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두심
대한민국의 배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두심(高斗心[1], 1951년 5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2]
생애
1951년 5월 22일 제주도 제주시에서 출생하였고 본관은 제주이다.
제주여자고등학교 시절 학교를 찾은 배우 신성일 덕분에 배우의 꿈을 꾸게 됐으며, 이를 계기로 서울특별시로 상경했다.[3]
이후 무역회사에서 일을 하다가 1972년 21세의 나이로 MBC 5기 공채 탤런트에 합격하면서 데뷔하게 되었으며, 특히 '미원 아줌마'라는 닉네임으로 유명세를 탔다.[4]
수많은 후배 배우들에게 존경받는 선배이자 연예계 전설로 길이 남을 배우로 손꼽힌다.
KBS 《사랑의 굴레》 (1989), 《꽃보다 아름다워》 (2004), 《부탁해요, 엄마》 (2015)와 MBC 《춤추는 가얏고》 (1990), 《한강수타령》 (2004)과 SBS 《덕이》 (2000)로 총 6번의 연기대상을 수상하였다.
KBS, MBC, SBS 방송 3사의 연기대상을 모두 수상한 유일한 배우이다. 드라마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꾸준히 연극 무대와 영화에 출연하고 있다.
2016년 데뷔 44년 만에 처음으로 악극 《불효자는 웁니다》에 출연하였다.[5]
김혜자, 나문희, 김해숙 하고 더불어 ‘국민맘’‘미원 아줌마’로 잘 알려진 배우 중 한 사람이자, 여성 배우들의 대표적인 롤모델로 꼽히는 정통 연기파 배우이다.[6]
한편, MBC 《전원일기》'우리집 우리식구'로[7] 12회 한국방송대상 TV연기상 , MBC 《춤추는 가얏고》로[8] 18회 한국방송대상 TV 여자 탤런트상(당초 TV 라디오 모두 남녀 연기상이었으나 17회부터 연기상이 남녀 성우상-남녀 탤런트상으로 분리) , KBS 2TV 《꽃보다 아름다워》로[9] 31회 한국방송대상 통합 탤런트상(26회부터 변경됐으며 40회부터 연기자상으로 바뀜)을 받아 TV 드라마를 통한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연기상 포함) 최다 수상의 영예를 안고 있다.
Remove ads
학력
출연 작품
드라마
영화
연극
라디오 드라마
Remove ads
그 외 활동
방송
광고(CF)
Remove ads
기타 경력
Remove ads
수상 경력
- 1975년 MBC 연기대상 탤런트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밀물》
- 1977년 제1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정화》
- 1980년 MBC 연기대상 TV부문 조연상 《전원일기》
- 1983년 제28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여우조연상 《질투》
- 1983년 제22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질투》
- 1984년 MBC 연기대상 탤런트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원일기》
- 1985년 제12회 한국방송대상 TV 연기상 《전원일기》
- 1985년 제2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
- 1989년 제2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전원일기》
- 1989년 KBS 연기대상 대상 《사랑의 굴레》
- 1990년 제2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사랑의 굴레》
- 1990년 MBC 연기대상 대상 《춤추는 가얏고》, 《마당 깊은 집》
- 1991년 제4회 한국프로듀서상 시상식 탤런트상 《춤추는 가얏고》
- 1991년 제18회 한국방송대상 TV드라마 연기상 《춤추는 가얏고》
- 1992년 제3회 농촌문화상 문예,대중예술부문 수상
- 1993년 제29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남편의 여자》
- 1994년 SBS 스타상 특별상 《박봉숙 변호사》
- 1996년 한국문인협회선정 가장 문학적인상(연예, 전파매체부문)
- 1996년 제6회 아산효행대상 효친부문 수상
- 1997년 제주도 문화상(예술부문)
- 1998년 MBC 자랑스런 탤런트상
- 2000년 SBS 연기대상 대상 《덕이》
- 2000년 SBS 연기대상 빅스타상 《덕이》
- 2001년 MBC 연기대상 특별상 《결혼의 법칙》, 《여우와 솜사탕》
- 2002년 제주를 빛낸 사람 여성부문 선정
- 2003년 SBS 연기대상 특집·단막극부문 여자 연기상 《앙숙》,《도토리묵》, 《연인》
- 2004년 제31회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 《꽃보다 아름다워》
- 2004년 제5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조연상 《인어공주》
- 2004년 제12회 이천춘사대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인어공주》
- 2004년 제14회 한국 가톨릭 매스컴상 대상 《꽃보다 아름다워》
- 2004년 제3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조연상 《인어공주》
- 2004년 MBC 연기대상 대상 《한강수타령》
- 2004년 KBS 연기대상 대상 《꽃보다 아름다워》
- 2005년 제28회 황금촬영상 최우수 인기여우상 《엄마》
- 2006년 제47회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가족의 탄생》
- 2007년 옥관문화훈장(4등급)
- 2008년 제3회 골든티켓어워즈 연극 여자배우상 《친정엄마》
- 2008년 제5회 불자대상
- 2011년 KBS 휴먼대상 사랑나눔상
- 2014년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따뜻한 말 한마디》
- 2015년 KBS 연기대상 대상 《부탁해요, 엄마》, 《별난 며느리》
- 2018년 제38회 황금촬영상 공로상
- 2020년 제11회 대한민국대중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2등급)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