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잡염(雜染, 산스크리트어: saṃkleśa)은 악(惡)한 마음작용과 유부무기(有覆無記)의 마음작용을 통칭하는 말이다.[1][2][3]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용법과는 달리 《성유식론술기》 제2권말에서는 잡염을 유루선 · 악 · 무기의 3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 즉, 유루법의 의미로 사용하고, 염이라는 말만을 번뇌(악과 유부무기)의 뜻으로 사용한다.[2] 《성유식론술기》가 유식학의 중요 논서인 《성유식론》의 1차적으로 중요한 주석서이기 때문에 유식학 계통의 고대와 현대의 글에서 《성유식론술기》의 용법을 따라 잡염 또는 잡염법을 유루선 · 악 · 무기를 포괄하는 유루와 동의어인 것으로 사용하고 염 또는 염법을 번뇌(악과 유부무기)의 의미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악(惡)과 유부무기(有覆無記)의 공통점은 모두 지혜 특히 진여의 무분별지를 장애하고 가린다는 것이며, 차이점은 악(惡)은 미래세에 나쁜 과보 즉 나쁜 이숙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만 유부무기(有覆無記)는 지혜를 장애할 뿐 나쁜 과보 즉 나쁜 이숙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는 않으며 다만 직접적인 원인을 유발하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음역하여 승길례삭(僧吉隸爍, saṃkleśa)이라고도 한다.[2] 잡염법(雜染法) · 염오법(染汚法) 또는 염법(染法)이라고도 하고,[1] 간단히 줄여서 잡(雜) 또는 염(染)이라고도 한다.[4][5][6][7]
잡염은 번뇌(煩惱) 즉 유루법(有漏法)과 동의어이고 청정(清淨)의 반대말이다.[2][8] 또한 번뇌에 물들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오염(汚染)되는 것[8] 즉 번뇌와 상응하고 있는 상태의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뜻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염혜(染慧) 또는 염오혜(染污慧)는 오염된 지혜라고 번역되는데,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염혜는 '번뇌와 함께 하는[煩惱俱]' 지혜[慧]를 뜻한다.[9][10][11][12] 즉, 일반적인 표현으로는, 번뇌에 물든 상태의 지혜를 말하며, 엄밀한 표현으로는, 번뇌 즉 '부정적인 마음작용'과 상응[俱, 함께 함]하고 있는 상태의 지혜를 말한다.
잡염심소
구체적으로 정의하자면, 잡염(雜染)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와 유가유식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번뇌로 분류되는 마음작용들을 말한다. 또한 이들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통칭하여 잡염심소(雜染心所)라고도 부른다.[6][7]
부파불교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는, 심소법 가운데 대번뇌지법 · 대불선지법 · 소번뇌지법의 총 18가지의 마음작용을 잡염 즉 번뇌라 한다. 모두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대승불교
대승불교의 유가유식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는, 심소법 가운데 번뇌심소 · 수번뇌심소의 총 26가지의 마음작용을 잡염 즉 번뇌라 한다. 모두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중 번뇌심소를 특히 근본번뇌라고도 한다.
같이 보기
-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
- 현관: 4제현관 · 6현관
- 유루와 무루
- 번뇌의 해석
- 번뇌의 다른 이름
- 번뇌의 작용
- 번뇌의 분류
-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
-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
-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 번뇌 = 개: 5개
-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 번뇌 = 뇌: 3뇌
- 번뇌 = 누: 3루
- 번뇌 = 박: 3박 · 4박
-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 번뇌 = 악행: 3악행
- 번뇌 = 취: 2취 · 4취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대승광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9(17-641), T.1613(31-850).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3,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