어고앞 ~ 이창동 이창동삼거리 : 금영로
- 나주시 이창동 이창동삼거리 ~ 왕곡면 장산사거리 : 예향로
- 나주시 왕곡면 장산사거리 ~ 동강면 동강교 : 나주서부로
- 함평군 학교면 동강교 ~ 영광군 영광읍 녹사 교차로 : 함영로
- 영광군 영광읍 녹사 교차로 ~ 신평 교차로 : 영광로
- 영광군 영광읍 신평 교차로 ~ 대마면 춘산 교차로 : 영대로
- 영광군 대마면 춘산 교차로 ~ 홍교리 : 고인돌대로
- 고창군 대산면 고령교 ~ 춘산 교차로 : 고인돌대로
- 고창군 대산면 상금리 ~ 흥덕면 제하사거리 : 고인돌대로
- 고창군 흥덕면 제하사거리 ~ 부안군 동진면 동진대교 : 부안로
- 김제시 죽산면 동진대교 ~ 교월동 연정 교차로 : 월죽로
- 김제시 교월동 연정 교차로 ~ 요촌동 흥사 교차로 : 아리랑로
- 김제시 요촌동 흥사 교차로 ~ 공덕면 목천대교 : 하공로
- 익산시 오산면 목천대교 ~ 오산면 송학 교차로 : 무왕로
- 익산시 오산면 송학 교차로 ~ 영만 교차로 : 군익로
- 익산시 오산면 영만 교차로 ~ 함열읍 다송 교차로 : 서부로
- 익산시 함열읍 다송 교차로 ~ 망성면 망성도정공장 : 익산대로
- 논산시 강경읍 망성도정공장 ~ 강경중학교앞 교차로 : 계백로
- 논산시 강경읍 강경중학교앞 교차로 ~ 채운면 삼거삼거리 : 강경로
- 논산시 채운면 삼거삼거리 ~ 부창동 화산사거리 : 계백로
- 논산시 부창동 화산사거리 ~ 놀뫼대교 밑 : 강변로
- 논산시 부창동 놀뫼대교 밑 ~ 상월면 월곡1교 : 득안대로
- 공주시 계룡면 월곡1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 교차로 : 차령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 교차로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천안 나들목 : 세종로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천안 나들목 ~ 동남구 천안로사거리 : 천안대로
- 천안시 동남구 천안로사거리 ~ 천안 나들목 : 만남로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건설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같이 보기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 천안에서 접속하여 서울까지 이어짐.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