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부산영평상)은 대한민국의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시상식이다. 1958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지역 비평가 그룹 부산영화평론가협회가 주최한다.[1]
역사
2000년 제5회 부산국제영화제의 행사의 하나로 시작됐다.[2] 영화제 기간에 시상식을 열어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을 비롯 공로상에 해당하는 이필우기념상 등을 시상했다. 2010년부터는 영화제 기간이 아닌 12월에 시상식을 열었다. 최우수작품상과 감독상을 없애고 대상을 신설했으며, 연기상은 조연과 신인에 대해 시상하지 않고 남녀 우수연기상으로 통합했다.[3] 남녀신인상은 2012년에 부활시켰다.
2015년부터는 시상식을 간소화하고 수상작에 대한 평론가의 발제 및 감독들과의 토론 등으로 이뤄진 포럼 형식으로 진행됐다.[4]
역대 최우수 선정
1985
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최우수 영화 | 《고래사냥》 | [5] | |
최우수 와국영화 | 《E.T.》 | ||
최우수 감독 | 배창호 | 《고래사냥》 | |
최우수 주연남우 | 안성기 | ||
최우수 주연여우 | 이미숙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 |
최우수 조연남우 | 이대근 | 《고래사냥》 | |
최우수 조연여우 | |||
최우수 신인감독 | 이미례 | 《수렁에서 건진 내 딸》 | |
최우수 촬영 | 정광석 |
1989
1993
역대 수상작(자)
1회 (2000년)
2회 (2001년)
3회 (2002년)
4회 (2003년)
5회 (2004년)
6회 (2005년)
7회 (2006년)
8회 (2007년)
9회 (2008년)
10회 (2009년)
11회 (2010년)
12회 (2011년)
13회 (2012년)
14회 (2013년)
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
각본상 | 봉준호, 켈리 마스터슨 | 《설국열차》 |
기술상 | 정두홍 (무술) | 《베를린》 |
남자우수연기상 | 하정우 | 《베를린》 《더 테러 라이브》 |
여자우수연기상 | 정유미 | 《우리 선희》 |
신인감독상 | 김병우 | 《더 테러 라이브》 |
신인여자연기상 | 정은채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신인연기자상 | 모든 배우 |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심사위원특별상 | 홍상수 | 《우리 선희》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이필우 기념상 | 손효찬 (녹음) |
15회 (2014년)
16회 (2015년)
17회 (2016년)
18회 (2017년)
19회 (2018년)
20회 (2019년)
21회 (2020년)
22회 (2021년)
23회 (2022년)
24회 (2023년)
25회 (2024년)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