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별경심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별경심소(別境心所, 산스크리트어: viniyata-caitasa, 영어: object-determining mental factors)는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位]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 선심소(善心所: 11가지) ·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 ·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 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다.[1][2]
별경(別境)이라는 낱말은 '별도의 대상 또는 경계[에 대해 일어난다 또는 작용한다]' 또는 '특정 대상 또는 경계[에 대해 일어난다 또는 작용한다]'라는 뜻으로 '두루 작용한다'는 뜻의 '변행(遍行)'의 반대말이다.[3][4] 별경심소는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특정한 대상 또는 경계에 대해서 일어날 때만 그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더불어 함께 일어날 수 있는 마음작용(심소법)들을 말한다.[5][6]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다음의 5가지 마음작용이 별경심소를 구성한다.[5][6][7] 이들 5가지 마음작용을 통칭하여 5별경(五別境)이라고도 한다.[3][8]
- 욕(欲): (예를 들어, 출세간의 선법(善法)을) 원함, 욕구, 희망[9][10][11]
산스크리트어: chanda, 영어: desire (to act)
선욕(善欲)은 근(勤, 精進)의 마음작용의 소의가 됨[9][10][11]
악욕(惡欲)들 중에서 타인의 재물(財物: 돈이나 그 밖의 값나가는 모든 물건[12]), 즉 돈 등의 재화나 공적, 명예 또는 지식을 빼앗거나 가로채거나 도용함으로써 자기 것으로 할려는 욕구[欲: 원함, 희망], 즉 불변의 원인과 결과의 법칙에 스스로를 상응시키는 바른 노력(정정진) 없이 쉽게 얻으려는 욕구[欲: 원함, 희망]가 곧, 불선근이자 근본번뇌 중의 하나인, 탐(貪)의 마음작용임[13] - 승해(勝解): (원하는 바를) 살핌, 결정, 선택, 결정하여 선택한 것을 변함없이 지킴, 결정하여 선택한 것이 전변하지 않게 함[14][15][16]
산스크리트어: adhimokṣa, 영어: decision - 염(念): (선택한 바를) 기억, 명기(明記: 분명히 기억함), 지속적인 알아차림, 마음챙김, 정(定, 三摩地, 等持)의 소의가 됨[17][18][19]
산스크리트어: smṛti, 영어: mindfulness - 정(定, 三摩地, 等持): (염(念)을 바탕으로) 집중, 선정, 삼매, 지(止)[20][21][22]
산스크리트어: samādhi, 영어: concentration
정(定)의 마음작용은 개별 의(疑, 의심)를 끊는 결택지(決擇智)라는 무루(無漏)의 혜(慧, 지혜)가 문득 생겨나게 남, 정(定)의 마음작용은 그 극치에서는 모든 의(疑, 의심)를 끊는 결택지(決擇智)가 생겨나게 하고 이로써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함[20][21][22][23][24][25] - 혜(慧): (정(定)을 바탕으로) 간택(簡擇), 택법(擇法), 이해, 분별, 식별, 지혜, 반야, 관(觀), 의(疑, 의심)를 끊음, 사(事)와 이(理)에 통달함[26][27][28]
산스크리트어: prajñā, 영어: wisdom
한편, 이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들과 변행심소(遍行心所)의 5가지 마음작용들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는 대지법(大地法: 10가지)에 속한다.[6]
Remove ads
성격
요약
관점
유식학에서 마음작용의 5종류, 즉 변행심소, 별경심소, 선심소, 번뇌심소와 수번뇌심소를 합한 잡염심소, 부정심소의 차이를 판별할 때 사용하는 가늠자인 일체성(一切性) · 일체지(一切地) · 일체시(一切時) · 일체구(一切俱)의 4일체(四一切)에 비추어보면, 별경심소에 속한 욕(欲, chanda) · 승해(勝解, adhimoksa) · 염(念, smrti) · 정(定, 三摩地, samādhi) · 혜(慧, prajñā)의 5가지 마음작용들은 일체성과 일체지의 뜻은 충족하지만 일체시와 일체구의 뜻은 충족하지 못한다.[5][6][29][30]
즉,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들은 선 · 불선 · 무기의 3성(三性)에 통하기 때문에 일체성(一切性)의 뜻을 충족한다. 그리고, 3계 내의 모든 상태, 즉 3계9지(三界九地)의 모든 지(地)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일체지(一切地)의 뜻을 충족한다.[6][31]
일체시(一切時)에 대해서는, 유식학에서는, 예를 들어, 승해(勝解, adhimoksa)의 마음작용은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결정(決定)을 내려야 할 대상 또는 결정된 대상[決定境]을 만날 때 일어나지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도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32][15] 이와 같은 이유로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들은 일체시(一切時)의 뜻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 견해는 설일체유부와는 다른 견해이다. 유식학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의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들 모두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는 유식학의 변행심소(遍行心所)에 해당하는 대지법(大地法)에 속해 있다. 즉, 설일체유부는 욕(欲) · 승해(勝解) · 염(念) · 정(定, 三摩地) · 혜(慧)의 5가지 마음작용들도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일어날 때면 언제나[一切時] 그 마음과 상응하여 함께 일어나는 것으로 본다.
일체구(一切俱)의 정의는 특정 그룹에 속한 마음작용들이 모두 동시(同時)에 즉 같은 찰나(刹那)에 함께 일어난다는 것이다.[33] 유식학에서는 욕(欲) · 승해(勝解) · 염(念) · 정(定, 三摩地) · 혜(慧)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있는데, 이들 5가지 마음작용들 모두가 동시에 즉 같은 찰나에 함께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즉, 욕(欲)이 일어날 때 나머지 4가지의 승해(勝解) · 염(念) · 정(定, 三摩地) · 혜(慧)가 욕(欲)과 더불어 동시에 즉 같은 찰나에 함께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이 견해도 일체시(一切時)에 대한 견해처럼 설일체유부와는 다른 견해이다.
Remove ads
별경의 의미
'별도의 대상 또는 경계에 대해 일어난다'라는 별경(別境)의 뜻에서 위의 5가지 마음작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5][6]
- 인연 또는 쌓은 원인에 따라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즐거운 대상 또는 좋아하게 된 대상[所樂境]을 만날 때면 욕(欲, chanda)의 마음작용이 그 마음과 상응하여 함께 일어난다.
- 인연 또는 쌓은 원인에 따라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결정을 내려야 할 대상 또는 결정된 대상[決定境]을 만날 때면 승해(勝解, adhimoksa)의 마음작용이 그 마음과 상응하여 함께 일어난다.
- 인연 또는 쌓은 원인에 따라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이미 만났던 적이 있는 대상 또는 예전에 익힌 대상[串習境, 曾習境]을 만날 때면 염(念, 기억, smrti)의 마음작용이 그 마음과 상응하여 함께 일어난다.
- 인연 또는 쌓은 원인에 따라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관(觀: 관찰, 명상)을 행할 대상[觀察境, 所觀境]을 만날 때면 정(定, 三摩地, samādhi)과 혜(慧, prajñā)의 2가지 마음작용이 그 마음과 상응하여 함께 일어난다.
정(定, 三摩地)과 혜(慧)의 2가지 마음작용은 동일한 종류의 대상 또는 경계에 대해 일어나므로 '별경(別境)'의 뜻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하지만, 총 5가지 중 이들 2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즉 욕 · 승해 · 염이 '별경(別境)'의 뜻을 충족하므로 다수를 따라 이들 5가지 마음작용들의 그룹명을 별경심소라고 이름한 것이다.[6] 즉, 유식학에서 마음작용의 5종류, 즉 변행심소, 별경심소, 선심소, 번뇌심소와 수번뇌심소를 합한 잡염심소, 부정심소의 차이를 판별할 때 사용하는 가늠자인 4일체(四一切)에 비추어 볼 때, 욕 · 승해 · 염 · 정 · 혜의 5가지 마음작용들을 모두 일체성(一切性)과 일체지(一切地)의 뜻은 충족하지만 일체시(一切時)와 일체구(一切俱)의 뜻은 충족하지 못하므로 일단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것이 타당한 것이다. 다만 명칭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는데, 다수의 성격에 따라 별경심소(別境心所)라고 이름한 것이다.
Remove ads
8식과의 상응 관계
8식(八識), 즉 아뢰야식, 말나식, 의식, 그리고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의 5식과 변행심소의 상응(相應) 관계는 다음과 같다.[34][35][36]
- 아뢰야식은 별경심소의 어느 마음작용들과도 아뢰야식의 모든 지위(특히, 뢰야3위)에서 상응하지는 않는다.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은 아뢰야식의 지위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 말나식은 별경심소의 어느 마음작용들과도 말나식의 모든 지위에서 상응하지는 않는다.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은 말나식의 지위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 제6의식은 별경심소의 모든 마음작용들과 항상 상응한다. 즉,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은 제6의식의 모든 지위에서 일어난다.
- 5식은 별경심소의 모든 마음작용들과 상응한다. 하지만, 자재하지 못한 지위에서는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이 어느 때는 없기도 한다. 자재함을 얻은 때에는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이 반드시 있다.
5수와의 상응 관계
안혜의 견해에 따르면,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과 5수(五受)와의 상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37][38]
욕(欲)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사수(捨受) |
승해(勝解)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염(念)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정(定, 三摩地, 等持)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혜(慧)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호법의 견해에 따르면, 별경심소의 5가지 마음작용과 5수(五受)와의 상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모두 5수와 상응한다.[37][38]
욕(欲) | 고수(苦受)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승해(勝解) | 고수(苦受)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염(念) | 고수(苦受)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정(定, 三摩地, 等持) | 고수(苦受)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혜(慧) | 고수(苦受) · 낙수(樂受) · 희수(喜受) · 우수(憂受) · 사수(捨受) |
Remove ads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4,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