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제 한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제 한자
Remove ads
Remove ads

한국제 한자(韓國製漢字), 한국 한자(韓國漢字), 한국 고유 한자(韓國固有漢字), 조선 한자(朝鮮漢字)는 한반도에서 만들어지거나 뜻이 더해진 한자로, 흔히 국자(國字)라 부른다. 현재까지 밝혀진 국자는 200자 가까이 되며, 이것보다 더 많을 수 있다.

Thumb
한국제 한자 보기: 이세돌(인명), 전답(논밭), 시댁, 대지
자세한 정보 한자, 발달과정 ...

한자는 회의나 형성의 방법으로 무한히 글자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일본이나 베트남에서도 자국에는 있고 중국에는 없는 개념이나 사물을 나타내려고 중국에서 쓰이지 않는 한자가 많이 만들어졌으며, 중국에서도 특정 지방에서만 쓰이는 방언자라는 것이 있다. 한국제 한자는 형성이나 회의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글자도 있지만, 한자의 뜻과 관계없이 고유어의 음절을 적기 위해 만들어진 음역자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음역자는 한자이면서 이두의 일부이기도 하다. 유학자, 사대부들은 중국에서 쓰지 않는 국산 한자를 속자라 하여 꺼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런 사상적 제약이 덜했던 이두 문서를 다루던 계층에서 만들어진 것이 많다.

한국제 한자를 비롯하여 비중국 한자권에서 만들어진 한자는 우연히 중국에서 이미 만들어진 글자와 같은 꼴인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우연히 겉모습만 닮은 것으로 뜻은 전혀 다르다. 한국제 한자는 그 독음이 고유어 음절을 적거나, 고유어에 바탕하여 만들어진 것이 많기 때문에 한자 꼴을 하고 있다 하더라도 한자어가 아니라, 어원상 고유어로 다루어야 하는 글자들이 많다.

Remove ads

제자 원리에 따른 분류

요약
관점

상형

자세한 정보 亇 㐃 ...

회의

자세한 정보 畓, 遤 ...

형성

자세한 정보 欌, 栍 ...

합체자

합체자는 홀로 쓰이는 두 글자를 모아 한 글자로 만든 것이다. 말하자면 쓰는데 간편하도록 줄여 쓴 것이다.

자세한 정보 巭, 夻 ...
Remove ads

인명 국자

인명 국자(人名國字) - 한자 가운데는 사람 이름을 적는 데만 쓰이는 인명 한자가 있는데, 글자 자체에 뜻을 담아 개인이 직접 인명 한자를 짓기도 했다. 현대에는 공적인 인명 정보가 컴퓨터로 처리되기 때문에 법으로 인명용 한자의 수를 제한해 놓고 있지만, 손 글씨가 기본이었던 예전에는 개인이 인명용 한자를 짓는 예도 있었다.

자세한 정보 𱘝 (⿰土灌), 㳓 ...
Remove ads

지명 국자

지명 국자(地名國字) - 한국 내에서만 쓰이는 지명용 한자이다.

자세한 정보 唟, 乫 ...

한국 정자

한국 정자(韓國正字) - 몇몇 한자는 한국 내에서는 정자로 쓰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속자로 다뤄져서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것이 있다.

자세한 정보 한국 정자, 정자 ...

한국 약자

한국 약자(韓國略字) - 정자체 이외의 약자 가운데 한국 문헌에서만 보이는 특수 자형이 있는데, 한자의 표준화 과정에서 비표준 문자로 다뤄져 제외되어 자전에 수록되어 있지 않거나 유니코드에는 없는 경우가 많다. 또 문헌 발굴에 따라서는 중국, 일본에도 같은 꼴의 글자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자세한 정보 한국 약자, 정자 ...

동형이자

동형이자(同形異字) - 한국제 한자가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쓰이는 한자와 글자꼴은 같되, 뜻이 다른 경우가 있다.

자세한 정보 篒, 筽 ...
Remove ads

국자 목록

유니코드에 없는 한자의 경우 파자하여 나타내었다. 한국에서만 쓰는 고유한 음도 표시하였다. 일부 글자나 음역자 및 구결자는 제외하였다.

  • 䪪(가), 艍(거), 迲(겁), 㤼(겁), 㥘(겁), 㐿(격), 碶(계), 侤(고), 𧀎(고), 蓇(골), 串(곶), 㹰(광), 櫷(귀), 怾(기), 厼(금)
  • 娚(남), 㭆(내)
  • 𩟐(달), 畓(답), 垈(대), 襨(대), 獤(돈), 堗(돌), 䢏(두), ⿱朩叱(듯)
  • 囕(람), 樑(량), 㚓(래), 㳣(로), 䭜(료)
  • 䲈(마), 㭐(말), 䰶(망), 䱩(망), 旀(며), 椧(명), 㒱(몽), 唜(말)
  • 㮽(반), 环(배), 𥵔(배), 苩(백), 浌(벌), 䃼(복), 㶱(본), 巭(부), 𦂹(비), 榌(비)
  • 橵(산), 乷(살), 虄(살), 栍(생), 閪(서), 㵛}}(선), 鐥(선), 縇(선), 䥹(설), 螦(소), 㸴(소), 稤(숙), (수), 㴍(승), 媤(시), 篒(식), 伩(신)
  • 厑(앳), 吔(야), 㳓(우), 䋅(우)
  • 啫(자), 橴(자), 欌(장), 硳(적), 猠(전), 䰳(정), 䆆(조), 䑸(종)
  • 橻(추)
  • 伲(탁), 太(태), 㭦(택), 㯑(탱)
  • 闏(팽), 䭏(편)
  • 夻(화), 㢿(후), 𣖔(후), 遤(휭)
  • 𢝿(음 미상)
Remove ads

음역자

해당 한글의 발음 또는 뜻을 가진 한자에 한글이나 한자로 받침을 쓰는 방식으로 표기를 한다. 대표적인 예가 돌(乭: 石+乙), 볼(乶: 甫+乙), 살(乷: 沙+乙) 등과 같은 글자들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이두에서 쓰는 표기로, 뿐(兺: 分+叱, 哛은 다른 글자임)이다. 음역자의 상당수는 이두에 사용된다.

음역자의 구성 원리

  • 발음이 초성으로 올 때는 ㄸ·ㅃ·ㅆ 모두 叱로 대치해서 쓴다.
  • 발음이 종성으로 올 때는 ㄱ은 ㄱ, ㄴ은 ㄴ, ㄹ은 乙이나 己(원래는 ㄹ으로 대치해야 하지만, 己가 ㄹ을 닮았으므로 대치해서 씀), ㅁ은 口(원래는 ㅁ으로 대치해야 하지만, 口가 ㅁ을 닮았으므로 대치해서 씀)이나 ㅁ, ㅂ은 邑이나 巴, ㅇ은 ㅇ으로, ㄷ으로 발음되는 ㅅ과 ㅈ은 叱로 대치해서 쓴다.
  • 뜻 자체를 음으로 나타낼 때는 그 음에 해당하는 문자를 붙여서 쓴다. 예를 들어, 乭(돌)은 을 의미하는 石에 ㄹ 받침을 나타내는 乙을 합쳐서 만든 것이며, 㐘(쌀) 역시 을 의미하는 米에 ㄹ 받침을 나타내는 乙을 합쳐서 만든 것이다.
Remove ads

한의

한의(韓義) - 한자는 이미 있는 글자이지만, 그 새김(뜻풀이)은 한국에서만 쓰이는 것을 뜻한다.

자세한 정보 頉, 串 ...

각주

Loading content...

같이 보기

Loading content...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