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십이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오십이위
Remove ads

52위(五十二位)는 대승불교에서 보살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를 52가지로 나눈 것으로, 10신(十信) ·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廻向) · 10지(十地) · 등각(等覺) · 묘각(妙覺)을 말한다.[1][2][3]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보살 수행계위명칭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런 점에서 52위는 여러 보살 수행계위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 경전과 논서들 가운데 《보살영락본업경》에 52가지 계위들의 그룹 구분순서 그리고 각 계위의 명칭과 그 의미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전통적으로 대승불교권에서 널리 받아들여 통용하고 있다.[3]

한편, 《보살영락본업경》에 기술된 그대로의 52위의 명칭은 10심(十心) ·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향(十向) · 10지(十地) · 무구지(無垢地) · 묘각지(妙覺地)이다.[4][5][6][7] 그리고 무구지는 동일 경전의 다른 곳에서 입법계심(入法界心)이라고도 하고 있으며,[8][9] 묘각지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라고도 하고 있다.[10] 적멸심묘각지는 줄여서 적멸심(寂滅心)이라고도 한다.[11]

52위에서 10심10신을 제외한 나머지 42위42현성(四十二賢聖) · 본업영락(本業瓔珞) · 영락본업(瓔珞本業) 또는 간단히 줄여서 본업(本業)이라 하는데, 본업영락 · 영락본업 또는 본업은 《화엄경》 계통의 용어로[12]60권 화엄경》에서 설하는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廻向) · 10지(十地) · 등각(等覺)의 41위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13][14] 이러한 이유로 52위를 나열할 때, 전통적으로, 《보살영락본업경》에 나타난 계위의 수와 순서는 그대로 사용하지만 이들 가운데 41위의 명칭은 십회향(十廻向) · 등각(等覺) 등의 경우처럼 《화엄경》의 41위에 나타난 명칭을 사용하여 나열한다. 이것은 《화엄경》이 훨씬 더 권위가 있는 경전이기 때문일 것이다.

Remove ads

보살 수행계위와 52위

요약
관점

대승불교의 모든 경전과 논서에서 보살 수행계위의 수와 명칭이 일치하는 것은 이니어서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수가 적은 것에서 많은 것 순서로 나열하면 다음 목록의 수행계위 등이 있다.[3][15][16] 이들 가운데 《보살영락본업경》에서 10신(十信) ·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廻向) · 10지(十地) · 등각(等覺) · 묘각(妙覺)의 52위의 명칭과 뜻을 잘 정리하고 있어서, 전통적으로 대승불교권에서 널리 받아들여 통용하고 있다.[3]

Remove ads

용어

영락

현성

본업·영락본업·본업영락·42현성

52위

10신

10주

10행

10회향

10지

등각

묘각

참고 문헌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