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번뇌의 작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번뇌의 작용
Remove ads

번뇌(煩惱)는 마음동요를 일으켜 마음뇌란(惱亂: 요동시킴, 고요하지 못하게 함, 괴롭히고 혼란스럽게 함)시키는 마음작용이라고 정의된다. 이 정의에 따르면 번뇌의 주된 작용 또는 본질적 작용마음으로 하여금 고요한 상태, 즉, 적정(寂靜)의 상태에 있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1][2][3] 이러한 본질적인 작용에 바탕하여 부파불교대승불교의 논서들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번뇌의 작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

부파불교염오무지 · 불염오무지의 교의와 대승불교번뇌장 · 소지장2장(二障)의 교의에 따르면, 첫째, 번뇌열반장애하는 작용, 즉 이염(離染)을 장애하여 생사유전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둘째, 또는 지혜장애하는 작용, 특히 2장(二障)의 교의에 따르면 진여무분별지(보리)의 발현장애하는 작용을 한다. 2장(二障)의 교의에 따르면, 모든 번뇌는 이 2가지 작용을 동시에 한다.[4][5][6][7][8][9][10][11][12]

Remove ads

경론별 설명

구사론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세친의 《구사론》 제19권에 따르면, 현행하고 있는 번뇌 특히 근본번뇌는 다음의 10가지 작용을 한다.[13][14]

  1. 견근본(堅根本): 근본(根本)을 견고하게 한다. 즉, 번뇌, 즉 번뇌획득성취를 견고하게 한다.
  2. 입상속(立相續): 번뇌상속일으킨다.
  3. 치자전(治自田): 소의신[自田]을 번뇌를 일으키기에 적합한 상태로 만든다.
  4. 인등류(引等流): 등류(等流)인 수번뇌(隨煩惱)를 끌어오고 일으킨다.
  5. 발업유(發業有): 업유(業有)를 일으킨다. 즉 후유(後有)를 초래하는 일으킨다.
  6. 섭자구(攝自具): 자구(自具: 스스로의 원인)를 포섭한다. 즉 근본번뇌 자신의 자량이 되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를 포섭한다.
  7. 미소연(迷所緣): 바른 지혜[正慧]를 손상시켜 소연에 대해 미혹하게 한다.
  8. 도식류(導識流): (識)의 흐름을 인도한다. 즉, 후유소연에 대해 능히 속생(續生)의 일으키며 온갖 소연에 대해 염오식을 낳는다.
  9. 월선품(越善品): (善)을 어기게 한다.
  10. 광박의(廣縛義): 널리 속박하여 자계(自界)와 자지(自地), 즉 유정 각자의 현재의 (界)와 (地)를 초월하지 못하게 한다.

유가사지론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인 미륵의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번뇌는 셀 수 없이 많은 과환(過患)의 작용을 하는데, 그 가운데서 특히 다음을 들 수 있다.[15][16][17][18]

  1. 뇌란기심(惱亂其心): 가장 우선하는 작용으로, 유정마음뇌란(惱亂)시킨다.
  2. 발기전도(發起顛倒): 소연(所緣)에 대해서 전도(顚倒)를 일으킨다.
  3. 득견고(得堅固): 갖가지 수면(隨眠), 즉 번뇌종자가 견고해지게 한다.
  4. 등류전(等流轉): 등류(等流)의 유위법[行]을 상속시켜 전전[轉]하게 한다.
  5. 인자타구해(引自他俱害): 능히 자해(自害: 자신을 해침) · 타해(他害: 남을 해칭) · 구해(俱害: 자신과 남을 함께 해침)를 인기(引起)한다.
  6. 생현후구법죄(生現後俱法罪): 현법(現法: 현재세) · 후법(後法: 미래세) · 구법(俱法: 현재세와 미래세 모두)에서 (罪)가 생기게 한다.
  7. 수우고(受憂苦): 현법(現法: 현재세) · 후법(後法: 미래세) · 구법(俱法: 현재세와 미래세 모두)에서 (罪)로부터 생겨나는 마음근심[憂]과 괴로움[苦]을 받게 한다.
  8. 인대고(引大苦): (生) · (老) · (病) · (死) 등의 갖가지 커다란 괴로움을 능히 인기(引起)한다.
  9. 원열반락(遠涅槃樂): 열반의 즐거움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또한 그 상태가 계속되게 한다.
  10. 퇴실선법(退失善法): 뛰어난 선법(善法)이 퇴실(退失: 쇠퇴와 상실)되게 한다.
  11. 자재손실(資財損失): 성도(聖道)의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 즉 선근과 공덕)이 쇠손(衰損: 쇠하고 줄어듦)되고 산실(散失: 흩어져 상실됨)되게 한다.
  12. 부득무외(不得無畏): 대중[衆] 가운데 있을 때 무외(無畏)하는 상태가 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두려워하고[悚懼] 위의(威儀)가 없게 한다.
  13. 악명유포(惡名流布): 비루하고 악명(惡名)이 세상에 유포되게 한다.
  14. 소가훼(所訶毀): 항상 지혜로운 이[智者]들로부터 질책[訶毁]을 받게 한다.
  15. 임종우회(臨終憂悔): 임종할 때에 큰 근심[憂]과 후회[悔]가 생기게 한다.
  16. 타악취(墮惡趣): 몸이 무너지고 나서 나락가(那落迦: 지옥) 등의 갖가지 악취(惡趣)에 태어나게 한다.[19]
  17. 부증의리(不證義利): 자승의리(自勝義利), 즉, 스스로 뛰어난 의리(義利), 즉 본질적으로 뛰어난 (義: 복덕, 세간선)와 (利: 지혜, 출세간선)를 증득하지 못하게 한다.[20]

현양성교론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인 무착의 《현양성교론》 제1권에 따르면, 모든 번뇌, 즉 모든 근본번뇌수번뇌는 각자의 본질적 성질에 따른 개별적 · 특징적 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다음의 5가지 공통된 작용도 일으킨다.[21][22][23][24]

  1. 상대되는 (善)을 장애한다. 예를 들어 (貪)은 무탐(無貪)을 장애한다.
  2. 보리(菩提)의 증득을 위한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 즉 선근과 공덕)이 원만해지는 것을 장애한다.
  3. 자신과 남에게 손해를 입힌다[損害自他].
  4. 악도(惡道)에 떨어지게[趣] 한다.
  5. 해당 번뇌 자체를 증장시킨다. 예를 들어 (貪)은 (貪)을 증장시킨다.
Remove ads

같이 보기

Remove ads

참고 문헌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현양성교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1(16-1), T.1602(31-48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