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
Remove ads

부산진역(Busanjin station, 釜山鎭驛)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경부선동해선우암선의컨테이너 화물 전용 이다. 동해선은 이 역부터 부전역하고 포항역을 지나서 삼척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간략 정보 부산진, 개괄 ...

1905년 12월 1일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과거에는 완행 열차의 시·종착역 및 일부 방면 열차의 정차역으로 부산역에 버금가는 여객 수요를 보인 바 있었다. 2004년 KTX 개통을 전후로 경부선 이외의 여객열차 업무가 모두 부전역으로 이관(2월 2일)되면서 정차 편수가 급감하자 여객 수요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결국 2005년 4월 1일에 여객 취급을 완전히 중단하고 대신 컨테이너 화물 기능을 집중시켜 부산광역시에서의 매우 중요한 컨테이너 화물 전용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역 이름은 역 인근에 부산진성이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1], 역명과 달리 부산진구와는 전혀 다른 위치에 있다. 인근의 수정동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이 있으며, 부산진역 북쪽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직결되는 선로가 부설되어 있어서 신차 반입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경부고속선부산역에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부산진역은 경부고속선의 분기역이 아니나, 부산진역 구내에 KTX금정터널로 들어가는 지하 선로가 나온다. 이 지하 연결선은 부산진역의 여객용 승강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만들어졌다. 구 역사는 1979년 10월 7일에 완공되었다. 1997년 9월 후반 당시 비둘기호 최장거리 노선은 부산진역에서 광주까지 가는 노선이였으며 요금은 4,500원이었다.

Remove ads

연혁

Remove ads

직결 선로

  • 중앙부두선(4.0km)
  • 1부두선(4.0km)
  • 2부두선(2.0km)
  • 3부두선(4.0km)
  • 제 3부두 7번선(0.2km)
  • 4부두선(4.0km)
  • 제 6부두 컨테이너(3.0km)
  • 남선(2.0km)
  • 보급창선(2.3km)
  • 동아제분선(0.6km)
  • 경리선(3.0km)
  • 부산진선로반선(1.1km)
  • 제 1선로반선(1.9km)
  • 제 2선로반선(2.4km)
  • 부산객차선(3.0km)
  • 유조선(1.4km)

배선도

부산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부산역-부산진역 배선도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