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보성군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보성군의 행정 구역보성읍, 벌교읍의 2개 읍과 조성면 등 10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2읍, 10면, 126 법정리) 보성군의 면적은 663.59 km2이며, 인구는 2011년 7월 31일을 기준으로 22,691 세대, 48,280명인데, 모든 면의 인구는 감소 중에 있다.[1]

보성읍

보성읍은 보성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1930년 광주선의 개통과 더불어 발전하기 시작한 교통의 요지이고 농·수산물의 집산지이다. 읍의 남부 봉산리에는 대한민국 제일의 다원(茶園)이 있다.

벌교읍

벌교읍장흥·강진과 더불어 부근 평야지대의 농산물의 집산시장으로 해당 지방의 상권을 장악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다. 또 교통의 요지로 발달한 소도읍이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번성하였으며, 인구 역시 보성읍보다 많다.

행정 구역

Thumb
보성군 행정도
자세한 정보 읍·면, 한자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삼한시대마한에 속했다가, 백제시대 복홀군이 되었고, 신라 경덕왕 때 대로(代勞)·계수(季水)·오아·안정(安定) 4현을 예속시켜 보성군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성종 15년(996)에 패주(貝州)로 하여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곧 보성(일명 山陽)으로 복귀, 속현 7현이었다. 조선 때에 다시 보성군으로 칭하였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