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에서 베이불 분포(영어: Weibull distribution)은 연속 확률 분포의 하나이다. 발로디 베이불(스웨덴어: Waloddi Weibull)의 이름에서 따왔다. 입자의 분포를 다루는 경우 로신-램러 분포(Rosin-Rammler distribu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
간략 정보 확률 밀도 함수, 누적 분포 함수 ...
와이블 분포
확률 밀도 함수 |
 |
누적 분포 함수 |
 |
매개변수 |
,  |
지지집합 |
 |
확률 밀도 |
 |
누적 분포 |
 |
기댓값 |
 |
중앙값 |
 |
최빈값 |
 |
분산 |
![{\displaystyle \lambda ^{2}\left[\Gamma \left(1+{\frac {2}{k}}\right)-\left(\Gamma \left(1+{\frac {1}{k}}\right)\right)^{2}\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5fa6b5cdbe81bb9e6aa0452a2c619623cb23f14) |
비대칭도 |
 |
엔트로피 |
 |
적률생성함수 |
 |
특성함수 |
 |
닫기
베이불 분포는 유연하기 때문에 수명 데이터 분석에 자주 쓰이는데 정상분포나 지수분포같은 다른 통계적인 분포를 흉내낼수도 있다. 주로 산업현장에서 부품의 수명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고장날 확률이 시간이 지나면서 높아지는 경우와 줄어드는 경우와 일정한 경우 모두 추정 할 수 있다. 고장날 확률이 시간에 따라 일정한 경우는 지수분포와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