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베트남어 한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베트남어 한자
Remove ads

베트남어한자한뜨(베트남어: Hán tự / 漢字)라고 하며, 한자로 적힌 한문쯔뇨(베트남어: chữ Nho / 𡨸儒) 또는 쯔한(베트남어: chữ Hán / 𡨸漢)이라고 한다. 이것은 한자(베트남어: Hán tự한뜨 / 漢字)로만 쓰여져 있고 중국, 일본, 한국에서 사용되는 한자와 구별되지 않았다.

Thumb
한뜨, 쯔뇨/쯔한
자세한 정보 한자, 발달과정 ...

홍강 삼각주 지역이 한나라에 편입된 후 베트남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그러다 프랑스 선교사가 고안한 베트남어의 로마식 표기 꾸옥응으를 채택한 20세기 이후 베트남어에서는 공식적으로 한자가 사용되지 않는다.

Remove ads

용어

한자를 지칭하는 주요 베트남어 용어는 chữ Hán (𡨸漢)이다. 이는 '문자'를 의미하는 chữ와 '한(漢, 한나라를 지칭)'을 의미하는 Hán으로 이루어져 있다. chữ Hán의 다른 동의어로는 chữ Nho (𡨸儒 vi, 문자적으로는 '유교 문자')와 중국에서 직접 차용한 Hán tự[a] (漢字 vi)가 있다.

Chữ Nho는 팜 딘 호(Phạm Đình Hổ)의 수필 Vũ trung tùy bút (雨中隨筆 직역:'빗속의 수필')에서 처음 언급되었는데, 처음에는 한자를 쓰는 서예 양식을 묘사했다.[1]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용어는 진화하고 범위가 넓어져 결국 한자 전반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 의미는 문자가 유교 신봉자들에게 속한다는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후 레 왕조의 국가 이념으로 성리학이 부상하면서 더욱 분명해졌다.[2]

한문Hán văn (漢文 vi)과 văn ngôn (文言 vi)으로 불린다.[3]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Thumb
Lĩnh Nam chích quái (嶺南摭怪)는 쩐 테 팝(Trần Thế Pháp)이 chữ Hán으로 쓴 14세기 베트남 반(半)가상 작품이다.
Thumb
월남망국사 (越南亡國史)는 판보이쩌우가 일본에 있을 때 chữ Hán으로 쓴 베트남 서적이다. 당시 일본에 있던 중국 민족주의 혁명 학자 량치차오에 의해 출판되었다.

남월(베트남어: Nam Việt; chữ Hán: 南越) 정복 이후, 현대 베트남 북부 지역은 한나라교지군 (베트남어: Giao Chỉ; chữ Hán: 交趾)에 편입되었다. 이 시기 홍강 삼각주는 약 천 년 동안 중국의 직접적인 통치하에 있었다. 이 무렵, 한자는 베트남 북부에서 널리 퍼졌다. 정부 문서, 문학, 불경과 같은 종교 서적은 모두 한문(베트남어: Hán văn; chữ Hán: 漢文)으로 작성되었다.[4] 중국으로부터의 독립 이후에도 한문은 정부 문서나 문학 등 공식적인 필기 언어로 남아 있었다.[5] 모든 후속 왕조는 중국의 과거제 모델을 본떠 과거제를 만들었다. 학자들은 성리학에서 교훈을 얻어 그 가르침을 바탕으로 국가 법률을 시행했다. 유교의 확산은 한자의 확산을 의미했으며, 따라서 베트남어에서 한자를 지칭하는 이름은 chữ Nho (문자적으로는 '유교 문자'; 𡨸儒)라고 불렸다.[6] 학자들은 사서오경과 같은 중국 고전을 읽는 데 집중했다. 반면 베트남어 문학 (쯔놈으로 작성된)은 소수였다. 남국산하 (chữ Hán: 南國山河) 및 전기만록 (chữ Hán: 傳奇漫錄)과 같은 문학 작품은 한자로 작성되었다. 두 왕조를 제외한[b] 모든 새로운 왕조에서 한문과 한자는 계속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20세기까지 한자와 쯔놈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행정부는 유교 과거제를 폐지함으로써 베트남을 서구화하고 현대화하려 했다. 이 시기에는 행정에서 프랑스어가 사용되었다. 프랑스 관리들은 베트남어를 쯔 꾸옥 응으로 쓰는 것을 선호했다. 한자는 1975년까지 (베트남 공화국) 수업에서 계속 가르쳐졌지만, 베트남 전쟁 이후 베트남 교육훈련부가 편찬한 새로운 초등 교육 과정에 포함되지 못했다.[7]

Thumb
1765년 chữ Hán으로 작성된 베트남 칙령. 이는 Lệnh thư 서체를 사용한다.

오늘날에도 한자는 사찰과 오래된 건물들을 장식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chữ Hán은 이제 베트남의 문화적 측면과 함께 잊혀지고 있다. 베트남 축제 동안 서예가들은 번영과 장수를 기원하는 한자 대련을 쓴다. 서예에 능숙한 서예가들을 ông đồ라고 부른다.[8] 이는 부 딘 리엔(Vũ Đình Liên)의 시 "Ông đồ"에 특히 잘 나타나 있다. 이 시는 기간의 ông đồ와 베트남 서예의 예술이 더 이상 높이 평가되지 않는 현실을 이야기한다.[8]

Thumb
동안 chữ Hán으로 서예를 연습하는 베트남 서예가.
Remove ads

교육

요약
관점

팜 푹 짜이(Phạm Phục Trai, 范复齋)가 쓴 Khải đồng thuyết ước (啟童說約; 1853)의 서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9]

余童年,先君子從俗命之,先讀《三字經》及三皇諸史,次則讀經傳,習時舉業文字,求合場規,取青紫而已

Dư đồng niên, tiên quân tử tùng tục mệnh chi, tiên độc “Tam tự kinh” cập Tam Hoàng chư sử, thứ tắc độc kinh truyện, tập thì cử nghiệp văn tự, cầu hợp trường quy, thủ thanh tử nhi dĩ.

Tôi hồi tuổi nhỏ nghe các bậc quân tử đời trước theo lệ thường dạy mà dạy bảo, trước hết đọc Tam tự kinh và các sử đời Tam Hoàng, tiếp theo thì đọc kinh truyện, tập lối chữ nghĩa cử nghiệp thời thượng, sao cho hợp trường quy để được làm quan mà thôi.

나의 어린 시절, 어른들의 지시를 따르고 관습에 따라 먼저 "삼자경"과 삼황의 여러 역사를 공부했다. 그 후에는 고전과 그 주석을 탐독하며 서예와 글쓰기 기술을 연마하여 사회의 규칙에 순응하고 존경받는 지위를 얻고자 했다.

6~8세 정도의 아이들은 학교에서 chữ Hán을 배우기 시작했다.[10] 학생들은 Nhất thiên tự (一千字; '천자'), 삼천자 (三千字; '삼천자'), Ngũ thiên tự (五千字; '오천자'), 그리고 삼자경 (三字經)과 같은 책에서 한자를 배우기 시작했다.[10] 초급 교재에는 종종 쯔놈이 주석으로 달려 있었다.[11] Nhất thiên tự (一千字)와 같이, 이 책은 학생들이 베트남 문법에서 한문 문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2] 만약 학생들이 한자만 읽으면, 단어들은 세 글자와 네 글자의 번갈아 가며 운율을 이루겠지만, 쯔놈 주석과 함께 읽으면 베트남어 lục bát 운율을 이루게 된다. 이 책들은 학생들이 한문에서 더 긴 문장과 더 어려운 문법 구조를 포함하는 더 어려운 텍스트를 배우기 시작하는 기초를 제공했다. 학생들은 Sơ học vấn tân (𥘉學問津; '초등 학습 질문'), Ấu học ngũ ngôn thi (幼學五言詩; '다섯 글자 운율의 초등 학습'), Minh tâm bảo giám (明心寶鑑; '깨달음의 소중한 교훈'), 그리고 Minh Đạo gia huấn (明道家訓; '민다오의 교훈')과 같은 텍스트를 공부했다.[13] 이 책들은 한문을 읽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문장과 와 같은 핵심 유교 가치와 개념을 가르쳤다. Sơ học vấn tân (𥘉學問津)에는 중국 역사, 베트남 역사, 그리고 교육에 대한 조언으로 나뉜 세 부분으로 된 네 글자 구절이 있었다.[12]

Thumb
Thiên Nam tứ tự kinh (天南四字經)은 베트남의 역사를 아이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 책이다. (책의 모든 문장은 네 글자 구절로 되어 있다.)
Thumb
아이들에게 chữ Hán과 그에 상응하는 chữ Nôm을 가르치는 데 사용된 Tam thiên tự toản yếu (三千字纂要)의 첫 페이지.
Thumb
삼자경의 한 페이지, 이 버전은 특별히 Tam tự kinh lục bát diễn âm (三字經六八演音)이라고 불린다. 위에는 원문 한자가, 아래에는 베트남어 번역이 나와 있다.

1906년부터 1919년까지 시행된 개혁 과거제(khoa cử cải lương; 科舉改良) 기간 동안, 교육은 세 등급으로 나뉘었다. 학생들은 6세부터 한자를 배우기 시작했다. 첫 번째 학년은 ấu học (幼學) (6-12세), 다음은 tiểu học (小學) (27세 미만), 그리고 마지막으로 trung học (中學) (30세 미만)이었다.[14] 이 시기의 Đại học (大學)은 국립 학원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지칭했다.

Thumb
한문과 chữ Hán을 가르치는 데 베트남 공화국에서 사용된 교과서인 Hán-văn Giáo-khoa thư의 표지.

1950년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교육 개혁으로 chữ Hán과 쯔놈의 사용이 폐지되었다.[15] 한자는 1975년까지 베트남 공화국의 학교에서 계속 가르쳐졌다. 당시 사용된 교과서는 주로 식민지 시대 교과서에서 유래했다. 주요 교과서는 Hán-văn tân khóa bản (漢文新課本; 1973)과 Hán-văn giáo-khoa thư (漢文敎科書; 1965) 두 가지였다.[c][16] 학생들은 중등 학교에서 한자를 배우기 시작할 수 있었다. 한문과 한자를 다루는 부서는 Ban Hán-tự D라고 불렸다.[16] 학생들은 영어와 프랑스어와 같은 제2외국어를 배우거나 한문을 배우는 것을 선택할 수 있었다. 한문 시험은 주로 학생들이 한문을 베트남어로 번역하는 능력을 평가했다. 이 시험은 보통 약 2시간이 걸렸다.[16]

Remove ads

사용

이름

베트남에서는 많은 성과 도시의 이름이 한월어에서 유래했으며 한자로 쓰였다. 이는 역사적으로 정부 행정에서 이러한 이름을 기록할 방법이 필요했기 때문이며, 일부 토착 이름에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노이(河內)와 후에()와 같은 잘 알려진 장소도 한자로 쓰였다. 종종 마을은 베트남어로 한 단어 이름만 가졌다.

일부 한월어 이름은 원래 이름에서 번역되었는데, Tam Điệp Quan (三疊關)은 Đèo Ba Dội의 한월어 이름이다.

자세한 정보 한자, 한월어 이름 (tên Chữ) ...
Thumb
chữ Hán으로 쓰인 하노이의 한월어 이름, Hà Nội 河内.
Thumb
chữ Nôm으로 쓰인 하노이의 토착 베트남어 이름, Kẻ Chợ 仉𢄂.

베트남어의 거의 모든 성씨는 한월어이며, 한자로 쓰였다. 응우옌 (), 쩐 (), 레 (), 리 () 등과 같은 일반적인 성씨가 있다.[d]

Thumb
Ước Lễ 마을 문에는 여전히 한자로 장식된 것을 볼 수 있다. 한자들은 約禮門 (베트남어: Ước Lễ Môn)이라고 읽힌다.
Remove ads

한자의 독음

요약
관점
Thumb
한월어(왼쪽) 어휘와 표준 중국어 및 광둥어 발음, 그리고 토착 베트남어 어휘(오른쪽)의 비교.

한자의 채택 이전 중국어와의 역사적 접촉과 베트남어에 한자가 어떻게 적응되었는지로 인해, 하나의 한자에 여러 독음이 존재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한자는 일반적으로 한두 개의 발음을 가지지만, 어떤 한자는 최대 네 개 이상의 발음을 가질 수도 있다. 그 예로 hàng –이라는 한자는 hàng, hành, hãng, hạng, hạnh으로 읽을 수 있다.[17][e] 독음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문맥과 정의에 따라 달라진다. 상점이나 상품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hàng이라는 독음을 사용하지만, 덕목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hạnh이라는 독음을 사용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문맥과 합성어 덕분에 어떤 독음이 사용되는지 아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니었다. 대부분의 한월어는 합성어에만 국한되어 있다. chữ Hán의 독음은 종종 한월어 독음과 비한월어 독음으로 분류된다. 비한월어 독음은 상고한어와 17세기부터 20세기 동안 호아족이 베트남으로 이주하면서 최근에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들에서 유래한다.[18] 이러한 독음 중 대부분은 광둥 중국인들이 베트남에 음식을 도입하면서 음식과 관련된 것이었다. 마크 알베스(Mark Alves)에 따르면 상고한어에서 차용한 것들은 초기 한월어 발음이라고도 불린다.[19]

한월어 독음

한월어 독음은 일반적으로 âm Hán Việt (音漢越; 문자적으로 "한월어 음")이라고 불리며,[20][21][22][23] 중고 한어 한자의 베트남어 체계적 발음이다.[24] 이러한 독음은 당나라 (618–907) 말기에 베트남어로 대량 차용되었다. 베트남 학자들은 일관된 한자 발음을 도출하기 위해 운서를 사용했다.[25] 베트남이 독립을 되찾은 후, 통치자들은 중국 모델을 따라 나라를 건설하고자 했으며, 이 시기에 공식 정부 문서에는 한문이 사용되었다.[26] 이 무렵, 일본과 한국도 많은 한자를 자국어로 차용하고 일관된 발음을 도출했으며, 이 발음들을 통칭하여 한자문화권 언어의 한자음이라고 한다.[24]

자세한 정보 한자, 한월어 ...

비한월어 독음

비한월어 독음(âm phi Hán Việt; 音非漢越)[27][28][29]중고 한어에서 일관성 있게 파생되지 않은 발음이다.[30] 일반적으로 이러한 독음은 상고한어, 광둥어 및 기타 중국어 방언에서 유래한다.

자세한 정보 중국어 (상고한어 > 중고 한어), 초기 한월어 ...

쯔놈 독음

쯔놈 독음(âm Nôm; 音喃)[31][32][33]은 토착 베트남어 단어의 발음과 음성적으로 가까운 한자를 쯔놈 문자로 사용했다.[34] 베트남어 단어에 사용된 대부분의 chữ Hán 문자는 실제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와는 완전히 다를 수 있는 의미보다는 한월어 발음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자는 발음 사이의 혼란을 야기하는 chữ Hán 문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쯔놈 문자를 만드는 것이 선호되었기 때문에 chữ giả tá(가차 문자)라고 불렸다.[31]

자세한 정보 한자 및 표준 중국어 발음, 한월어 발음 ...
Remove ads

문자의 종류

chữ Hán은 육서라고 불리는 육서로 분류될 수 있다.[41] (六書, 중국어: liùshū). 이 문자는 강희자전에 의해 설정된 214부수를 기반으로 한다.[42]

  • Chữ chỉ sự (𡨸指事) – 표의문자; 예를 들어 (thượng, '') 및 (hạ, '아래')가 있다.[43]
  • Chữ tượng hình (𡨸象形) – 상형문자; 예를 들어 (nhật, '') 및 (mộc, '나무')가 있다.[44]
  • Chữ hình thanh (𡨸形聲) – 형성문자; 예를 들어 의미 부분인 [] (kim, '금속')과 음성 부분인 (đồng)으로 구성된 (đồng, '구리, 화폐')가 있다.[45][f]
  • Chữ hội ý (𡨸會意) – 회의문자; 예를 들어 (qua, '긴 자루 도끼')와 (chỉ, '발, 걷다')로 구성된 ( [], '군사, 무술')가 있다.[46]
  • Chữ chuyển chú (𡨸轉注) – 전주문자,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다른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 예를 들어 (lão, '늙은')는 (khảo, '노인')의 동족어이다.[47]
  • Chữ giả tá (𡨸假借) – 가차; 예를 들어 (Pháp, '프랑스')는 프랑스라는 이름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유럽 국가들도 chữ giả tá와 같이 (Đức, '독일') 및 (Ý, '이탈리아')로 지칭된다.[48]
Remove ads

이체자

Thumb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사용한 이 깃발은 전통적인 chữ đảng () 대신 간략화된 글자 (오른쪽 상단)을 사용한다. 사진에는 Đảng Cộng sản Đông Dương (党共産東洋; 인도차이나 공산당)이라고 쓰여 있다.

일부 chữ Hán 문자는 쓰기 쉽게 이체자로 간략화되었지만,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간체자와는 다르다. 찐 칵 마인(Trịnh Khắc Mạnh)에 따르면, 13세기 초 서적인 釋氏寶鼎行持秘旨全章 (Thích thị Bảo đỉnh hành trì bí chỉ toàn chương)을 분석한 결과, 베트남에서 만들어진 이체자의 수가 중국에서 차용한 이체자의 두 배에 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49] 이는 베트남어 이체자가 중국어 이체자 및 간체자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 la[g]라는 단어는 중국어에서는 로 간략화되지만, 베트남어에서는 𱺵 (⿱𪜀})로 다르다. 다른 이체자로는 𦉼 (⿱罒大)와 𪜀 (⿻十ㄣ)가 있다.
  • 또 다른 예로는 một이라는 글자가 중국어에서는 으로 간략화되었고, 에서 𱥺 (⿰𠬠)로, 최종적으로 𠬠 (⿱丷又)로 간략화되었다.
  • lạm이라는 글자는 중국어에서 으로 간략화되었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에서 으로, 다시 𪵯 (⿰𫜵)로, 그리고 𫜵 (⿴𰀪⺀)로 간략화되었다.[50]

간체자와 일치하는 일부 문자는 존재하지만, 이러한 문자는 베트남 문헌에서는 드물다.

𭓇 học (의 이체자; ⿳⿰〢⿻𰀪冖子) 및 𱻊 nghĩa (의 이체자; ⿱𦍌)와 같은 다른 이체자도 있다.[51]

또 다른 두드러진 예는 '붓다'를 의미하는 글자 의 일반적인 이체자인 글자 𫢋 phật (⿰亻天)이다. 이 글자는 nhân []과 thiên이라는 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합쳐 '천상의 사람'을 의미한다.[52][53]

Thumb
의 이체자인 𭓇
Thumb
의 이체자인 𱻊
Thumb
베트남어 글쓰기에서 𦰩는 상단에 와 함께 쓰인다. (⿰氵⿱龷⿻口夫)
Remove ads

기호

(chuỷ) 또는 문자는 현재 chữ Hán 문자가 반복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반복 부호로 자주 사용된다. 이는 첩어를 사용하는 단어에서 쓰인다. 예를 들어 시 Chinh phụ ngâm khúc (征婦吟曲)에서 (du) 문자는 시의 세 번째 줄에서 두 번 반복된다. 이는 悠悠 (du du)를 나타내기 위해 悠〻로 쓰인다.

Thumb
1660년의 비석으로, 그 위에는 Miễn tử tôn hành thiện thi (勉子孫行善詩)라는 시가 새겨져 있다. 여기에는 가 반복 부호로 사용되었다.
자세한 정보 쯔 꾸옥 응으 "한없이 아득한 푸른 하늘이여; 누가 그 원인을 만들었는가" ...

이 표지의 사용 방식은 중국어와 일본어가 반복 표지 를 사용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일본어는 를 반복 표지로 사용하므로, 예를 들어 人人 (hitobito)는 人々 (hitobito)로 쓰인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